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조선후기 ~ 해방 이전 商人層의 성장추구와 鄕射契 - 포구상업도시 江景의 덕유계 사례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3-041-A00042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1 년 (2003년 12월 01일 ~ 2004년 12월 01일)
연구책임자 정연태
연구수행기관 가톨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연구의 계기.목적


    본 연구계획 신청자는 식민지기 한국사회 변화의 특성인 식민지근대성을 구체적으로 해명하기 위해 충남 강경(江景)지역의 식민지기 변화상을 검토한 바 있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 일제의 지역지배.개발과정에서 드러난 식민지 근대성의 일단을 밝히고, 다른 한편으로 지방유지들이 계층적.지역적.민족적 이해관계가 중층적으로 작동하는 식민지 공간에서 자기성장을 추구해 가는 양상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 연구들은 경제사⋅운동사에 초점을 맞춘 관계로 사회사적 내용이 취약하다는 점, 식민지기에 국한하여 조선후기 이래 내재적 발전의 내용과 지향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졌다. 본 연구는 이런 점을 보완, 극복하지 않으면 한국근대의 총체상을 제대로 해명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본 연구는 위의 작업과 같이 충남 강경지방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하되, 연구 대상 시기를 조선후기부터 해방 이전까지로 대폭 확장하고, 연구 분야에서는 새롭게 사회사 영역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장기간에 걸친 역사적 변화의 특성을 새로운 측면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목표를 구체적으로 말하면, 강경지역 상인층이 조선후기의 내재적 발전 과정, 개항 이후 일제의 경제적 침투과정, 그리고 조선말 일제하 식민지적 근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어떻게 자기성장을 추구했는가, 자기성장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지방 유력자의 결사체인 鄕射契에 어떻게 참여하고 그 참여를 통해 지방사회에서 자신의 사회적 지위 상승과 경제적 이해관계를 어떻게 도모해 갔는가, 그런 과정에서 향사계의 기능은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장기사적 관점, 내재적 관점에서 구명함으로써 장기근대의 역사적 특성을 해명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2. 연구 대상의 선정 이유

    본 연구는 강경지방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주지하다시피 사례연구는 지역 선택이 대단히 중요하다. 강경지방을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본고의 문제의식을 실증적으로 풀어갈 수 있는 지역이라고 생각한다.
    먼저, 강경은 한국사회의 내재적 발전 지향성과 식민지성, 그리고 근대성이 서로 뒤엉켜 충돌하면서 변모하는, 장기근대의 양상을 잘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이다. 이런 기대는 임란 직후까지만 하더라도 인적 드문 소포구에 불과했던 강경이 조선후기 내재적 발전과 함께 조선 3대 市場이자 2대 浦口의 하나인 상업선진지대로 성장했고, 개항 이후에는 일제의 내륙침투전진기지로 주목되다가 國亡과 함께 準식민도시로 변모된 상업포구였던 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둘째, 강경의 德游稧(德游亭)는 18세기말에 설립되어 현재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고 설립 당초부터 현재까지 射契⋅射亭 관련 자료를 상당 부분 보존하고 있는 바, 사회사 연구에 필요한 역사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곳으로 기대된다. 현재 전국에 國弓을 수련하는 射契(射亭)가 다소 있으나, 과문한 소치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정도의 역사와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 곳은 거의 없는 곳으로 알고 있다.
    세째, 德游稧(德游亭)의 구성과 기능이 상업의 성쇠와 객주 등 상인층의 경제적 성장이나 사회활동과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는 점에서, 양자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검토하면 강경지역은 장기근대의 역사적 특성을 경제사적⋅운동사적⋅사회사적 측면에 걸쳐 총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지역으로 기대된다.
  • 기대효과
  • 1) 연구사적 의의와 기대효과

