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분야 Personal Researcher Page

연구자 정보
ㆍ연구책임자 수행 과제 5 건
ㆍ공동연구자 참여 과제 1 건
ㆍ게재 논문수 26 건
ㆍ저술 저역서수 0 건
ㆍ그 외 성과물수 5 건
ㆍ총 피인용횟수 66 건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업적통합정보에 등록된 연구자 정보
한국연구업적통합정보(KRI)에 등록된 연구자 상세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한국연구재단(www.nrf.re.kr)에
등록된 이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해야 합니다. 한국연구재단에 회원가입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회원가입을 부탁드립니다.
한국연구재단 지원 인문사회분야 연구과제 수행 현황
연구책임자로 수행한 과제목록
1. 재단과제 재단과제 가이드
백제 혜균의 이제와 중도 사상
진행중 | 조윤경 | 2023 | 사업명 : 신진연구자지원
2. 재단과제 재단과제 가이드
『대승현론』 이전의 삼론학과 이후의 삼론학
종료 | 조윤경 | 2020 | 사업명 : 신진연구자지원
단행본(3) 보고서(1) 논문(3)
3. 재단과제 재단과제 가이드
삼론종의 변증법적 중도 사상 -法朗과 中假師의 논쟁을 중심으로-
종료 | 조윤경 | 2018 | 사업명 : 신진연구자지원
단행본(1) 보고서(1) 논문(1)
4. 재단과제 재단과제 가이드
삼론종의 ‘二諦相卽’ 사상
중단 | 조윤경 | 2016 | 사업명 : 시간강사지원사업
단행본(1) 보고서(1)
5. 재단과제 재단과제 가이드
삼론종의 이원적 범주 연구 -『大乘四論玄義記』제1권 「初章中假義」의 소밀(疏密), 횡수(横竪), 단복(單複), 쌍척(雙隻), 통별(通別)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종료 | 조윤경 | 2015 | 사업명 : 시간강사지원사업
단행본(1) 낱장자료(1) 보고서(1) 논문(1)
 
공동연구자로 참여한 과제목록
1. 재단과제 재단과제 가이드
미래학으로서 공동체문화 연구의 패러다임 정립과 활용 -공동체문화 연구 패러다임의 미래학적 구상과 활용체계 구축-
진행중 | 이영배 | 2021 | 사업명 : 중점연구소지원
 
