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누가 집권하는가'는 중요한가? 정부 당파성과 복지국가의 동학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9-332-B00013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 년 (2009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권혁용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세계화 시대 정부의 당파성(government partisanship)과 노동시장제도가 선진민주주의 복지국가에 미치는 동태적 영향을 분석한다. 좌파와 우파 정당이 핵심지지계층의 분배적 이익에 반응을 함에 따라 차별적인 경제 및 사회정책을 추구한다는 아이디어는 비교정치경제분야의 많은 연구를
    촉진시켜왔다(e.g., Alesina and Roubini 1997; Alvarez, Garrett and Lange 1991; Hibbs 1977). 그런데, 윌리엄 키치(Keech 1995)가 적절하게 언급하였듯이, 이러한 연구들은 “정당의 정책목표와 이념을 상수로 가정하는데, 정당의 목표는 그 자체가 하나의 변수이며 아직 잘 연구되지 않은 어떠한 조건(conditions)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p.66). 정부당파성의 중요성이 1970년대 말 이후로 변화했는가 하는 문제는 OECD국가의 복지국가 축소의 정치를 연구하는 학자들의 논쟁의 한 축을 이루었다. 피어슨(Pierson 1996, 2001)과 후버와 스티븐스(Huber and Stephens 2001a, 2001b)는 ‘누가 집권하는가’가 사회정책프로그램 결과에 덜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당파성의 쇠퇴”(decline-of-partisanship) 명제와는 반대로, 코르피와 팔메(Korpi and Palme 2003)와 앨런과 스크럭스(Allan and Scruggs 2004)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도 정부당파성이 사회보험체계가 제공하는 혜택의 수준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쟁에 개입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첫째, 정부당파성이 복지국가에 미치는 영향력의 시간간 편차(inter-temporal variation)에 대한 동태적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나아가서는, 둘째, 정당의 정책목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 조건이 무엇인가를 분석함으로써 앞에서 언급한 키치의 문제제기를 체계적 연구로 확대시킨다. 즉 정치적 효과가 어떠한 방식으로 제도적으로 매개되는가를 분석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치와 제도의 상호작용이 복지국가의 동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분석틀을 제시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 기여는 다음과 같다. (1) 정부당파성 효과의 동태적 분석을 통해 그 효과가 시기적으로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추적할 수 있다. 경험적 분석을 통해 비교정치경제 분야의 기존 논쟁의 해결점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2) ‘누가 집권하는가’(does who governs matter?)의 정치적 중요성에 대한 정치학 내부의 논의에 새로운 함의를 제시한다. 누가 집권하는가는 시기에 따라 중요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것은 세계화라든가 국내정치제도의 배열 등의 매개요소에 따라 조건 지어진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복지국가뿐만 아니라, 더 넓게는 경제정책과 다양한 공공정책을 결정하는 것은 정부뿐 아니라 다른 정치행위자, 또는 제도적 매개의 상호작용이라는 것을 밝힌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이후 ‘누가 집권하는가’에 따른 공공정책의 변화 및 차별성에 대한 체계적인 후속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최근 미국에서 증가하는 불평등이 집권정당의 당파성에 의해 설명된다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Bartels 2008; McCarty et al. 2007). 공화당정부하에서 저소득층의 소득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면서 불평등이 증가해 왔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후속연구들이 축적되면서, ‘누가 집권하는가’와 공공정책의 결과 및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문제가 국내 학계에서도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3) 그 동안 질적 연구가 주를 이룬 한국의 복지국가 연구경향에 대비하여 패널데이터에 대한 계량적 연구를 통한 복지국가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국내 정치경제 및 복지국가 연구와 생산적 대화(productive dialogue)를 촉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사실 국내 정치경제 및 복지국가 연구자들이 서구 선진민주주의 국가들을 대상으로 우수한 질적 사례연구들을 수행해 왔다(강명세 2007; 구춘권 2006, 2008; 권형기 2007; 김연명 2002; 김영순 2006; 안재흥 2002, 2008). 이러한 학문적 전통에 더해 계량적 방법을 사용하는 본 연구를 수행하는 것은 국내 정치경제 분야 연구의 방법론적 측면에서 생산적 대화의 시작일 수 있다. (4) 국내 사회복지정책의 연구가 많은 경우 사회복지 실천이나 구체적인 항목별 정책프로그램에 초점을 둔 경향이 있다. 그 자체로 중요한 연구이지만, 본 연구가 제시하는 정치적-제도적 영향력에 대한 고려없이 사회복지정책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은 다소 공허하다는 느낌이다. 