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유성기음반 해제와 정보 웹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원
연구과제번호 2008-322-G00003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3 년 (2008년 07월 01일 ~ 2011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배연형
연구수행기관 동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인숙(서울대학교)
전영주(상명대학교)
이승남(동국대학교)
이유기(동국대학교)
김무봉(동국대학교)
이윤정(한양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1945년 이전에 발매된 한국 유성기음반을 해제(解題)하고, 유성기음반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웹 상용화(常用化) 시스템을 완성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단은 <한국 유성기음반 관련자료(1899-1945) 수집 ․ 정리와 DB구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이 축적된 정보의 학술적 이용과 효율의 극대화를 위해 유성기음반을 해제하고, 모든 관련 자료를 디지털화 하여 「한국유성기음반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Digital Archive System)」으로 완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역점 사항은, 이미 축적되어 있는 유성기음반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①유성기음반(留聲器音盤) 해제의 완성, ②유성기음반 음향 자료의 디지털화, ③음반 관련 문헌정보의 디지털화, ④음반 및 관련 인물 이미지 자료의 디지털화를 이룩함으로써 모든 유성기음반 관련 정보를 동시에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완성하는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단의 연구를 통해 생산된 결과물은 유성기음반이 지닌 다양한 학문적 연계성으로 인해 기존의 인문학 연구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의 생산적인 학문적 ․ 사회적 결과를 발생시킬 것이다. 특히 인터넷을 활용하는 한국유성기음반 디지털 아카이브는 대중적으로 공유될 수 있는 문화 인프라를 구축할 것이다. 또한 근현대 문화예술의 종합적 정리로 문화콘텐츠 개발 및 지원체계를 구축할 것이다.

    ⑴ 한국유성기음반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한 문화 인프라 구축과 학문적 ․ 사회적 활용
    • 20세기 전반 한국 공연예술 음향자료 및 문헌자료의 수집 ․ 정리 ․ 보존
    • 인터넷 접속을 통한 정보 접근성의 시공간 확대
    • 학문적 기초자료의 총체적 제공을 통해 자료의 왜곡이나 훼손을 방지
    • 음악과 문학을 비롯한 역사학, 연극 ․ 영화, 사회학 등의 제반 학문 분과에 종합적으로 활용

    ⑵ 정보자료 관리의 과학화로 신속한 정보처리 및 전달체계를 확립
    • 한국 최초의 유성기음반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
    • 음반의 수집 ․ 보존 ․ 관리에 적합한 서지학적 관리 체계 구축
    • 개인 소장가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정보 활용체계 변화

    ⑶ 문화예술자료 중심의 전문화 특히 한국유성기음반을 활용한 연구의 심도 강화로 근현대 문화예술사의 연구를 활성화
    • 예술작품 재현의 항시적 현장화: 예술작품을 다각적으로 접하는 사이버 공간 구현
    • 이론과 문헌, 악보 중심의 연구에서 실물 자료와 음원 중심의 연구로 변환
    • 자료의 공개와 대중화로 연구의 저변 확대와 심도 강화
    • 학제간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문화예술자료의 창조적 결합(검색과 크로스체크를 통해)

    ⑷ 국내외 예술정보 협력체계 네트워크 구축, 해외 아카이브와의 교류
    • 아르코예술정보관(http://library.arko.or.kr), 국악방송국(http://www.gugakfm.co.kr)과 같은 예술정보 사이트와의 연계를 통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방송국과의 협력체계 네트워크 구축
    • 워싱턴 대학의 민족음악 ․ 무용 아카이브(Archives of Ethnic Music and Dance)와 미국국립박물관 겸 아카이브(Smithsonian Institution, http://www.smithsonianglobalsound.org), 에딘버러 대학의 스코틀랜드 연구 센터(Center for Scottish Studies), 일본의 오사카 국립민족학박물관(http://www.minpaku.ac.jp) 등과 같은 해외 아카이브와 교류 협정을 맺어 예술과 관련된 연구의 범위 확대

    ⑸ 21세기 문화강국 혹은 문화 수출 강국이 되기 위한 문화자원 개발의 근원
    • 문화의 시대인 21세기의 지식정보화시대를 향한 최고의 정보창고
    • 소재개발이 시급한 영화, 연극계에 레퍼토리 제공
    • 근현대 문화예술의 종합적 정리로 문화자원 개발 및 지원체계의 구축

    ⑹ 정보의 대중화를 통하여 문화예술 수용자들의 자유로운 참여와 이용을 유도
    • 인터넷이라는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의 유통으로 연구의 저변 확대
    • 학문적 접근이 쉽지 않았던 문화예술 연주자들의 참여와 이용을 유도
    • 21세기적인 홈페이지 구축을 통해 다양한 정보의 창조적 결합화

    ⑺ 구비 전승 음원의 보존과 연구
    • 문헌으로 정리되지 못한 전통음악, 대중음악, 양악의 정보 보존과 확립
    • 국어학 전공자를 통한 노랫말의 채록 방법론의 연구
    • 판소리 사설정리와 근대 국어의 음성연구 심화

