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사용성 평가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6-332-H00012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1 년 (2006년 07월 01일 ~ 200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곽승진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비쿼터스 도서관을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의 정보요구를 심층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 도서관은 시각장애인뿐만이 아니라 신체, 정신적인 이유로 독서에 어려움을 느끼는 독서장애인을 서비스 대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 이용자 집단을 세분화하고, 설문지법 및 심층 인터뷰 기법과 같은 양적,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세분화된 시각장애인 이용자 집단의 정보요구를 세밀하게 파악한다.

    둘째, 유비쿼터스 도서관을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의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한다. ‘책 읽어주는 도서관’의 특정기간 동안 이용된 웹사이트 이용로그를 분석하고, 시각장애인의 인지적인 정보이용 행태를 분석하기 위해 관찰 및 Think aloud(생각 소리내어 말하기) 기법을 활용하여 조사한다.

    셋째, 조사 분석된 시각장애인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를 바탕으로 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반의 정보 시스템 개선에 반영되어야 할 기능적 요소에 대한 실제적인 권장사항을 규명한다. ‘책 읽어주는 도서관’은 웹서비스 및 휴대폰을 통한 첨단 기술을 활용한 방법뿐 아니라 일반 전화를 통한 음성도서 이용채널도 제공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조사된 이용행태는 첨단기술을 활용한 시각장애인 도서관 모델뿐 아니라 일반적인 시각장애인 정보서비스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대효과
  •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사용성 평가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학문적 ․ 사회적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첫째, 시각장애인의 정보요구를 면밀히 분석하여 이에 부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서비스 정책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시각장애인 대상의 심층적인 정보요구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였으며, 단지 필요성에 대한 담론만이 활발히 진행되고 시각장애인 도서관의 양적인 수를 늘리고자 하는 정책만이 양산되고 있다. 시각장애인 정보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각장애인의 정보 요구 분석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둘째, 이용자 지향적인 시각장애인을 위한 첨단 정보 시스템 개발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 방향 및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시각장애인의 정보이용행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 서비스 제공방식 및 웹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안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서비스 품질 평가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각장애인 정보 서비스 및 콘텐츠 구성의 요건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제시되는 시각장애인 대상 정보서비스 품질 평가표는 시각장애인 도서관에 유용한 품질 평가 기준 척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소외되어 왔던 시각장애인 및 독서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정보 서비스의 발전을 위해서 구체적인 논의와 활동이 시작되는 지금에 있어서 서비스 대상인 시각장애인의 심층적인 이해는 필수적인 연구 과제이며, 이를 시각장애인 도서관 설립 및 운영에 정책적으로 또는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첨단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도서관 서비스의 확산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보기술 미약한 노인 및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정보접근성에 관련된 연구가 확장되어 촉발되기를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보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기술이 산업 전반에 도입되어 정보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이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정보화로 가면 갈수록 정보의 불평등이라는 새로운 문제점이 유발되어 장애인들이 사회적으로 더욱 소외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시각장애인에게 도서관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시도가 있었다. ‘책 읽어주는 도서관’은 LG상남도서관에 의해 운영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으로 2006년 4월 17일 도서관 개관 10주년 기념사업으로 개발되었다. 세계 최초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Ubiquitous Library)을 표방한 ‘책 읽어주는 도서관’이 그것인데, 첨단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여 컴퓨터 및 휴대폰을 통해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도서를 들려주는 새로운 발상을 실현한 도서관이다. 아직 사회적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 서비스의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와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은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시각장애인 정보서비스를 시작한 ‘책 읽어주는 도서관’의 구체적인 사례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반의 정보 시스템 개선사항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내용은 유비쿼터스 도서관을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의 정보 요구 및 이영행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책 읽어주는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분석된 결과를 유비쿼터스 도서관 정보시스템의 개선에 반영하는 것이다.
    시각장애인의 정보요구를 심층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 방법과 심층 인터뷰 기법을 사용한다. 유비쿼터스 시각장애인 도서관의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하기 위해 ‘책 읽어주는 도서관’ 홈페이지의 이용통계 및 웹사이트 로그를 분석한다. 특정기간동안의 웹사이트 로그 데이터를 토대로 로그분석을 수행하여 서비스별 이용현황, 이용자 그룹별 이용현황, 시간대별 이용현황, 지역별 이용현황, 접속회수별 이용자수, 이용자 사용 패턴(IN 페이지, OUT 페이지) 등의 레포트 자료를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이용행태를 분석한다. 로그분석의 양적인 방법만으로는 시각장애인의 정보이용행태를 파악하기에는 미흡하기 때문에 질적인 연구방법도 병행할 계획이다.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질적인 연구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think aloud’ 기법을 사용한다. ‘think aloud’는 사용자의 정보 이용과정을 관찰하면서 이용자로 하여금 스스로의 정보탐색에 대한 사고과정을 말하도록 유도하는 기법이다.
    ‘책 읽어주는 도서관’ 서비스의 품질 평가를 위한 품질 평가표 구성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데이터베이스 품질평가표』,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의 『데이터베이스 품질평가』, CSU EAR(California State University Libraries-Electronic Access to Information Resources Committee)의 해외 DB평가표를 기초로 품질평가 항목을 도출하고, 시각장애인 대상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품질평가 항목을 선정한다.