    본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면 몇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조선후기부터 해방이전까지 한 지역사회의 장기적 변화추세를 해명하는 것은 2가지 측면에서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① 본 연구는 개항 전후, 국망 전후를 단절적으로 접근하는 연구사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다소나마 기여할 것이다. ② 현재 역사학계와 경제사학계가 조선후기부터 현대까지의 역사상을 둘러싸고 내재적 발전론 對 19세기 정체론, 식민지 수탈론 對 식민지 근대화론으로 대립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실태연구를 통해 이런 대립구도를 넘어서 장기근대의 특성을 새롭게 접근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는 데 이바지하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둘째, 본 논문은 내재적 발전의 선진상업지대로 장기근대의 역사상의 해명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는 강경지방의 사회변동을 규명하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할 것이다. 그동안 강경지역 연구는 19세기 강경포구의 발전을 밝힌 논문(1편), 조선말 일제하 강경의 지방유지에 대한 연구(1편), 天主敎 敎案을 다룬 논문(2편), 전국적인 포구의 발전이나 충남장시의 발전을 다루는 과정에서 강경포구, 江景場의 실태를 언급한 연구가 일부 있을 뿐이고, 그 외 지리학⋅건축학계의 논문이 4편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셋째, 지역사 연구방법을 도입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사회⋅경제⋅정치(운동)⋅문화적 변동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장기근대의 변화를 미시적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鄕射契(鄕射禮, 鄕射亭)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회사 연구의 영역을 확장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최근 洋弓의 그늘에 가려 어려운 환경에 있으면서도 國弓의 재조명과 대중적 보급을 위해 노력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그동안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조선중기의 것을 다룬 논문 몇 편뿐이다. 예컨대, 조선중기 鄕禮 연구 과정에서 향사례를 단편적으로 언급한 논문들, 조선시대 大射禮를 연구한 논문 한편이 그것으로, 조선후기 이후는 말할 것도 없고 식민지기의 향사계에 대한 논문은 전무한 실정이며, 그외 국궁에 대한 대중적 소개서류가 있을 뿐이다.


    2) 기존 연구성과

    (1) 역사학계 성과

    李榮昊, 1986 「19세기 은진 강경포의 상품유통구조」 ꡔ한국사론ꡕ15, 서울대 국사학과
    李憲柱, 1991 「군산개항과 금강지역 시장구조의 식민지적 재편」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박찬식, 1996 「한말 천주교회와 향촌사회 :‘교안’의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 박사학위 논문
    高東煥, 1998 ꡔ조선후기 서울상업발달사연구ꡕ, 지식산업사
    강신엽, 2001 「조선시대 대사례의 시행과 그 운영」 ꡔ조선시대사학보ꡕ16
    정연태, 2003 「조선말 일제하 자산가형 지방유지의 성장 추구와 이해관계의 중층성 : 포구상업
    도시 강경지역 사례」 ꡔ한국문화ꡕ,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2) 지리교육.건축학계 성과

    羅燾承, 1983 「금강수운 中繼河港의 변천에 관한 연구- 강경을 중심으로」 ꡔ공주교대논문집ꡕ19
    尹汝珦, 1985 「강경의 성쇠와 세력권에 대한 지리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지리교육전공 석사
    학위 논문
    金善文, 1986 「강경의 성쇠과정과 도시구조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공주사대 지리교육전공 석사
    학위논문
    강승옥, 1997 「도시의 역사성 회복을 위한 기초 연구 - 강경읍 근대건축물 조사를 중심으로」,
    목원대 건축학과 석사학위 논문
  • 연구요약
  • 1) 연구내용

    본 연구는 조선후기~해방 이전시기에 걸쳐 강경상업과 상인층의 성장 양상, 상인층과 지방 유력자의 결사체인 鄕射契의 관계 변화, 향사계의 조직과 기능 변화 등을 3시기로 나누어 검토하여 강경지역 장기근대의 특성을 해명하는 것이다.
    ① 조선후기 : 상업⋅상인층 성장과 향사계(향사정) 설립은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이점을 집중 추적할 것이다. 단, 기존의 상업사 연구에서는 강경이 전국 3대 시장으로 발전하고, 1개 장시가 2개로 분화, 발전된 시점.계기가 불투명한 데, 이점을 검토하여 19세기 이후 내재적 발전의 전개양상을 검토하고, 이점과 향사계변화의 연관성을 추가로 밝히고자 한다.
    ② 개항~조선말 시기 : 일상⋅청상의 침투로, 한편에서는 강경상권을 둘러싸고 민족적 갈등이 전개되고, 다른 한편에서는 객주의 특권상업을 둘러싼 계층적 갈등이 전개되는 상황에서, 객주층이 상권을 유지하기 위해 향사계와 어떤 관계를 맺어갔는지, 또 그 과정에서 향사계의 조직과 기능, 향사례의 양식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③ 조선말~해방 이전 시기 : 객주 등 강경 상인층이 계층적 이해, 사회적 요구, 민족적 현실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 나갔고 향사계(덕유계)와 향사례를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향사계의 구성원, 향사정의 공간, 향사례의 방식은 어떤 형태로 변화해 갔고, 특히 점차 활성화된 사회운동과 어떤 연관을 맺어갔는지를 주목할 것이다.