정책적 디테일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본 연구와 같은 정치학적, 정치경제적 시각에서 거시적으로 접근하는 후속 연구들의 결합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사회복지학적’ 복지국가 연구와 ‘정치경제학적’ 복지국가 연구의 문제의식과 이론적 접근법들을 결합하는 후속연구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정책적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가 수행하는 것처럼 세계화라는 외부환경의 변화와 국내 제도적 조건, 그리고 정부의 이념적 성격의 밀접한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세계화 시대 복지국가의 대응전략을 제시하는 정책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세계화가 반드시 신자유주의적 정책 수렴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는 선진민주주의 국가의 다양한 정책적 대응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정책적 다양성(policy divergence)과 다양한 정책적 대응을 가능케 하는 정치적-제도적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세계화 시대 우리나라의 조건에 적합한 정책적 대응이 무엇인가에 대한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사회과학 방법론 세미나에서 강조되는 것은 하나의 패러다임이 일반화의 제시-검증-반검증의 과정을 거쳐 발전하거나 전치되는 과정에 대한 이해이다. 본 연구는 권력자원이론 및 정부당파성의 쇠퇴 명제의 검증과 반검증의 과정을 보여주고 이러한 학문적 논쟁에 대한 새로운 가설의 제시 및 이에 대한 경험적 검증의 과정을 노정한다. 본 연구의 결과물을 사회과학 방법론 세미나의 리딩으로 채택하여 이러한 과정에 대한 일차적(first-hand) 교육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복지국가를 둘러싼 당파적 갈등(partisan conflict)이 세계화와 조직노동의 강도에 따라 조건 지어진다는 이론적 주장을 제시한다. 세계화는 공공복지의 확대를 시도하는 정부의 능력을 제약하지만 동시에 사회적 보호에 대한 유권자들의 요구를 촉발한다. 저숙련 저임금 노동이 세계화로부터 파생되는 불안에 가장 많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좌파정당은 사회보호장치의 확대에 대한 요구에 반응할 인센티브가 있다. 그런데 좌파정당은 자신의 이념에 맞는 정책을 추구하기도 하지만(policy-seeking) 동시에 선거에서의 승리를 추구한다(office-seeking). 따라서 강력하게 조직화된 노동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좌파정당은 세계화로부터 초래되는 경제불안에 정치적으로 반응하고 대처하게 된다. 대부분의 OECD국가들에서 노동조합조직률은 196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까지 증가하거나 현상유지되었으나 1980년대 초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앞의 이론적 논의에 비추어, 우리는 세계화의 진전이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복지국가를 둘러싼 더 정부의 당파적 갈등이 커다랗게 표출되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노동조합의 힘이 1980년대 초부터 쇠퇴하면서 세계화로부터 초래되는 다양한 압력에 좌파지향적 정부가 저항할 정치적 인센티브는 크게 감소했을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가 도출하는 검증가능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노동조합이 강력한 조건하에서만 좌파정부가 세계화로부터 초래되는 사회적 보호에 대한 요구에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이론적 예측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1971-2005 기간 OECD국가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가 분석하는 데이터는 패널데이터의 구조를 갖는다. 즉 자료의 입수가 가능한 16개 OECD 국가의 1971년부터 2000년대 까지를 분석한다. 따라서 분석단위는 국가-연도가 된다. 이러한 패널데이터 구조는 모델의 분석에 여러 가지 복잡성을 초래하는데, 그 중에 중요한 하나가 종속변수의 단위근(unit-root) 현상이다. 즉 종속변수가 데이터의 기원시점부터 그 이후로 연관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단위근 현상을 처치하는 하나의 계량경제학적 모델이 오차교정모델이다. 오차교정모델은실질적으로 장점이 있다. 그것은 변수의 장기적 효과와 단기적 적응 효과를 하나의 모델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오차교정모델에서 종속변수는 본 연구의 경우 GDP 대비 사회지출의 연간 차이(first differences)로 측정된다. 회귀분석의 오른편 수식에는 독립변수들의 수준(level)과 연간 차이(first differences)가 동시에 포함된다. 이러한 모델 셋업은 독립변수의 값이 변화할 때 종속변수의 값은 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장기적 균형관계(equilibrium relationship)를 복원하는 형태로 적응하게 된다는 아이디어에 기반 한다(Beck 1992, De Boef and Keele 2008). 예컨대 좌파정부와 복지국가의 장기적 균형관계가 존재하며, 선거를 통한 정부당파성의 교체는 복지국가의 확대로 이어지지만 그 영향력은 장기적 균형관계를 반영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영국의 보수당 정부로부터 노동당 정부로의 교체가 영국 복지국가의 확대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이는 영국 정부당파성과 복지국가의 일정한 균형관계를 무시한 채 무한대의 복지지출 확대로 이어질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사용하는 오차교정모델은 정부당파성의 변화가 복지지출의 변화에 미치는 단기적 적응 효과(transitory adjustment effect)와 지속적 장기효과(enduring effect)를 모두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무빙윈도우 분석을 사용하여 정부당파성 효과(partisanship effect)의 시간적 변화(over-time changes)를 추적한다. 