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국의 '변강(邊疆)' 인식 및 인접지역과의 갈등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국내외지역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72-AM3003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09월 01일 ~ 200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안병우
연구수행기관 한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노영순(한신대학교)
김정희(한신대학교)
박상수(고려대학교)
박장배(한신대학교)
이유성(한신대학교)
이성제(한신대학교)
박정현(공주대학교)
윤휘탁(동아대학교)
노기식(한경대학교)
박선영(한신대학교)
최덕규(고려대학교)
이경룡(세종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시간적 측면에서는 중국측의 변강인식이 형성되는 과정과 그 실체를 파악하고, 공간적인 측면에서는 오늘날 문제가 되고 있는 중국의 변강인식과 해당 변강의 인접지역, 특히 러시아・베트남・티베트・북한과의 관계에서 야기되는 갈등이나 분쟁의 역사적 배경과 실상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중국 변강인식의 역사적 형성 과정과 배경, 이에 활용된 사료나 자료의 성격과 해석의 타당성 여부, 거기에서 도출된 변강 논리의 실체를 규명한다. 이러한 변강 논리가 현대 중국의 소수민족 및 변강정책에 어떻게 반영되며, 중국의 국가주의가 인접지역 혹은 국가와 야기하는 갈등의 양상과 성격, 그리고 그것이 향후 한반도 및 동아시아 사회에 미칠 영향 등을 밝혀낸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목표의 달성을 통해 향후 우리사회가 중국의 변강인식과 대외정책의 실체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논리적 모색의 발판으로 삼고자 한다.
  • 기대효과
  • ① 중국의 역사적・현재적 실체 파악을 위한 연구
    중국의 국제적 위상이 부상됨에 따라 중국의 대외인식과 그로 인해 발생했던 인접지역과의 갈등을 통시대적으로 분석할 필요는 더욱 커지고 있는데 본 연구는 중국의 현재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서 그 학문적 가치를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② 역사학적 방법론에 의한 중국과 아시아 지역 연구
    현재의 문제를 역사학적으로 접근하여 그 배경과 요인을 밝히는 작업은 지역학 연구에서 기본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중국과 인접지역 또는 인접국가와의 갈등 관계, 그리고 갈등의 내적 동기를 이루는 변강인식 문제를 역사학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해서 그 실체를 규명함으로서 사회과학적 방법론이 갖는 현상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여 기존의 지역학 연구에 폭과 깊이를 더할 것이다.

    ③ 중국의 동북지역 연구에 대한 학문적・실천적 대응
    본 연구의 주된 목적 중 하나는 현재 한국과 중국 당국 및 학계에 민감한 문제가 되고 있는 중국 역사학계의 동북지역연구계획인 [동북공정]에 대해 학문적으로 차분하게 대응하려는 것이다. 중국의 대외인식 및 인접지역과의 갈등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대두될 가능성이 없지 않은 한중간의 갈등에 대비한다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

    ④ 독자적인 시각의 중국학 연구 토대 구축
    본 연구는 현재적인 수요에 부응한 연구이면서 또한 학문적으로 우리의 독자적인 시각에 입각하여 중국을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한 토대 구축에 기여하는 기초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⑤ 학문의 파급 효과 및 후속 연구의 지속
    중국의 ‘변강’ 인식 및 인접 지역과의 갈등 연구는 21세기 세계의 지역 블록화에 대비하는 미래지향적 연구를 선도하는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다. 특히 [동북공정]으로 촉발된 한국과 중국의 갈등 관계를 해결하는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미래의 바람직한 한중 관계 모색에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고, 나아가 아시아 각국 간의 갈등을 푸는 평화 지향적 역사인식이라는 21세기 역사교육 목표에 기여하는 연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독자적이면서도 합리적인 시각에서 아시아의 문제를 분석하는 연구 풍토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영토 문제에 있어 인식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로 이 인식에 기반해서 일정 영토에 대해 주권을 주장하기도 하고 실력 행사로 나아가기도 한다. 이런 면에서 인식은 역사적 언어와 행위의 근원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인식이란 역사를 통해 끊임없이 변하며 왜곡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순간에 고착된 인식은 더 중요한 역사적 순간이 도래할 때까지는 잔존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국적 세계질서’ 또는 ‘변강’에 대한 인식이 커다란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역사적 계기를 따라가며 추적하여 이들 인식의 특징을 추출하려고 한다. 이들 인식은 대개 중국역사 속에서 통일왕조의 형성기인 진한, 수당, 원명청 시기에 커다란 변화를 겪었다.
