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2461&local_id=10002792
대구지역 섬유패션산업의 미래전략 연구 :밀라노프로젝트와 공급사슬관리(SCM)전략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대구지역 섬유패션산업의 미래전략 연구 :밀라노프로젝트와 공급사슬관리& #40;SCM& #41;전략을 중심으로 | 2002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여택동(영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S1009
선정년도 2002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5년 01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대구․경북의 섬유사업은 1980년 말까지 우리나라의 주요 기간산업이자 수출산업이었지만, 90년대 초부터 국제경쟁력을 잃기 시작하였다. 대구․경북지역 섬유산업은 업종별로 중간단계인 제직, 염색 등 미들스트림 분야에 편중되어 직물산업의 최종공정인 봉제, 패션산업의 생산기반이 취약하여 상품의 고부가가치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대구지역 섬유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년간 『밀라노프로젝트(Milano Project)』가 추진되었다. 1기 밀라노프로젝트는 제직, 염색 등 미들스트림(middle stream)에 편중된 지역 섬유산업 구조를 패션․디자인․어패럴산업 등의 다운스트림(down stream)과 연계해 발전시키며, 대구를 세계적인 섬유패션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산업구조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그러나 1기 밀라노프로젝트에서는 인프라시설만 갖추고 있을 뿐, 프로젝트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다품종 소량생산과 미들스트림-다운스트림간 협력적 경쟁체제가 아직 제대로 구축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포스트(2기) 밀라노프로젝트를 통해 대구지역 섬유패션산업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보인다. 그 근본적인 문제는 미들스트림-다운스트림으로 이어지는 공급사슬간의 협력체계가 미약하다는 것이다. 공급사슬간의 협력체계는 최근 새로운 경영혁신전략으로 등장한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전략을 통해 대구 섬유패션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대구지역 섬유패션산업은 여타 산업에 비해 매우 복잡한 공급사슬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도의 SCM전략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밀라노프로젝트 후속사업(2기 밀라노프로젝트)의 고도화 전략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는 대구지역 섬유업계의 공급사슬(Supply Chain) 관계에 있는 지역 섬유패션업계의 효율적인 SCM(공급사슬관리)전략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2기 밀라노프로젝트 사업의 고도화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4가지 세부과제를 연구하였다.
    첫째, 섬유산업이 대구지역 경제에 차지하는 실질적인 역할과 기능 및 비중 등을 관련산업과의 투입산출모형을 통하여 산업연관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구지역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밀라노 프로젝트의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2기 밀라노프로젝트사업에 실질적으로 기여를 할 수 있는 정책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대구지역 섬유패션업계에서 생산하는 제품은 지역 섬유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미들스트림 분야인 직물과 다운스트림 분야인 의류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이들 분야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쟁환경에서 IT기반의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대구지역 섬유패션제품의 경쟁우위요소인 특화된 합섬직물과 고부가가치 패션산업으로의 효율적 연계, 새로운 관계성의 개발(CRM), 섬유패션산업의 IT화를 통해 지역섬유패션산업의 미래 경영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 전략을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서 적극적인 수출시장의 개척 및 내수시장의 활성화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셋째, 대구지역 제직관련 업체들의 수평적․수직적 파트너쉽(partnership) 현황을 분석하여 업체간 제품개발, 공동생산, 공동마케팅 등의 업무 제휴를 위한 수평적 협력방안을 모색하여 이미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한 경영전략 소프트웨어에 집중적 투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넷째, 대구지역 섬유산업의 통합물류관리의 중요한 연구대상인 지역섬유제품의 육상운송의 수송경로와 수송관리실태를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수리적 모형을 통해 이를 분석하여 효율적 수송관리 전략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대구지역 섬유산업의 효율적 제품수송을 도출할 수 있는 수리모형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른 섬유제품의 현실적 수송관리전략을 제시하였다. 특히 수리모형을 이용하여 최적안을 도출할 수 있는 해법과 현실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영문
  • The textile industry has been a key sector in Korea from early 1960s through late 1980s. Especially, the textile industry in Daegu region had played a significant role on the expansion of Korean exports and the prosperity of regional economy until the late 1980s. Since that time on, the region's textile industry began to lose its comparative advantage and/or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Very recently the local government with the help of the central government designed and implemented a five year project, so called "Milan Project" to boost the depressed industry and to revitalize the stagnant regional economy. However, there have been ongoing question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Then this study intends to evaluate "the Milan Project" designed to revive the textile industry in Daegu-Kyungbuk area and then intend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local government as well as the central government in Korea.