즉 정부당파성 효과는 시기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며 정확히 어느 시점부터 그 효과가 증가하였으며 혹은 감소하였는지를 추적하려 한다. 이를 위해 위의 모델을 10년 단위의 지속적인 윈도우를 통해 추정한다. 구체적으로, 위의 모델을 1971-1980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정부당파성 효과를 추정한다. 그 다음에 1972-1981년, 1973년-1982년, 그리고 맨 마지막으로 1995년-2004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정부당파성 효과를 추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부당파성 효과의 시기적 추이를 추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패널데이터에 대한 무빙윈도우 분석(moving window analysis)을 통해 정부당파성 효과를 시간적으로 추적하고, 정부당파성과 세계화, 그리고 노동조직의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 한글키워드
  • 오차교정모델,정치경제,세계화,복지국가,노동조합조직률,노동시장제도,로버스트 추정,OECD 국가,정부당파성
  • 영문키워드
  • union density,labor market institutions,globalization,OECD countries,welfare states,error-correction model,government partisanship,political economy,robust estim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복지국가의 정치경제에서 누가 집권하는가는 중요한가 이 연구는 서구선진민주주의국가에서 정부당파성(government partisanship)이 복지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이 연구는 자유시장경제(LMEs)와 사회적 시장경제(SMEs)의 구분을 도입하여 정부당파성 효과가 두 정치경제유형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한다. 자본주의의 다양성(Varieties-of-Capitalism) 분석틀에서 도출된 몇 연구들이 제시하는 함의는 사회복지지출이 조정시장경제에서 보다는 자유시장경제에서 더 정치적으로 쟁점이 되는 사안이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좌파정당과 우파정당의 핵심지지층의 이익이 조정시장경제보다는 자유시장경제에서 더 분명하게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본주의의 다양성의 논의를 따르면, 정부당파성 효과가 자유시장경제에서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OECD 17개 국가의 1962-1998년 기간의 데이터에 대한 경험적 분석은 정부당파성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보다는 선거후 또는 새로운 연합정부 구성의 결과 좌파정당의 정부참여가 증가하면서 사회지출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당파성 변화의 효과는, 자유시장경제에서는 좌파정당의 참여가 증가할수록 사회지출의 증가로 이어지는 반면에 사회적 시장경제에서는 우파정당의 참여가 증가할수록 사회지출증가의 억제로 나타난다.

  • 영문
  • Does who governs matter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 of government partisanship on social spending in advanced democracies. Moreover, this paper examines how the government partisanship effect manifests across the two distinctive political-economic regimes--Liberal Market Economies(LMEs) and Social Market Economies(SMEs). The Varieties-of-Capitalism approach suggests that the issue of social spending is likely to be more politically contentious in LMEs than in SMEs. It follows that the government partisanship effect is likely to be more pronounced in LMEs than in SMEs. Using the panel data of 17 OECD countries for the period 1962-98, my analysis finds that the government partisanship effect is transitory rather than enduring. In LMEs Left government exerts a transitory effect on increases in social spending, while Right government leads to a transitory cutback effect on social spending in SM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복지국가의 정치경제에서 누가 집권하는가는 중요한가? 이 연구는 서구선진민주주의국가에서 정부당파성(government partisanship)이 복지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이 연구는 자유시장경제(LMEs)와 사회적 시장경제(SMEs)의 구분을 도입하여 정부당파성 효과가 두 정치경제유형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한다. 