    중국의 기본영토를 통일한 진한대 이래 이민족의 영역으로 영토를 확대해가는 과정을 거치면서 중국이 인식하고 있는 국내통일권의 권역이 변하였다. 이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변강 이민족에 대한 인식변화와 ㉡중국의 영토확장과 중화사상의 형성에 한족뿐만 아니라 이민족 특히 북방민족이 끼친 역할에 주목하고 ㉢화(華)와 이(夷), 중국과 ‘변강’이라는 이분법적 사고가 근대에 들어와서 어떻게 국경 개념에 동화되거나 잔존하는지 밝히려 한다.
    중국과 중국 인접지역과의 갈등의 요체는 국경문제이다. 국경과 영토문제를 둘러싼 인접국가와의 갈등은 역사성을 수반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는 오늘날 중국과 인접국가간의 국경문제의 핵심이 바로 역사인식에 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이 인식에 기반하여 일정 영토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고 나아가 무력분쟁으로 확대되기도 한다. 20세기 후반부터 본격화된 인접국가에 대한 중국의 영토적 주장은 ‘부당하게’ 빼앗겼던 영토를 회복하려는 시도로서 정당화되어 왔다. 이는 영토분쟁이 역사전쟁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바, 중국이 최근 수행하고 있는 [동북공정]은 이러한 역사적 정당성 확보를 위한 움직임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역사적 정당성 제시가 영토분쟁의 실체를 이루는 핵심 사안임을 인정할 경우, 중국이 영토분쟁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원하는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중국과 인접국간의 분쟁 대상이 될 수 있는 영토의 범위를 규명하고, 분쟁 국가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중국의 대응논리의 공통점과 차이점 파악하며, 분쟁영토에 대한 조정방식에 대한 해법을 추론해 보겠다.
    이를 위해 중국과 인접지역간의 갈등을 국경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러시아, 베트남, 티베트와의 영토분쟁, 그리고 중국과 북한간에 체결된 조중변계조약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 같은 사례 연구를 통해 ㉠인접지역과의 갈등과정에서 중국이 내세우고 있는 역사적 명분의 정당성을 규명하고, ㉡이것이 중국의 영토 확장주의로 표출되는 구조와 경위를 고찰하며, ㉢인접국과의 국경갈등이 발생되는 국제관계 및 이데올로기적 환경에 대한 이론적인 일반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예상되는 중국-한국간의 영토문제를 아시아 전체라는 틀 속에서 위치지우고 나아가 관계국과의 공조관계를 마련할 수 있는 연구기반을 조성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관련 연구자들이 역사적으로 ① 선진시대 중국의 영토개념의 형성과 진한대 대외인식의 변화, ② 위진남북조 시기의 요동 인식과 고구려, ③ 수당시기 국내통일전쟁과 대외정복전쟁을 통해 본 영토관과 대외인식, ④ 명청시대 만주에 대한 인식과 정책 등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가 밝혀내지 못한 중국의 변강인식의 형성과정과 배경, 그 추이 및 실체 등을 체계적으로 밝혀내려고 한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공간적・대외적으로 ⑤ 현대중국의 변강민족인식과 국가주의, ⑥ 중・러 국경문제-분쟁과 조정, ⑦ 영토와 화인(華人)문제-1979년 중월전쟁, ⑧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인식과 분쟁, ⑨ 1960년대 중국의 변경위기와 조중변계조약(朝中邊界條約) 등을 분석함으로써, 변강인식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추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도출된 중국의 변강민족인식과 국가주의가 중국 변강의 인접지역과 어떠한 갈등과 충돌을 야기했는지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밝혀내려고 한다.