    <가목차>
    1. 조선후기 포구상업의 성장과 향사계
    1) 상업⋅상인층의 성장과 도시형성
    2) 향사계의 설립과 향사례 시행
    2. 개항후~조선말 객주층의 유통망 지배와 향사계
    1) 객주층의 유통망 지배와 향사계 참여
    2) 향사계의 변화와 자치⋅수세 기능
    3. 조선말~해방 이전 상인층의 사회활동과 향사계
    1) 상인층의 사회활동과 향사계 주도
    2) 향사계의 사회운동 공간화와 궁술대회



    2) 연구방법

    먼저, 본 연구는 지역사 연구방법론을 기본으로 하되, 전국적 역사의 복제가 아니라 일반적 변화상을 염두에 두면서도 지역의 동태적이고 역동적인 특성을 담아내려고 노력할 것이다. 문제는 자료의 확보이다. 강경 덕유정의 향사례 자료가 다른 射契에 비해 풍부하다고 했지만, 그것은 상대적인 의미에서 그렇지, 기대보다는 상당히 미흡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점의 보완을 위해, 한편으로는 현장 자료수집과 증언채록에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 다른 지역 射契와 射亭 역사에 대한 조사도 시도할 것이다. 특히 향사계의 역대임원이나 유력객주의 신상을 파악하기 위해 역대 임원이나 유력객주 가운데 유력 성씨의 족보, 학적부, 각종 광고, 민적부 등을 광범위하게 조사하고자 한다.
    둘째, 내재적, 인과론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장기근대의 특성을 해독하고자 한다. 전통과 근대의 이분법적 해석, 결과 환원론적이거나 당위론적 접근을 지양하고 시대 조건, 지역 환경, 시공간에 구속된 상인층의 지향과 행동양식 등의 분석을 통해 조선후기 이래 성장한 강경의 상인층이 개항과 식민지기를 거치면서 어떻게 자기성장을 도모해 갔는가를 그들의 입장에 서서 밝혀보고자 한다.
    셋째, 장기근대의 지역적 특성을 총체적으로 구명하기 위해, 횡적으로는 경제-사회-정치의 상호 작용 관계를 주목하고, 종적으로는 조선후기- 개항기- 식민지의 시대적 변화상을 읽어내려고 노력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향사정,강경,상업도시,포구,지방유력자,향사계,객주,사회운동,지방유지,향사례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강경포가 작은 나루터로부터 상업포구로 변신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후반 이후였다. 강경은 水運과 陸運을 겸비한 천연의 교통 지리적 이점과 강경평야․서해어장이란 배후 산업기지를 배경으로, 18세기 중반 이후에는 전국 3대 포구의 하나로 성장하였고, 19세기 후반에는 전국 3대시장의 하나가 되기에 이르렀다. 덕유정계는 이 같은 경제적 성장을 배경으로 하여 18세기 중․후반에 설립됐다.
    덕유정계의 가입에는 일정한 자격의 구비가 요구됐다. 신분, 事力, 상당한 기부금의 납부가 그것이다. 이들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부류들은 지역사회에서 영향력을 가진 자산가층일 수밖에 없었다. 이들 가운데에는 포구 상업도시의 경제를 배경으로 성장한 객주를 비롯한 상인층이 다수 포함됐으며, 그중에는 자의든 타의든 매관매직을 통해 지위 상승을 도모한 자들도 적지 않았다.
    덕유정계는 자산가들 가운데 선출한 役員들에 의해 운영됐다. 그중 강력한 힘과 권위를 가지고 조직을 이끌어 간 역원은 사정의 先進으로 꼽힌 사백․접장․공원이었다. 선진은 직위와 나이라는 이중의 위계를 통하여 우대를 받으며 사정․계를 주도해 갔다.
    덕유정계는 통상적으로 심신수양, 친목도모, 사정관리, 기강 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했으나 자산가층의 친목․수양단체로서 기능했던 것만은 아니었다. 국망 이전에는 지역사회의 자치기능까지 수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말 일제시기에 이르러 덕유정의 준자치기구적 성격은 부정됐다. 그 대신 덕유정은 지방 유력자의 주도로 전개된 지역 사회활동의 중심 공간으로 변모해 갔으며, 1920년 이후 각종 弓術大會를 개최하면서 지역문화의 중심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이런 점에서 덕유정계는 조선후기부터 일제말기까지 포구상업도시의 경제를 배경으로 성장한 지방 유력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공간으로 기능해 왔다고 할 수 있다.
  • 영문
  • Ganggyeong began to change from a small ferry to a commercial port since the latter period of the 19th century. Ganggyeong developed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raffic and geographical feature which were characterized by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by land or water. The production base which was composed with Ganggyeong champaign and the fishing place of the Yellow sea expedited the growth of Ganggyeong too. In result, Ganggyeong grew into one of the three big ports after the middle period of the 18th century, and became one of the three big fairs all over the country in the latter period of 19th century. Deokyoujeong as the association of archers and Deokyougye as the mutual finance association were established between the middle and the latter period of 18th century on the background of such economic growth.