자본주의의 다양성(Varieties-of-Capitalism) 분석틀에서 도출된 몇 연구들이 제시하는 함의는 사회복지지출이 조정시장경제에서 보다는 자유시장경제에서 더 정치적으로 쟁점이 되는 사안이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좌파정당과 우파정당의 핵심지지층의 이익이 조정시장경제보다는 자유시장경제에서 더 분명하게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본주의의 다양성의 논의를 따르면, 정부당파성 효과가 자유시장경제에서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OECD 17개 국가의 1962-1998년 기간의 데이터에 대한 경험적 분석은 정부당파성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보다는 선거후 또는 새로운 연합정부 구성의 결과 좌파정당의 정부참여가 증가하면서 사회지출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당파성 변화의 효과는, 자유시장경제에서는 좌파정당의 참여가 증가할수록 사회지출의 증가로 이어지는 반면에 사회적 시장경제에서는 우파정당의 참여가 증가할수록 사회지출증가의 억제로 나타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서구선진민주주의국가에서 정부당파성(government partisanship)이 복지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자본주의의 다양성 논의로부터 복지국가에 미치는 정부당파성의 영향력의 차이에 대한 이론적 기대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본주의의 다양성 논의에서 강조하듯이 조정시장경제의 고용주들이 존재하는 복지국가로부터 이익을 도출하는 점과 사회보호체계에 대한 계급연합적인 정치적 지지는 정부의 당파성이 미치는 영향이 조정시장경제에서 작을 것이라는 점을 제시한다. 좌파정당이 노동자나 저소득계층을 대표하고 우파정당이 기업과 고소득계층을 대변하는 한 정부의 당파적 성격이 갖는 효과는 자유시장경제에서 더 현저하게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예측의 경험적 검증을 하기 위하여 이 분석은 자본주의의 다양성 논의가 제시하는 국가유형분류를 대체로 따랐다. 루에다-폰투손(Rueda and Pontusson 2000)의 유형분류를 따라 이 연구는 ‘일본을 제외한 유럽의 조정시장경제’를 사회적 시장경제(SMEs)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서 자유시장경제는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아일랜드, 뉴질랜드, 영국, 그리고 미국을 포함하며, 사회적 시장경제는 오스트리아, 벨지움, 덴마크, 핀란드, 독일, 네덜란드, 노르웨이, 그리고 스웨덴을 포함하였다. 로버스트추정기법을 사용하여 수행한 통계적 분석은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정부당파성이 사회지출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부당파성효과가 두 자본주의의 다양성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하였다. 정부당파성효과는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보다는 선거후 또는 새로운 연합정부 구성의 결과 좌파정당의 정부참여가 증가하면서 사회지출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당파성 변화의 효과는 자유시장경제에서는 좌파정당의 참여가 증가할수록 사회지출의 증가로 이어지는 반면에 사회적 시장경제에서는 우파정당의 참여가 증가할수록 사회지출증가의 억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적 발견은 복지국가의 정치경제에 대하여 '자본주의의 다양성' 접근법이 갖는 한계를 노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첫째, 자본주의의 다양성 접근법이 제시하듯이 조정시장경제/사회적 시장경제에 특징적인 생산체제가 거대기업 고용주들과 숙련노동자들에게 공통적인 복지정책관련 선호를 형성하도록 하는지에 대해 의문점을 제기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생산자집단의 이익과 선호가 과연 정치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인지의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둘째, 자본주의의 다양성 접근법이 사회보호와 기술과 관련하여 복지국가의 정치경제를 언급한 것의 이론적, 정책적 범위가 실은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조정시장경제에 특징적인 생산체제가 고용보호와 실업보호를 위한 강력한 계급연합을 창출하는 것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그 계급연합이 초점을 두는 것은 전체 사회정책의 매우 협소한 부분인 것이다. 결국 고용보호는 재분배의 이슈가 아니라 규제의 이슈영역이고, 실업보호가 전체 사회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미미하다. 또한 유럽 조정시장경제에서 고용보호와 실업보호의 사회보호체계가 오늘날까지 거대기업 고용주와 숙련노동 및 조직노동으로부터 광범위한 지지를 받는지 그리고 그러한 사회보호체계가 여전히 손상되지 않고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이 경험적 분석의 결과는 조정시장경제/사회적 시장경제의 제도적 맥락이 사회정책과 관련한 정부당파성의 효과를 감소하거나 무효화할 것이라는 자본주의의 다양성 접근법의 주장을 경험적으로 확증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반대로 이 정치경제체제에서 발견되는 우파정당의 사회지출억제효과는 정부당파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가리킨다. 왜 그러한가 여기에서 제시할 수 있는 하나의 가설은 선거제도(electoral systems) 효과이다. 자유시장경제와 조정시장경제/사회적 시장경제의 국가분류는 대체로 다수제(majoritarian)와 비례대표제(PR)의 선거제도에 따른 국가구분과 조응한다. 논의의 여지가 있기는 하지만, 중위수투표자의 지지를 얻기 위한 경쟁이 정당의 행태를 결정하는 정도가 비례대표제에서 보다 다수제 하에서 더 강하다면, 복지국가에 대한 정치적 쟁점화와 정파적 갈등은 자유시장경제보다 조정시장경제에서 더 분명하게 나타날 수 있다.
  • 색인어
  • 정치경제, 복지국가, 정부당파성, OECD국가, 오차교정모델, 로버스트추정, 세계화, 노동시장제도, 노동조합조직률, 자본주의의 다양성, 자유시장경제, 조정시장경제, 사회적 시장경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