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통일시대를 대비한 남북한 문화예술의 소통과 융합 방안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40;인문사회분야&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413-G00020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3 년 (2011년 12월 01일 ~ 2014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수복
연구수행기관 단국대학교& #40;천안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박계리(한국전통문화대학교)
김정수(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최수웅(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홍지석(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임옥규(단국대학교)
배인교(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장사선(홍익대학교)
박덕규(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박영정(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강상대(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전영선(건국대학교)
김영운(한양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통일시대’ 남북 문화예술 통합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
    - 북한 정세 급변에 따른 통일 논의 활성화 계기로 한민족문화공동체 구축
    ▪ ‘문화예술’ 교류를 위한 국내외 자료의 수집과 체계화
    - 새로운 시대의 통일방법과 민족정체성 회복을 위한 효과적 접근방법 개발
    ▪ ‘소통과 융합’을 위한 기초연구와 정보망 구축
    - 남북한의 소통은 통일시대로 접근하는 첫걸음이며, 융합은 통일 이후의 최우선 과제임. ‘소통과 융합’을 위한 학문적 대안 마련
  • 연구요약
  • 1단계

    ▪ 남북 문화예술의 개념 및 학문 체계 이론적 특성 분석
    ▪ 북한 문화예술 체계 연구와 관련한 학술지․단행본 연구 자료의 수집과 정보화
    ▪ 북한 서사예술의 연구자료 수집 및 DB 구축
    ▪ 북한 공연․조형․음악예술 연구자료 수집 및 DB구축
    ▪ 북한 문화예술 교육기관의 교육체계와 편제, 교과목 현황 분석

    2단계

    ▪ 북한 문화예술단체 자료 수집과 DB 구축
    ▪ 북한 문화예술 창작 현황 분석
    ▪ 북한 서사예술 작품/작가 자료 수집과 DB 구축
    ▪ 북한 공연․조형․음악예술 작품/작가 자료 수집과 DB 구축
    ▪ 북한 문화예술의 감성체계 분석
    ▪ 남북한 문화예술의 교류와 소통 방안 제시
  • 한글키워드
  • 공연예술,문학,드라마,무용,문화,북한,통일,조형예술,음악,예술,영화,연극,서사예술,미술
  • 영문키워드
  • Art,Drama,Culture,Dance,Film,Literature,Visual Art,Unification,Theater,Performing Art,North Korea,Narrative Art,Music,Fine Ar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중점연구사업은 남북한 문화예술의 소통과 융합 방안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분단 이후 이질화된 남북한 문화예술의 소통과 융합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문학·영화·음악·공연·조형 예술 등을 포괄하는 학제 간 연구를 통하여 문화예술 공통의 특성과 장르별 특성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고찰할 수 있도록 1, 2, 3단계로 사업을 연계하여 연구하고 있다. 단계별 사업 연계에 따라서 북한 문화예술 일반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성에 천착하면서도 각 분야, 장르의 매체, 형식적 특수성을 존중하여 문화예술 통합체계 및 이론체계, 감성체계의 통합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1단계 연구 사업은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진행됐다. 첫째, 북한 문화예술의 이론적 근간이 되는 연구(이론/비평)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DB로 구축하여 북한 문화예술 이론체계 연구의 토대를 구축했다. 둘째, 수집/DB 자료를 활용하여 남북 문화예술의 이론체계 통합방안을 모색했다.
    2단계에서는 1단계 연구를 기반으로 북한문화예술의 창작현황과 감성체계를 분석하고 남북문화예술의 교류와 소통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문학, 영화, 음악, 조형, 공연예술 등 북한 문화예술 각 분야의 창작현황 관련 자료를 수집, DB화하는 한편 그러한 자료를 학문적으로 검토,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북한 문화예술 감성체계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질화된 남북 정서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남북 문화예술의 소통과 통합 방안을 강구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1단계 이론체계 분석 연구 성과를 보다 실천적인 수준에서 확대, 보완하는 작업이 되었다.
    3단계는 1단계와 2단계 연구를 기반으로 통일 미래 준비를 위한 남북 문화예술의 통합교육과 융합 방안을 마련하고 한민족 문화예술의 글로벌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학, 영화, 음악, 조형 공연 예술 등 북한 문화예술 각 분야의 해외 연구 자료를 수집, DB화하는 한편 그러한 자료를 학문적으로 검토,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해외 남북한 문화예술 연구 및 융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통합 이론의 체계를 정립하고 통합의 실천방안을 제시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단계별 연구 진행에 따라 남북한 예술 소통의 공간과 융합의 접점을 전체 장르를 통합하는 방식으로 접근함으로써 통일시대를 대비한 정서적 통합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일의 연구대상을 한민족에 의해 생산되어 온 문화예술 전체로 확대하여 해외 한민족까지 포괄하는 넓은 범주의 연구를 가능케 한다. 또한 국제학으로서 한국 문화예술 연구의 동력과 가능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영문
  • The main research project at affiliated institute of Korean culture and Technology of Dankuk University is aiming to study for finding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fusion on Culture and Ar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is is a fundamental research for the communication and fusion on heterogeneous Culture and Ar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fter the division of two countries and to look into the common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by genre on the Culture and Arts more methodically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cluding on literature, movie, music, performance, formative arts etc as doing research by linking the businesses stage by stage 1,2,3 While studying on general common characteristics on Culture and Arts of North Korea depending on businesses linkage stage by stage and having respect for the area, media of genre, characteristics of formality, I have been preparing the way of unifying Culture and Arts integrated system, theory structure, sensibility system .

