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어계통 구명을 위한 알타이제어 현지 조사 연구 및 음성 영상 DB 구축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어의 계통을 밝힐 수 있으면 그것은 한민족의 계통을 밝히는 데 가장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한국어의 계통을 밝히는 일은 쉽지 않다. 인도-유럽 언어들과는 달리 한국어가 본격적으로 기록되기 시작한 것이 600년을 넘지 못하고, 한국어와 기원이 같다고 확신할 만한 언어도 아직은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헌자료가 충분치 않고, 계통이 비교될 만한 언어가 마땅히 없다고 해서 한국어의 계통이라는 중요한 연구를 포기하거나 미룰 수는 없다. 열심히 노력해서 자료를 확보하고, 연구방법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자료부족을 메우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 현재로서는 알타이 언어들에 대해 더 깊이 연구하는 것이라는 데는 아마 언어를 전공하지 않는 사람들도 어렵지 않게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50여개의 알타이 언어들이 지구상의 7,000여개 언어들 가운데 한국어와 가장 닮은 언어들이고, 계통적 관련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언어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알타이언어들도 가장 오래된 문헌 기록이 1300년 정도에 불과하고, 현존하는 알타이언어들 대부분은 곧 사라질 위기를 맞고 있다. 이 언어들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대개 러시아와 중국에 살고 있고, 20세기 들어 이들이 러시아와 중국 사회에 급격히 동화되어 자기네 말을 잃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시간을 더 끌다가는 퉁구스어들의 거의 대부분과 튀르크어들과 몽골어들의 상당수가 완전히 사라져 조사조차 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에 ○○○○○학회와 ○○대, □□대, ◇◇◇◇◇대, △△대 교수, 연구원, 대학원생들이 팀을 조직하고 역할을 정해 한국어 계통 구명의 기초를 놓기 위한 조직적 연구에 나서게 되었다. 다행히 한국학술진흥재단이 3년에 걸쳐 재정 및 행정을 지원하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의미심장한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1) 전 세계 학자들이 지난 백 수십 년간 한국어의 계통과 관련성을 염두에 두고 비교 연구한 모든 언어자료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웹 서비스 기반을 구축하였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한국어와의 계통적 관련성을 구명하기 위해 진지하게 비교 분석된 것이면 비(非) 알타이언어 자료까지 망라하였다.

    (2) 중국 감숙, 흑룡강, 신장위구르자치구, 러시아의 칼미키아, 시베리아, 우크라이나, 몽골 서북지방 등의 만주어, 어웡키어, 어원어(라무트어), 다르하드어, 동부유고어, 칼미크어, 부리야트어, 카라임어, 출름 튀르크어, 서부유고어, 쇼르어, 투바어(차탕 방언), 우리앙하이어에 대한 현지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모두 30여개의 알타이언어(방언)를 현지에 가서 직접 조사하고, 현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언어자료(언어 당 어휘 평균 2,700여 항목, 문장 700여 항목)를 분석, 전사, 기술하여 음성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고, 웹을 통해 일반에 공개하기 위해 준비를 갖추었다.

    (3)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한국어 계통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알타이언어의 정밀한 분석과 기술에 대한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알타이언어를 기술하는 최적의 모델을 정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구축된 자료를 웹을 통해 공개함으로써 한국의 알타이학계가 절멸 위기의 언어연구 등 세계 언어학계의 과제에 동참, 기여함을 알리고, 그로써 한국 학문의 위상을 드높이고, 연구 성과의 대중화에도 기여할 수 있었다.
  • 영문
  • Genealogy of Korean language would be the most precise hint for the question about the origin of Korean peopl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establish the genealogy of the Korean language because material for historical comparative study is not sufficient: Written text of Korean, in real sense, appeared first time in the 15th century, there is no language which would be regarded as a relative of Korean.
    At present, the best way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cy of the historical comparative material is to do researches on the Altaic languages, that is Tungusic, Mongolian, and Turkic languages, the strongest candidates to be genetically related to Korean. They are the nearest ones both typologically and geographically to Korean among 7000 languages of the world.
    However, many of the Altaic languages are in danger of disappearing. Most of the Tungusic languages and many of the Mongolian and Turkic languages would disappear in a generation or two because many of their speakers are living in Russia and China, and they are being rapidly assimilated to the Russian and the Chinese societies losing their mother tongues.
    Therefore, the ○○○ Society of Korea, together with scholars and graduate students of ○○ ○○ University, □□ University, ◇◇ University of ◇◇, △△ △△ University organized the team to do systematic researches for the Fieldwork studies of Altaic languages for genealogy of Korean. Fortunately to our research,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supported this ambitious project both financially and administratively for three years which led our research to very significant success as below:

    (1) We made the data base which includes all the linguistic materials used in the researches for the genealogy of Korean by scholars all over the world for over 100 years. The basis was founded for the web service to enable everybody to share our research results. The major portion of our data base is the lexical and grammatical morphemes of the various Altaic languages, however non-Altaic materials are also included if they were sincerely compared and analyzed for the research of the genealogy of Korean.

    (2) We did fieldwork studies on 30 some Altaic languages(dialects) such as Manchu, Evenki, Ewen (Lamut), Eastern Yugur, Kalmyk, Buryat, Karaim, Chulym Turkic, Western Yugur, Shor, Tuva(Tsaatan dialect), Uriangkhai in Gansu, Xinjiang, and Northeastern part of China, Kalmykia and Siberia of Russia, Ukraina, and northwestern part of Mongolia. We collected about 2700 vocabularies and 700 sentences on each language through our fieldwork studies. We analyzed, transcribed, described those materials and built both the audio and the video data base for the web service for the public use.

    (3) Upon completion of this project, we were able to put together all the achievements of the previous researches. Thence we built the base from where we can propose the new direction for the study of genealogy of Korean. We built the base for the most proper model for the description of the Altaic languages through the experiences of precise analysis and description. Through the web service, we informed the learned circle of linguistics of the world that the Altaic Society of Korea is participating and contributing to the study of endangered language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of the linguists of the whole worl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어의 계통을 밝힐 수 있으면 그것은 한민족의 계통을 밝히는 데 가장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한국어의 계통을 밝히는 일은 쉽지 않다. 인도-유럽 언어들과는 달리 한국어가 본격적으로 기록되기 시작한 것이 600년을 넘지 못하고, 한국어와 기원이 같다고 확신할 만한 언어도 아직은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헌자료가 충분치 않고, 계통이 비교될 만한 언어가 마땅히 없다고 해서 한국어의 계통이라는 중요한 연구를 포기하거나 미룰 수는 없다. 열심히 노력해서 자료를 확보하고, 연구방법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자료부족을 메우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 현재로서는 알타이언어들에 대해 더 깊이 연구하는 것이라는 데는 아마 언어를 전공하지 않는 사람들도 어렵지 않게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50여개의 알타이 언어들이 지구상의 7,000여개 언어들 가운데 한국어와 가장 유사한 언어들이고, 계통적 관련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언어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알타이 언어들도 가장 오래된 문헌 기록이 1300년 정도에 불과하고, 현존하는 알타이 언어들 대부분은 곧 사라질 위기를 맞고 있다. 이 언어들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대개 러시아와 중국에 살고 있고, 20세기 들어 이들이 러시아와 중국 사회에 급격히 동화되어 자신들의 모어(母語)를 잃어가고 있기 때문에 현재 조사를 실시하지 않는다면 만주퉁구스어들의 거의 대부분과 튀르크어들과 몽골어들의 상당수가 완전히 사라져 조사조차 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에 ○○○○○학회와 ○○대, □□대, ◇◇◇◇◇대, △△대 교수, 연구원, 대학원생들이 팀을 조직하고 역할을 정해 한국어 계통 구명의 기초를 놓기 위한 조직적 연구에 나서게 되었다. 다행히 한국학술진흥재단이 3년에 걸쳐 재정 및 행정을 지원하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의미있고 중요한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1) 지난 백 수십 년간 진행되어 온 한국어 계통과 관련된 모든 언어자료를 입력하여 DB를 구축하고 웹서비스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 DB에는 다양한 알타이언어의 어휘와 문법형태소는 물론 한국어와의 계통적 관련성을 구명하기 위해 진지하게 비교 분석된 것이면 비(非)알타이언어 자료까지 망라하였다. 또한 언어자료를 담고 있는 문헌에 대한 DB도 아울러 구축하였다.