    Some kind of prescribed qualifications, such as status, power and payment of contribution, was required to affiliate with Deokyoujeong and Deokyougye. Persons who possessed this kind of qualifications surely belonged to a wealthy class at that time. Among this class, there were the commission agencies who grew on the basis of the economy of commercial port. A part of the commission agencies sought to rise their own status through the trafficking of official posts which was done by one's own will or compulsion.
    Deokyoujeong and Deokyougye were operated by the officials who were elected among the wealthy class. Among them, Sabag,eobzang and Gongwon who were senior in local society had stronger power and authority. They wer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and leaded Deokyoujeong and Deokyougye through double hierarchical ranks composed of position and age.
    Deokyoujeong and Deokyougye usually performed diverse functions, such as self-culture of body and sprit, promotion of friendship among the members, supervision of Deokyoujeong, and maintenance of public discipline. They were not only the association of a wealthy person who would like to promote friendship and self-culture, but also conducted somewhat the function of local autonomy before 1910. But their function of local semi-autonomy was negated by Imperialist Japan after 1910. On the other hand, Deokyoujeong became the center of local activities which spread out by the leadership of local elite. And it held diverse archery matches and turned the center of local culture after 1920.
    In a word, Deokyoujeong and Deokyougye was the space which the local elite grown on the background of the economy of a commercial port exercised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at the local society from late Chosun to the former period of 20th centu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강경포가 작은 나루터로부터 상업포구로 변신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후반 이후였다. 강경은 水運과 陸運을 겸비한 천연의 교통 지리적 이점과 강경평야․서해어장이란 배후 산업기지를 배경으로, 18세기 중반 이후에는 전국 3대 포구의 하나로 성장하였고, 19세기 후반에는 전국 3대시장의 하나가 되기에 이르렀다. 덕유정계는 이 같은 경제적 성장을 배경으로 하여 18세기 중․후반에 설립됐다.
    덕유정계의 가입에는 일정한 자격의 구비가 요구됐다. 신분, 事力, 상당한 기부금의 납부가 그것이다. 이들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부류들은 지역사회에서 영향력을 가진 자산가일 수밖에 없었다. 이들 가운데에는 포구 상업도시의 경제를 배경으로 성장한 객주를 비롯한 상인층이 다수 포함됐으며, 그중에는 자의든 타의든 매관매직을 통해 지위 상승을 도모한 자들도 적지 않았다.
    덕유정계는 이들 가운데 선출한 役員들, 바로 지방 유력자에 의해 운영됐다. 그중 강력한 힘과 권위를 가지고 조직을 이끌어 간 역원 사정의 先進으로 꼽힌 사백․접장․공원이었다. 선진은 직위와 나이라는 이중의 위계를 통하여 우대를 받으며 사정․계를 주도해 갔다.
    덕유정계는 통상적으로 심신수양, 친목도모, 사정관리, 기강 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했으나 자산가층의 친목․수양단체로서 기능했던 것만은 아니었다. 국망 이전에는 지역사회의 자치기능까지 수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말 일제시기에 이르러 덕유정의 준자치기구적 성격은 부정됐다. 그 대신 덕유정은 지방 유력자의 주도로 전개된 지역 사회활동의 중심 공간으로 변모해 갔으며, 1920년 이후 각종 弓術大會를 개최하면서 지역문화의 중심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이런 점에서 덕유정계는 조선후기부터 일제말기까지 포구상업도시의 경제를 배경으로 성장한 지방 유력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공간으로 기능해 왔다고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개항 전후, 국망 전후를 단절적으로 접근하는 연구사적 한계를 극복하고 내재적 발전의 선진지대의 사회변동을 규명하는 동시에 洋弓의 그늘에 가려 어려운 환경에 있으면서도 國弓의 재조명과 대중적 보급을 위해 노력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포구상업, 지방 유력자, 사계, 강경, 덕유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