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학술논문] 갑오개혁 이후 충북지역 지방군연구 : 진천과 관련하여_학술대회발표자료
이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충북 근현대 사회경제 변동 연구 : 광무양안과 향촌사회자료에 나타난 진천군의 근현대 100년 | 2002 년 인문사회분야지원한국근현대 | 신영우(충북대학교) )의 '중간산출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DB구축사업 참여 관련분야 전문가가 추가 입력한 정보입니다.
학술지명 2005년도 제 3 차 학술발표회
발행정보 2005-06-09 / pp. 1 ~ 29
발행처/학회 충북대학교
주저자 서태원 (충북대학교중원문화연구소)
색인어 갑오개혁, 충북, 지방군, 진천, 병영, 진영, 지방군제, 지방대, 진위대
  • 주초록(메인언어)
  • 군대는 외적과 맞서 싸우거나 치안을 유지하는 기능 등을 통해 현존 지배체제를 물리적으로 뒷받침해 준다는 점에서 국가의 존립과 발전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895년 을미개혁이 있은 후 중앙에는 국왕 및 왕실 호위와 도성 방어를 담당하는 친위대·시위대·호위대가 설치되었고, 지방에는 鎭撫 및 邊境수비를 담당한 진위대·지방대 등이 두어졌다가 1900년 7월부터 명칭이 진위대로 통합되어 운영되다가 1907년 군대해산으로 폐지되게 된다.
    갑오개혁 이후 대한제국기까지 군제에 대한 연구는 중앙군과 지방군을 비롯하여 ‘군부·元帥府·해산 군인의 의병항쟁·武官學校’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대한제국기 군제에 대한 포괄적이고도 종합적인 이해는 물론이고, 갑오개혁 이후 중앙군과 지방군의 증감 여부는 자주적 근대화냐 또는 식민지화냐와 관련되어 운영되었음이 밝혀졌다.아울러 원수부의 설치나 대한제국기의 군사정책은 황제권을 강화하려는 것이었고,해산 군인들의 의병운동 참여및 무관학교의 실상등도 해명되었다.하지만 갑오개혁 이후 대한제국기 지방군에 대한 연구는 여러 군제를 함께 포괄적으로 다루는 가운데 지방군을 부분적으로 언급한 것이 대부분이고, 앞 시대인 조선후기와의 연관성에서도 연구가 이루어지 못하였다. 따라서 지방군만을 단일 주제로 하여 특정 지역의 군대를 조선후기와의 연속성을 가지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진천지역을 염두에 두면서 첫째 갑오개혁 이전 조선후기 충청북도 지방군의 구조와 기능을 파악해봄으로써 조선후기 지방군제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충북지역의 지역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꾀해보려 한다. 둘째 청주지방대와 진위대의 변천과 구조를 통해 한말 지방군제 변천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면서 지방 군제에 대한 제도사적인 이해를 시도해보고, 일제에 의한 식민지화 위기 속에서 보여지는 지방군 기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도 함께 살펴보려 한다. (서론에서발췌)
  • 목차
  • 1. 머리말
    2. 조선후기 충청지역의 지방군
    1) 병영
    2) 진영
    3) 진천지역의 지방군
    3. 갑오개혁 이후 충청북도 지방군
    1) 충청북도 지방군제의 변천
    2) 청주 지방대?진위대의 구조
    ① 軍人의 數
    ② 군인의 品階와 대우
    ③ 經費와 財源
    3) 청주지방대・진위대의 기능
    6. 맺음말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