    The first stage of the research business was proceeded from two aspects. First, collecting research (theory/criticism) materials which is theoretical basis of Culture and Arts of North Korea , and then I built the foundation of study of theory structure on Culture and Arts of North Korea by creating a database. Second, I looked for the integration plan of theory structure on Culture and Ar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y using collection/database materials.
    On the second stage, based on the research of stage 1, I wanted to analyze the status of creativity and sensibility system and suggest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Culture and Arts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o do so, I collected materials which are related to the status of creativity on Culture and Arts in North Korea in each field such as literature, movie, music, performance, formative arts etc and then created a database and from reviewing, analyzing these materials academically, I looked into the causes of heterogeneous emo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s studying on character of sensibility system on Culture and Arts in North Korea. On the basis of this, I could find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unification on Culture and Ar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the work, I could expand, compensate the research outcome of the first stage on theory structure more practical.
    On the third stage, based on the researches of stage one and two, I would like to prepare integrated education and fusion plan on Culture and Arts between South and Sorth Korea for our unification in the Future and build Global Network of the Korean people. To do so, I would like to collect overseas research materials on Culture and Arts in North Korea in each field such as literature, movie, music, performance, formative arts etc as creating a database and also want to do research on overseas Culture and Ar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seek for fusion plan by reviewing, analyzing materials academically. In addition, I would like play a huge role in setting up the system of unified theory and its presenting action plan.