    조사 대상자들의 심층면담 및 관찰, 설문지 조사 결과를 영역별로 종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 정보시스템을 설계하고 개선할 경우 반영하여야 할 권장사항으로 도출한다. 개선사항 도출을 위해서 세분화된 서비스 이용자 관점의 문제점과 운영자 관점의 문제점을 구분하여 분석하며, 서비스 이용 및 운영의 범주에 따라 개선사항도 구분하여 제시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유비쿼터스 도서관,사용성 평가,디지털 도서관,시각장애인
  • 영문키워드
  • Ubiquitous Library,Disabled Person,Usability Test,Digital Librar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우리나라의 도서관 서비스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시각장애인에게 도서관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시도가 있었다. 정보화 시대에 오히려 시각장애인의 정보격차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LG상남도서관은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을 활용하여 도서관 접속과정을 자동화하고 언제 어디서나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도서관을 구축하였다. 이용자는 웹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와 같은 접근경로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디지털 토킹북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구축을 위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연구가 바로 시각장애인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이다. 시각장애인의 사용성 평가는 기존의 점자도서 대출반납 시스템과 같은 공공도서관에서의 기존 서비스 체계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음성도서를 웹과 휴대폰을 통해 서비스 중인 책읽어주는 도서관의 구체적인 사례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시각장애인 도서관 구축을 위한 권장사항을 도출하였다. 운영정책과 관련된 권장사항으로는 시각장애인 전용 콘텐츠가 신간도서 중심으로 양적으로 확충되어야 하며, 시각장애인용 콘텐츠 제작방식에 있어서 텍스트 형태의 콘텐츠를 주요 포맷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점 등이 제시되었으며, 정보시스템과 관련하여 휴대폰과 같이 도서 접근성이 편리한 정보단말기를 활용하는 유비쿼터스 정보시스템을 확대 발전시켜야 하고, 시각장애인 도서관 홈페이지에서는 음성합성 안내기능과 같은 도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 영문
  • The library service for the blind in Korea leaves much to be desired yet. But recently, there was new attempt to improve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the blind using the hi-tech information technology. A digital divide is getting more and more worse in the information age. So LG Sangnam library developed the ubiquitous library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accessability of the blind. It utilizes a mobile phone applied wi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utomates a users identification process and serve library services at anytime from anywhere. Users can use access points of a web service and a mobile service.
    But the essential prerequisite research for the building the library for the blind is the usability test research of the blind. To accomplish the usability test of the blind, The ubiquitous library which is serving the various access point of web and mobile such as LG DTB Library is the best concrete case for this research because the existing service of lending the books in braille is so simple for doing this type of research. So This research uses the case of the LG DTB Library for the usability test and finally several recommendations for the library service for the blind were proposed.
    As for the operation policy, the content for the blind should be expanded with an emphasis on a new publication and the text-format content should be produced mainly for the blind. As for the information system, the ubiquitous system using convenient information unit such as a mobile phone should be widely developed. And a device for improving accessibility for searching books in homepage of library such as voice synthesis guide should be considered as a top prior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정보화 시대에 오히려 시각장애인의 정보격차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LG상남도서관은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을 활용하여 도서관 접속과정을 자동화하고 언제 어디서나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도서관을 구축하였다. 이용자는 웹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와 같은 접근경로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디지털 토킹북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구축을 위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연구가 바로 시각장애인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이다. 시각장애인의 사용성 평가는 기존의 점자도서 대출반납 시스템과 같은 공공도서관에서의 기존 서비스 체계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음성도서를 웹과 휴대폰을 통해 서비스 중인 책읽어주는 도서관의 구체적인 사례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시각장애인 도서관 구축을 위한 권장사항을 도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시각장애인들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통해 시각장애인 도서관 운영정책에 반영하여야 할 사항과 정보시스템에 반영하여야 할 사항이 도출되었다.
    운영정책과 관련된 권장사항으로는 첫째, 시각장애인 전용 콘텐츠가 신간도서 중심으로 양적으로 확충되어야 하며, 둘째, 시각장애인용 콘텐츠 제작방식에 있어서 텍스트 형태의 콘텐츠를 주요 포맷으로 활용해야 한다. 셋째, 맹학교 교사를 심층 면담한 결과 시각장애인용 콘텐츠의 주제 분야를 다양하게 넓혀달라는 의견과 비도서 콘텐츠를 도서관에서 주기적으로 제공해달라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넷째, 시각장애인의 학습용 콘텐츠에 대해 정책적으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사회적 약자로서의 장애인의 위치를 개선시킬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교육이기 때문이다.
    정보시스템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권장사항은 휴대폰과 같이 도서 접근성이 편리한 정보단말기를 활용하는 유비쿼터스 정보시스템을 확대 발전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시각장애인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음성합성 안내기능을 매우 신중하게 설계해야 하며, 셋째, 시각장애인 도서관 홈페이지는 이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도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간 소외되어 왔던 시각장애인 및 독서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정보 서비스의 발전을 위해서 시각장애인의 정보요구 및 정보이용행태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는 필수적인 사항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각 지역단위 시각장애인 도서관 설립 및 운영에 정책적으로 또는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첨단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의 확산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 및 독서 장애인의 정보접근성에 관련된 연구가 확장되어 촉발되기를 기대한다.
  • 색인어
  • 유비쿼터스 도서관, 시각장애인, 정보접근성, 사용성 평가, 휴대폰, 디지털 토킹북 Ubiquitous Library, The Blind, Usability Test, Information Accessibility, Mobile Phone, Digital Talking Book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