    Although interests in internet-based export marketing has been growing rapidly, only a few empir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analysis of determinants and performances of the internet export marketing activiti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ternet export marketing activities of Korean textile firms.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commitment on the internet usage for export marketing activities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commitment and export marketing performances.
    To regain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global textile industry the Korean textile firms need to strategically collaborate each other on developing partnership relations. This study, as a first step for developing a futuristic partnership between textile firm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partnership relations among textile firm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Data were obtained from 163 textile firms in the region by a questionnaire survey. More than a half of the textile firms had a partnership experience in product manufacturing and wanted to have one in product development. Partnerships with firms in the same sub-industr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even though various pairs were observed. Length of partnership was related with the history and size of the firm but not with partnership performance. Partnership itself affected neither the firm's perception of its competitive power nor the perceived intensity of industry competition.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and examine the determinants of strategic alliance performance for textile companies. Determinants of strategic alliance performance (perceived performance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included similarity of strategic partners (organizational compatibility, resource complementarity, and strategic value) and relationship capital (trust and commitment). A conceptual model hypothesized the mediating role of relationship capital between partner similarity and alliance performance. All the hypothesized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patibility, resource complementarity, and strategic value on trust and commitment and, in turn, on performance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were empirically proven.
    Last,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realistic model for establishing a new transportation network system in Daegu region. The model is constructed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traffic allocation plan for the industry in textile-industry-hub-oriented region and to evaluate the freight transportation routes between the manufacture process regions and the destination. Utilizing the model and actual data, this study intends to construct real transportation network system for the reg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study provides a pilot study for the strategies and schemes on establishing a new transportation network system for the region's indust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대구․경북의 섬유사업은 1980년 말까지 우리나라의 주요 기간산업이자 수출산업이었지만, 90년대 초부터 국제경쟁력을 잃기 시작하였다. 대구․경북지역 섬유산업은 업종별로 중간단계인 제직, 염색 등 미들스트림 분야에 편중되어 직물산업의 최종공정인 봉제, 패션산업의 생산기반이 취약하여 상품의 고부가가치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대구지역 섬유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년간 『밀라노프로젝트(Milano Project)』가 추진되었다. 1기 밀라노프로젝트는 제직, 염색 등 미들스트림(middle stream)에 편중된 지역 섬유산업 구조를 패션․디자인․어패럴산업 등의 다운스트림(down stream)과 연계해 발전시키며, 대구를 세계적인 섬유패션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산업구조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그러나 1기 밀라노프로젝트에서는 인프라시설만 갖추고 있을 뿐, 프로젝트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다품종 소량생산과 미들스트림-다운스트림간 협력적 경쟁체제가 아직 제대로 구축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포스트(2기) 밀라노프로젝트를 통해 대구지역 섬유패션산업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보인다. 그 근본적인 문제는 미들스트림-다운스트림으로 이어지는 공급사슬간의 협력체계가 미약하다는 것이다. 공급사슬간의 협력체계는 최근 새로운 경영혁신전략으로 등장한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전략을 통해 대구 섬유패션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대구지역 섬유패션산업은 여타 산업에 비해 매우 복잡한 공급사슬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도의 SCM전략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밀라노프로젝트 후속사업(2기 밀라노프로젝트)의 고도화 전략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는 대구지역 섬유업계의 공급사슬(Supply Chain) 관계에 있는 지역 섬유패션업계의 효율적인 SCM(공급사슬관리)전략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2기 밀라노프로젝트 사업의 고도화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4가지 세부과제를 연구하였다.