인문사회분야 연구성과물 현황
게재 논문 목록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와 연구지원시스템(eRND)에 등록된 자료와 기초학문자료센터(KRM) DB구축사업을 통해 확인된 자료임)
1.논문
연구결과물
길장의 4중이제설은 무한히 전개될 수 있는가?
불교학연구회 | 불교학연구 pp.117~144 불교학
출처연구과제 : 『대승현론』 이전의 삼론학과 이후의 삼론학
2.논문
KCI등재 연구결과물
중층과 호환 - 3중이제설과 4중이제설의 구조적 이해 -
철학연구소 | 철학논집 pp.35~63 철학
출처연구과제 : 『대승현론』 이전의 삼론학과 이후의 삼론학
3.논문
KCI등재 연구결과물
4중이제설에 관한 비판적 고찰 - 길장은 그 당시 다른 학파들을 겨냥하여 4중이제설을 전개했는가? -
불교문화연구소 | 불교학리뷰 pp.9~36 불교학
출처연구과제 : 『대승현론』 이전의 삼론학과 이후의 삼론학
4.논문
KCI등재
양 무제의 육식 금지령에 나타난 윤리적 쟁점 -『단주육문(斷酒肉文)』을 중심으로-
한국불교연구원 | 불교연구 pp.9~39 불교학
5.논문
KCI등재
성실론사의 삼종중도(三種中道)와 혜균의 비판
한국불교학회 | 한국불교학 pp.97~124 종교학
6.논문
KCI등재
공기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본 ‘해오’와 ‘증오’ 개념의 형성
한국불교학회 | 한국불교학 pp.9~38 종교학
7.논문
KCI미등재
현장의 불전 번역 원칙 : 도안 및 구마라집의 번역과 비교하여
pp.1~26 기타불교학
8.논문
KCI등재
고구려 승랑의 융합적 사유 - 중가의(中假義)와 이교의(理敎義) -
한국불교학회 | 한국불교학 pp.9~42 종교학
9.논문
KCI등재
古代中國與百濟的中觀思想
새한철학회 | 철학논총 pp.267~281 철학
10.논문
KCI등재 연구결과물
삼론종의 변증법적 중도 사상 - 법랑(法朗)과 중가사(中假師)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선학회 | 韓國禪學(한국선학) pp.157~185 응용불교학
출처연구과제 : 삼론종의 변증법적 중도 사상 -法朗과 中假師의 논쟁을 중심으로-
11.논문
KCI등재
다섯 음식의 비유와 5시의 불교
한국불교학회 | 한국불교학 pp.185~218 불교학
12.논문
KCI미등재
원효와 길장의 만남과 대화 ― 『금강삼매경론』의 출입관과 삼론종의 출입관 사이의 연속성과 비연속성에 대하여 ―
pp.110~140 한국불교철학
13.논문
KCI미등재
원효와 혜균의 만남과 대화 ― 원효의 화쟁·회통에 보이는 혜균의 변증법적 논리를 중심으로 ―
pp.41~74 한국불교철학
14.논문
KCI등재
‘이제상즉(二諦相卽)’에 대한 길장의 다층적 해석
한국불교학회 | 한국불교학 pp.195~226 불교학
15.논문
삼론종에서의 깨달음, 궁극적 경지인가 점진적인 과정인가?
불교학연구회 | 불교학연구 pp.93~120 불교학
16.논문
연구결과물
삼론종의 이원적 범주 연구-󰡔大乘四論玄義記󰡕 제1권 「初章中假義」의 소밀(疏密), 횡수(橫竪), 단복(單複), 쌍척(雙隻), 통별(通別)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 불교학연구 pp.55~83 불교학
출처연구과제 : 삼론종의 이원적 범주 연구 -『大乘四論玄義記』제1권 「初章中假義」의 소밀(疏密), 횡수(横竪), 단복(單複), 쌍척(雙隻), 통별(通別)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17.논문
KCI미등재
삼론종에서의 깨달음, 궁극적 경지인가 점진적인 과정인가?
불교학연구회 pp.87~108 기타불교학
18.논문
KCI등재
양 무제의 정교결합과 대승사상 - 「주해대품서」와 출가인수보살계법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禪文化硏究 pp.43~82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19.논문
KCI등재
『삼론종과 중국불학』 悟实法师, 『三论宗与中国佛学』, 北京: 宗教文化出版社, 2014.
한국불교학회 | 한국불교학 pp.445~456 종교학
20.논문
법랑(法朗)의 ‘상즉(相卽)’ 개념
불교학연구회 | 불교학연구 pp.145~172 불교학
21.논문
KCI등재
삼론종 ‘이제시교’(二諦是敎) 명제의 재검토 - 『대승현론』(大乘玄論)에 근거한 ‘약교이제설’(約敎二諦說)에 대한 비판 -
철학연구소 | 철학논집 pp.33~63 철학
22.논문
KCI등재
삼론교학에 나타난 ‘방편(方便)’의 의미 - ‘방편(方便)’과 ‘권(權)’의 비교 고찰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禪文化硏究 pp.7~41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23.논문
KCI등재후보
성실학파의 ‘二諦相即’에 대한 사상적 고찰
불교문화연구소 | 불교학리뷰 pp.129~163 불교학
24.논문
KCI등재후보
삼론종에서 ‘부정’만이진리에 도달하는 유일한 방법인가? —楊惠南, <吉藏>(台北: 東大圖書公司, 1989) —
불교문화연구소 | 불교학리뷰 pp.191~207 불교학
25.논문
KCI등재
『大乘玄論』길장 찬술설에 대한 재고찰 -「二諦義」를 중심으로
조윤경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禪文化硏究 | (16호) | pp.321~360 | 2014-06-01 | 불교문헌학
26.논문
KCI등재
境界二谛与言教二谛理论结构之比较 ―围绕净影慧远“四宗二谛”与嘉祥吉藏“四重二谛”―
조윤경 | 한국중국문화학회 | 중국학논총 | (38호) | pp.247~262 | 2013-04-01 | 기타중문학
 
저술 저역서 목록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eRND)에 등록된 자료와 기초학문자료센터(KRM) DB구축사업을 통해 확인된 자료임)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그 외 성과물 목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KRM) DB구축사업을 통해 확인된 자료임)
1.보고서
연구결과물
(결과보고)『대승현론』 이전의 삼론학과 이후의 삼론학
조윤경 | 2023-10-29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출처연구과제 : 『대승현론』 이전의 삼론학과 이후의 삼론학
PDF(1)
2.보고서
연구결과물
(결과보고)삼론종의 변증법적 중도 사상 -法朗과 中假師의 논쟁을 중심으로-
조윤경 | 2019-10-3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출처연구과제 : 삼론종의 변증법적 중도 사상 -法朗과 中假師의 논쟁을 중심으로-
PDF(1)
3.낱장자료
중간산출물
[낱장자료] 삼론종의 이원적 범주 연구
조윤경 | 불교학연구회 | 한국불교철학
출처연구과제 : 삼론종의 이원적 범주 연구 -『大乘四論玄義記』제1권 「初章中假義」의 소밀(疏密), 횡수(横竪), 단복(單複), 쌍척(雙隻), 통별(通別)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4.보고서
연구결과물
(결과보고)삼론종의 ‘二諦相卽’ 사상
조윤경 | 2017-02-15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출처연구과제 : 삼론종의 ‘二諦相卽’ 사상
PDF(1)
5.보고서
연구결과물
(결과보고)삼론종의 이원적 범주 연구 -『大乘四論玄義記』제1권 「初章中假義」의 소밀(疏密), 횡수(横竪), 단복(單複), 쌍척(雙隻), 통별(通別)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조윤경 | 2017-02-14 | 한국불교철학
출처연구과제 : 삼론종의 이원적 범주 연구 -『大乘四論玄義記』제1권 「初章中假義」의 소밀(疏密), 횡수(横竪), 단복(單複), 쌍척(雙隻), 통별(通別)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PDF(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