    ⑻ 유성기음반을 통한 근대 미디어 연구의 활성화
    • 출판미디어 중심에서 음성미디어 중심으로의 연구 방향 변화 유도
    • 매체의 제작 기술 및 미디어 발달에 관한 연구 심화
    • 음반 광고 및 유통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근대 문화상품 마케팅 연구 활성화
    • 문화 상품의 대중적 소비와 사회적 반응에 대한 이해 심화

    ⑼ 근대 문화사 연구의 심화 확대
    • 21세기 연구의 중심인 문화사 연구의 저변 확대
    • 대중이 직접적으로 소비한 유성기음반을 통해 풍속의 변화를 거시적으로 파악
    • 유성기음반 자료의 전문화로 생활사 연구 강화
    • 문화와 자본, 대중성과 창조성, 예술성, 제국주의의 문화정책 등과 같은 광범위한 연구의 지평 확대
  • 연구요약
  • 본 연구팀의 과제는 ①음반해제의 디지털화, ②음향자료의 디지털화, ③음반관련 문헌 정보화 및 인물정보의 디지털화, ④이미지자료의 디지털화, ⑤한국유성기음반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의 완성이다. 본 연구를 전체적인 목표와 작업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⑴ 제1단계―해제대상 음반 및 유성기음반 관련 문헌자료의 조사와 수집
    • 1899년부터 1945년까지 발간된 신문과 잡지를 대상으로 자료를 조사
    • 기존의 목록에서 누락된 자료를 최대한 조사, 목록을 보강하고 새로 발굴된 자료를 보완
    • 인쇄물의 형태로 접근이 가능한 자료는 모두 이미지화
    • 수집된 모든 자료는 디지털 스토리지 및 자료집으로 제본 ․ 보관

    (2) 제2단계―음향자료와 이미지자료의 디지털화
    • 유성기음반을 현대적인 음향기술로 재생하여 디지털화
    • 저작권법에 준하여 인터넷 환경에 맞게 편집
    • 희귀자료가 대부분인 유성기음반 관련 이미지자료의 디지털화
    • 음반 실물 레이블, 가사지, 매월신보, 신문․잡지 광고, 인물 사진의 이미지를 디지털화
    • 입력된 자료의 입력 상 오류를 웹상에서 확인 및 수정 가능

    (3) 제3단계―자료의 정리와 분류, 해석
    • 조사한 자료의 항목을 기준으로 각 분과별로 필요한 자료를 정리하고 선별
    • 연구 주제와 관련하여 핵심적인 자료와 부차적인 자료로 선별
    • 음악학, 국문학, 국어학 등의 전문연구원이 자료를 각 학문분과에 맞게 분류
    • 자료의 해석은 책임연구원들이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맞추어 적절하게 수행

    (4) 제4단계―실제 유성기음반 해제 작성
    • 현재까지 음원이 확인된 2,500곡의 전통음악에 대한 해제 작성
    • 전통음악의 장르별 전문 연구자를 통한 표준 해제의 작성
    • ①음반서지, ②음악적 해제, ③사설의 문학 ․ 예술·문화사적 해제, ④참고문헌 및 관련자료 등 객관화된 방법론을 통한 해제 양식의 통일

    (5) 제5단계―유성기음반 관련 문헌자료의 입력과 DB화
    • 조사 ․ 수집 ․ 정리된 자료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입력을 진행하는 단계
    • 현대 국어에 익숙한 최근 연구자들을 위하여 검색어에 대한 현대화 작업
    • 국어학 전공자들이 국어의 입력과 검색에 대한 종합적인 방법론을 연구
    • 입력된 자료는 본 연구팀이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에 축적

    (6) 제6단계―한국유성기음반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설계
    • 자료의 수집과 동시에 병행하여 전체적인 디지털 아카이브를 설계
    • 해제 ․ 텍스트 ․ 이미지 ․ 음원의 항목별 검색, 그 결과를 일목요연하게 출력 가능하게 함
    • 자료의 전문적 해독 없이 이해하기 힘든 정보와 다른 정보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창의적 정보 구축에 중점

    (7) 제7단계―한국유성기음반 디지털 아카이브의 시스템 홈페이지 구축
    • 20세기 전반 한국 공연예술 음향자료 및 문헌자료의 수집 및 정리
    • 인문학 ․ 예술학 등의 제반 분과에서 활용 가능한 한국유성기음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상용화 및 연구의 저변 확대
    • 근현대 문화예술의 종합적 정리로 문화콘텐츠 개발 및 지원체계의 구축
  • 한글키워드
  • 음반광고,근대,근대문화,미디어,아카이브,음반사진,연극,대중,가사,음원,공연예술,성악,기악,민요,판소리,대중음악,전통음악,출력,입력,검색,근대국어,국어,데이터베이스,연주자,작사가,작곡가,채록,해제,멀티서비스,웹서비스,홈페이지,음악,인터넷,시스템,영화,음반문헌학,디지털,음악사,음악학,유성기음반,문화사
  • 영문키워드
  • vocal music,musical history,musicology,music,SP Recodings,media,cultural history,modern culture,composer,transcription,modern,input,instrumental music,folk song,disc advertising,output,internet,search,modern korean,korean,data base,performer,poet,pansori,popular music,traditional music,multi-service,web service,mass,movie,play,discology,iconograpy,homepage,system,digital,archive,bibliographical introduction,song's text,sound source,performing arts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