    첫째, 섬유산업이 대구지역 경제에 차지하는 실질적인 역할과 기능 및 비중 등을 관련산업과의 투입산출모형을 통하여 산업연관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구지역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밀라노 프로젝트의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2기 밀라노프로젝트사업에 실질적으로 기여를 할 수 있는 정책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대구지역 섬유패션업계에서 생산하는 제품은 지역 섬유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미들스트림 분야인 직물과 다운스트림 분야인 의류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이들 분야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쟁환경에서 IT기반의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대구지역 섬유패션제품의 경쟁우위요소인 특화된 합섬직물과 고부가가치 패션산업으로의 효율적 연계, 새로운 관계성의 개발(CRM), 섬유패션산업의 IT화를 통해 지역섬유패션산업의 미래 경영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 전략을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서 적극적인 수출시장의 개척 및 내수시장의 활성화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셋째, 대구지역 제직관련 업체들의 수평적․수직적 파트너쉽(partnership) 현황을 분석하여 업체간 제품개발, 공동생산, 공동마케팅 등의 업무 제휴를 위한 수평적 협력방안을 모색하여 이미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한 경영전략 소프트웨어에 집중적 투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넷째, 대구권 섬유산업의 통합물류관리의 중요한 연구대상인 지역섬유제품의 육상운송의 수송경로와 수송관리실태를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수리적 모형을 통해 이를 분석하여 효율적 수송관리 전략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대구권 섬유산업의 효율적 제품수송을 도출할 수 있는 수리모형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른 섬유제품의 현실적 수송관리전략을 제시하는데 있었다. 특히 수리모형을 이용하여 최적안을 도출할 수 있는 해법과 현실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이 있다. 본 연구가 4가지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세부과제별로 활용방안을 서술한 후에 전체 연구과제의 활용방안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1) 제1 연구과제: 본 과제를 통하여 제1기 사업추진 효과에 대한 산업연관모형의 결과 분석을 통해 섬유산업전반과 여타산업에 미친 파급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대구지역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밀라노 프로젝트의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2기 밀라노프로젝트사업에 실질적으로 기여를 할 수 있는 정책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 제2 연구과제: 본 과제는 대구지역 섬유산업의 경쟁우위 및 경쟁열위의 원천이 되는 생산구조적인 측면, 수출상품 구조적인 측면, 대외 인지도적인 측면 등 다양한 요소로부터 IT기반 글로벌마케팅과 접목을 통한 기획제안형 제품이 어떤 것이 있는지, 차별화 상품, 또는 소재분야의 해외시장 개척 방안 등에서 업계의 대응전략 차원에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3) 제3 연구과제: 대구지역의 99%의 중소 제직관련 업체들의 수평적․수직적 파트너쉽(partnership) 현황 분석은 업체간 제품개발, 공동생산, 공동마케팅 등의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의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중소 제직업체간 상호보완적 역량의 결합은 생산공정의 개선, 신소재․신기술 개발의 제휴를 통하여 지역 섬유업계가 경쟁적 협력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이론적 바탕을 제공하여 줄 것이다.
    (4) 제4 연구과제: 본 과제는 대구권 섬유산업의 효율적 제품수송을 도출할 수 있는 수리모형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른 섬유제품의 현실적 수송관리전략을 제시할 수 있었다. 특히 수리모형을 이용하여 최적안을 도출할 수 있는 해법과 현실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상과 같은 세부과제의 추진으로 섬유패션산업이 21세기 생활문화 선도형 산업으로 정착하며, 대구지역 섬유업계가 SCM구축으로 재고와 물류부담에 대한 부담을 해소하고 고급화 및 고부가가치화에 한층 더 근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단순한 지역발전계획의 차원을 넘어 우리나라 섬유패션산업을 중장기적으로 발전시키는데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며, 산업생태계가 역동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학문적 바탕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으로 본 과제추진은 교육측면의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본 과제는 지역의 산업을 이해하고 현장감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제2기 밀라노프로젝트』의 미래 경영전략의 일환인 SCM 전략을 제시함으로서, 제1기가 하드웨어 구축에 있다면 제2기는 이를 이용할 소프트웨어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정책자료의 근거를 제공한다. 셋째, 본 연구는 지역의 국책사업을 지역경제 및 지역의 산업구조적인 특징을 통해서 분석하고 고도화전략을 제시하려는 시도는 지역연구에 있어 훌륭한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색인어
  • 섬유산업, 밀라노프로젝트, 공급사슬관리전략, 지역 투입산출모형, 산업구조분석, 수출마켓팅, 패션산업, 전략적 제휴, 통합적 물류관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