  • 한글키워드
  • 화인,중러국경분쟁,중월전쟁,동북지방,동북공정,달라이라마,중소국경조정,러시아,티베트,천하관,책봉조공,중화사상,다민족통일국가론,국가주의,고구려,갈등,만주,중국,조중변계조약,이민실변,요동,신중화주의,봉금,변강,화이관,한중관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중국이 일으키고 있는 인접국과의 갈등을 분석하였다. 전체 연구는 시간적, 공간적 접근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부분에서는 중국의 영토 및 변강, 외부세계(민족, 국가)에 대한 인식의 형성과 변천을 고대에서부터 근현대까지 역사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부분에서는 이렇게 형성된 중국의 변강인식이 근현대 시기에 국가주의와 결합하여 인접한 국가들과 어떠한 갈등과 충돌을 야기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 영문
  • This research project analyzes conflicts initiated by China’s historical and territorial
    assertions.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that approaches the subject from the perspectives of time and space. The first part investigates historically China’s territory and borderland and formation and changes in the Chinese perceptions of the outside peoples and states from the ancient to the modern period.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way traditional Chinese perceptions of borderland fused with the modern statism and then provoked conflicts with neighboring states using actual historical cas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중국이 일으키고 있는 인접국과의 갈등을 분석하였다. 전체 연구는 시간적, 공간적 접근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부분에서는 중국의 영토 및 변강, 외부세계(민족, 국가)에 대한 인식의 형성과 변천을 고대에서부터 근현대까지 역사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부분에서는 이렇게 형성된 중국의 변강인식이 근현대 시기에 국가주의와 결합하여 인접한 국가들과 어떠한 갈등과 충돌을 야기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각각 연구결과들의 주요한 연구목적은 현재 중국정부와 학계가 주장하는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학술적 허위성과 정치외교적 책략을 폭넓게 깊이 파악하고 비판하여 극복하려는데 설정하였다. 다시 말해 중국정부는 현재 중국 국경선 안에 있는 다양한 민족들과 지배영역이 역사적으로 통합되었고 통일된 국가를 형성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중국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동북공정은 고구려역사를 침탈하고 한국 역사를 왜곡하며 정치적 의도를 갖고 현상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과 학술적 정치적으로 충돌하고 있으며 남북한 통일 후에 발생할 격렬한 대립과 갈등이 우려된다. 따라서 중국과 충돌하고 있는 당사자 한국학계의 본 연구팀은 중국의 ‘변강’ 인식과 주변지역과의 영토 갈등을 연구하여 현재 중국의 이러한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을 비판하고 문제점을 해명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결과들은 현재 중국정부와 학계가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을 주장하면서 근대적 ‘민족국가’를 형성하려고 하는데 그의 역사적 문제점을 해명하였고 동시에 정치적 전략을 분석하였다. 현재 중국은 인접국가들과 영토에 관하여 국경조약을 체결하였고 개혁개방 이후에는 국경선 안에 있는 다양한 민족들을 통합하기 위하여 경제개발 혜택을 나눈다는 구호 아래 경제적 민족적 정치적 문화적 통합을 도모하고 있다. 여기에는 동북공정과 서부 대개발이 주축을 이루고 있는데 동북공정은 고구려역사 침탈과 조선족 중국화 문제를 야기하였고 한국과 충돌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물들은 향후 한국과 중국의 역사인식과 국경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는데 필요한 학술적 기초를 제공하였다고 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가치
    기존의 변강 인식에 관한 연구는 변강의 형성 및 실태 분석에 그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단순히 변강 인식의 분석에 그치지 않고 변강 인식과 중화민족 개념의 형성 사이의 관련성, 더 나아가 중국 국가주의의 형성 및 배경 사이의 상관성을 밝히려는 것이다. 이 점을 고려해 본다면 본 연구는 중국 정부의 중요한 국가 전략인 사회주의 정신문명 건설과 그것의 주요한 구성 요소인 애국주의, 중화민족주의의 이론적 원천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 가치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2) 학문의 균형 발전
    현재 국내 중국사학계의 경향에서 나타나듯이, 중화인민공화국사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사 전공자인 필자가 역사학의 관점에서 근현대 중국의 변강 인식과 중화민족의 개념 형성 사이의 관련성, 그리고 변강 인식이 중국의 국가주의에 투영되고 있는 부분을 분석하는 작업은, 국내 역사학계의 불모지인 중화인민공화국사 연구에 조그마한 보탬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3) 학문의 파급 효과
    변강 인식과 중화민족 개념 형성의 상관성, 국가주의에 투영된 측면 등에 대한 연구는 현대 중국의 소수 민족 정책뿐만 아니라, 최근 불거질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新中華主義의 배경 및 국가주의의 실체 등을 엿볼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본 연구는 최근 "중국동북공정"에서 드러나고 있듯이, 중국 정부가 지향하고 있는 국정 방향, 특히 소수 민족의 단결과 애국심을 강조하고 있는 배경과 의도도 추측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중국의 신중화주의 혹은 국가주의 담론을 형성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 색인어
  • 갈등, 고구려, 국가주의, 다민족통일국가론, 달라이라마, 동북공정, 동북지방, 러시아, 만주, 변강, 봉금, 신중화주의, 요동, 이민실변, 조중변계조약, 중국, 화인, 중러국경분쟁, 중소국경조정, 중월전쟁, 중화사상, 책봉조공, 천하관, 티베트, 한중관계, 화이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