    As processing research stage by stage like that, interface between the space of Art commun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fusion, we can lay the groundwork for emotional unification preparing for the age of unification by approaching as a way to unify the whole genre. Furthermore, it's also possible to do research on broad categories including the Korean people in overseas expanding an object of study for unification up to the whole Culture and Art produced by the Korean. In addition, it will contribute to the power of study and improvement of possibility on research of Korean Culture and Arts as international stud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중점연구사업은 남북한 문화예술의 소통과 융합 방안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분단 이후 이질화된 남북한 문화예술의 소통과 융합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문학·영화·음악·공연·조형 예술 등을 포괄하는 학제 간 연구를 통하여 문화예술 공통의 특성과 장르별 특성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고찰할 수 있도록 1, 2, 3단계로 사업을 연계하여 연구하고 있다. 단계별 사업 연계에 따라서 북한 문화예술 일반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성에 천착하면서도 각 분야, 장르의 매체, 형식적 특수성을 존중하여 문화예술 통합체계 및 이론체계, 감성체계의 통합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1단계 연구 사업은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진행됐다. 첫째, 북한 문화예술의 이론적 근간이 되는 연구(이론/비평)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DB로 구축하여 북한 문화예술 이론체계 연구의 토대를 구축했다. 둘째, 수집/DB 자료를 활용하여 남북 문화예술의 이론체계 통합방안을 모색했다.
    2단계에서는 1단계 연구를 기반으로 북한문화예술의 창작현황과 감성체계를 분석하고 남북문화예술의 교류와 소통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문학, 영화, 음악, 조형, 공연예술 등 북한 문화예술 각 분야의 창작현황 관련 자료를 수집, DB화하는 한편 그러한 자료를 학문적으로 검토,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북한 문화예술 감성체계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질화된 남북 정서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남북 문화예술의 소통과 통합 방안을 강구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1단계 이론체계 분석 연구 성과를 보다 실천적인 수준에서 확대, 보완하는 작업이 되었다.
    3단계는 1단계와 2단계 연구를 기반으로 통일 미래 준비를 위한 남북 문화예술의 통합교육과 융합 방안을 마련하고 한민족 문화예술의 글로벌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학, 영화, 음악, 조형 공연 예술 등 북한 문화예술 각 분야의 해외 연구 자료를 수집, DB화하는 한편 그러한 자료를 학문적으로 검토,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해외 남북한 문화예술 연구 및 융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통합 이론의 체계를 정립하고 통합의 실천방안을 제시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단계별 연구 진행에 따라 남북한 예술 소통의 공간과 융합의 접점을 전체 장르를 통합하는 방식으로 접근함으로써 통일시대를 대비한 정서적 통합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일의 연구대상을 한민족에 의해 생산되어 온 문화예술 전체로 확대하여 해외 한민족까지 포괄하는 넓은 범주의 연구를 가능케 한다. 또한 국제학으로서 한국 문화예술 연구의 동력과 가능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단계별 체계적 연구를 통하여 국내외 북한 문화예술 자료 수집과 DB 구축, 이를 통한 전문자료실 운영 , 북한 문화예술의 이론 정립과 전문 학술서, 총서 및 사전류 간행, 북한 문화예술의 감성체계 분석, 남북 소통방안 제시 등을 수행하였다. 또한 향후 남북 예술의 통합이론과 남북의 소통과 융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학문적, 사회적 남북 문화 연구의 모형을 제시하고 교육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인력양성 방안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자료수집, DB구축, 학술서 발간 등을 통해 북한 문예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고 통일시대를 대비한 남북한 문화예술 연구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 자료 수집을 바탕으로 특수자료실을 구축하였으며 이러한 전문자료실 운영을 통해 소장 자료들을 학술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기간 동안 국내외 북한 자료 취급 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소장 자료의 확충 및 다각화를 시도했고, 해외 자료 수집을 통해서는 국내 미소장 북한 문예자료를 확보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문화예술분야의 정기간행물 DB를 구축했고, 작가(문화예술인), 작품, 단체정보를 문학, 영화, 공연, 조형, 음악예술 각 분야로 세분화하여 DB로 구축했다. 수집된 자료 및 DB는 교육부 국정원의 특수자료 관리 규정에 따라 외부연구자에 관련 자료를 개방하고, 북한 문화예술 관련 전문기관에 기증, DB 자료를 활용한 단행본 간행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고 앞으로 그 범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본 연구는 통일시대 문예연구를 위한 학문적 의제, 방법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고자 한다. 전문 연구서와 대중 교양서 간행 등을 통해 관련 학계의 연구 성과를 공유 확산하고자 한다. 또한 통일부,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등 정부 부처 및 관련 기관과의 교류를 통해 정책 개발 및 자문과 관련 연구기관(단체)와의 교류 협력을 통한 학문적 의제 개발 및 제안에 본 연구 결과물을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학문후속세대 육성과 교육 프로그램 계발을 위해 남북 문예연구를 활용하고자 한다. 그동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교육 프로그램 계발, 대학, 대학원 과정 교육 프로그램 계발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차후 일반인을 위한 교양 강좌 개설 및 운영, 탈북자, 해외 한민족 문화예술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계발로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 또한 예술교육의 측면에서 남북 예술교육의 체계 통합 방향과 모델 개발을 제시하고 한민족 문화예술의 글로벌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국제화 시대에 부응하는 연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현시대 남북의 불신과 적대감 해소에는 동질적 분야의 교류 협력이 남북한 문화통합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남북 문화교류와 통합에 대비한 충격을 완화하고 화합에 기여할 수 있는 문화교류의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북한의 문화예술 연구를 대중화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정치적 관점으로 북한을 바라보던 입장과 달리 문화예술을 통한 유연한 접근을 통하여 대중 대상 북한이해 교육이 가능해질 것이다. 더 나아가 남북한, 해외 한민족을 아우르는 한국학으로서의 한민족 문예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 색인어
  • 남북 문화예술, 통일시대, 소통과 융합, 통일 문화예술사, 학제 간 문화예술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