    (2) 지난 3년간 중국 감숙, 흑룡강, 신장위구르자치구, 러시아의 칼미키아, 시베리아, 우크라이나, 몽골 서북지방 등의 만주어, 어웡키어, 어원어(라무트어), 다르하드어, 동부유고어, 칼미크어, 부리야트어, 다오르어, 출름 튀르크어, 서부유고어, 쇼르어, 카라임어, 투바어(차탕 방언), 우리앙하이어 등을 각 1회 이상 조사하였다. 이로써 지난 3년간 절멸 위기에 처한 30여개의 알타이언어(방언)에 대한 현지 조사를 실시하여 음성과 영상 자료를 수집하였다. 현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언어 자료(언어 당 어휘 평균 2,700여 항목, 문장 700여 항목)을 분석, 전사, 기술하여 음성-영상 DB를 구축하고 일반에 공개하기 위한 웹서비스 시스템을 마련하였다.
    (3)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한국어 계통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알타이언어의 정밀한 분석과 기술에 대한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알타이언어를 기술하는 최적의 모델을 정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아울러 구축된 자료를 웹을 통해 공개함으로써 한국의 알타이학계가 절멸 위기의 언어(Endangered Languages) 연구 등 세계 언어학계의 과제에 동참하여 기여하고 있음을 알리고, 그로써 한국 학문의 위상을 드높이고, 연구 성과의 대중화에도 기여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지난 3년간 이 연구 과제는 절멸 위기의 알타이언어를 직접 현지 조사하고 그 간의 비교 어휘 문헌 자료를 정리하여 어휘 DB와 음성-영상 DB를 구축하였다. 비교 어휘 DB를 구축하기 위하여 1945년부터 현재까지의 문헌을 수집-정리하여 DB와 이에 바탕을 둔 웹서비스의 기반을 구축하였다. 현지 조사는 중국, 러시아, 몽골, 우크라이나 등의 지역에 퍼져 있는 30여개의 알타이언어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현지 조사를 통해 수집한 언어 자료는 음성-영상 자료로 변환되어 DB로 구축되어 웹서비스의 바탕을 마련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학문적인 측면에서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알타이언어의 구조적 기술이 가능하며 이러한 연구의 성과는 학술지를 통하여 학계에 보고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어를 아직도 기원과 계통에 대하여 알 수 없는 언어로 기술하고 있는 세계의 역사비교언어학자들의 생각을 고치는 데 일조할 것이며, 후학들의 한국어 계통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둘째, 연구를 통하여 구축되는 DB를 인터넷을 통하여 공개할 것이다. 한국어의 비교 어휘 자료를 총망라하는 동시에, 알타이언어의 현지 조사 연구 결과물인 음성 영상 DB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IT강국으로서의 한국의 면모를 보여주게 될 것이다. 인터넷에 공개된 우리의 자료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 이 분야를 연구하는 외국인에게도 지대한 도움을 주어서 한국인의 학문적 위상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셋째, 전 세계 언어학계의 주요 관심사인 절멸 위기의 언어(Endangered Languages)를 연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널리 알려서 한국인의 문화 능력과 경제 능력에 걸맞은 학문 활동을 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곧 사라져 버릴 위기에 처한 인류의 문화를 한국에서 확보하여 전 세계에 보급할 수 있다.
    넷째, 우리의 현지조사 연구가 절멸위기의 언어공동체를 자극하여 모어 보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보존 의욕을 고취함으로써, 또한 가능한 범위 안에서 학문적 지원을 베풀어(한글 보급 포함), 절멸위기의 언어공동체 스스로 위기를 극복해 가는 사례를 만들어 나갈 수도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알타이언어(Altaic Language), 절멸위기의 언어(Endangered Languages), 한국어의 계통(Genealogy of Korean), 비교 어휘 DB(Comparative Lexicon Database), 문헌 DB(Reference Database), 현지 조사(Fieldwork), 만주퉁구스어파(Manchu-Tungus Branch), 몽골어파(Mongol Branch), 튀르크어파(Turkic Branch), 음성 영상 DB(Audio-Video DB), 웹서비스(Web Service)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