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806&local_id=10020040
텍스트 해석학적 관점에 의한 한국전통공간디자인 접근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텍스트 해석학적 관점에 의한 한국전통공간디자인 접근에 관한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경애(국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03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1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전통공간디자인을 해석학에 기반한 텍스트로 간주하여, 현대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전통공간개념의 입력-해독체계로서 텍스트해석학적 접근방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연차별 세부주제와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차년도는 ‘텍스트해석학적 관점에서 한국전통공간의 유형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한국전통공간의 유형학적 구조로서 한국인의 내재적 의식에 의해 형성된 전통사고에 기반해서 나타나는 전통공간의 공간적 시각적 특성을 옐름슬레우의 구조주의 이론과 원효의 화쟁사상에 근거하여 유형화하고, 전통공간의 현대적 적용에 있어서 전통공간구조의 해석과 도입에 관하여 무의식적 기제로부터 비롯되는 라캉의 은유법과 환유법을 통해 개념적 접근논리를 형성한다.
    2차년도는 ‘한국 전통공간디자인 텍스트의 지시작용 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공간텍스트의 언어학적 해석은 텍스트 구조와 결합하도록 패턴화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텍스트의 지시작용이라는 측면에서 전통공간 컨텍스트의 감성, 정신, 본성 등 이미 조직되어 있는 속성들의 장에 디자인 텍스트를 편입시키는 논리를 구체화하여, I호텔 공간디자인을 사례로 서울 궁궐의 공간적 컨텍스트와 디자인 텍스트의 구조를 공간의 구조적 상응관계라는 측면에서 유비적으로 분석하는 틀을 제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는 텍스트의 지시작용에 의한 실증주의적 해석방법론이 한국전통의 공간텍스트를 현대의 디자인 텍스트로 재조직화하는 접근논리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3차년도는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도상해석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이다. 도상해석학의 내용과 구조를 공간디자인에 도입한 한국전통공간디자인의 도상해석학적 분석으로서, 전통공간의 현대적 변용을 위한 지역차원의 디자인연구라는 측면에서 각각 전도상적 기술, 도상학적 분석, 도상학적 해석을 시도한다. 전도상적 기술에서는 시대 및 장소에 입각한 시각적 표현양식 측면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상학적 분석에서는 도상의 유형을 풍토성, 민속성, 전통성의 세 가지로 범주화한다. 도상학적 해석에서는 의미중첩성의 측면에서 우의성, 이위성, 잠재성 세 가지 관점에서 다룸으로써, 도상해석학이 우리의 심층감성구조와 결합된 집단표상을 표출하는 창조적 환상으로서의 한국전통공간디자인에 접근하는 적합한 체계임을 제시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as text on the basis of Hermeneutics and to suggest an approach as encoding-decoding system of Korean traditional space concept for contemporary space application.
    The details of this study in order of year is illustrated as follows:
    The study of the first year is ‘A Study on the Typolog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Space in terms of Text Hermeneutics’. As typological structure of traditional space, spacial and visual expressive characteristics in traditional space based on traditional thoughts of Koreans formed with inherent consciousness are structuralized with Hjelmslev‘s Structuralism and Wonhyo's Whajaeng theory. This study tries conceptual analysis based on Lacan's Metaphor and Metonymy emerged from unconscious mechanisms about interpretation and induction of the traditional spacial structure for contemporary Application.
    The study of the second year is ‘A Study on the Designation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Text’. This study is interested in how philological interpretation of a space text were patterned so as to give the text structural cohesion. It concretize a logic that traditional space context is inserted in organized attribute like emotion, spirit, nature as character of contemporary space text through typological structure. From aspect of designation theory among interpretive semantics, it shows that korean contemporary space design text is incorporated with typological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palace spacial context homologically through the case study of I-Hotel space design.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suggest that positivistic interpretation methodology by designation of text is logical thinking of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The study of the third year is ‘A Study on the Iconological Approach of the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It clarifies Iconology as a method that is applicable logic for Korean space design. As an analysis of korean space design, this study analyse in three steps that are pre-iconological description, iconological analysis, iconological interpretation each in terms of modernization research at regional korean space design. In the step of the pre-iconological description, it describe visual representative style based on era and place. In the step of the iconological analysis, the typical structure is classified in status, vernacular, ethnic, traditional. In the step of the iconological interpretation, connotation is categorized into allegory, multivalence, potential.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suggest that iconology is an appropriate approach system of Korean space design images as creative fantasy that represent symbols combined with our deep emotional struc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우리공간문화의 특성을 수용해석학적 시각에서 조망함으로써, 우리의 유·무형 문화 속에 존재하는 보편적 인자인 ‘한국성’을 현대의 공간디자인에 적용하는 우리 공간조형언어의 현대화에 관하여 ‘텍스트 해석학적 디자인 접근방식’을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차별 연구주제와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텍스트해석학적 관점에서 한국전통공간의 유형해석에 관한 연구」로서,
    구조주의 관점에서 한국전통공간의 유형학적 해석으로서 옐름슬레우의 구조주의 이론과 원효의 화쟁사상에 근거하여, 은유와 환유구조의 문화적 상징성이라는 측면에서 공간의 전통해석과 도입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한국 전통공간디자인 텍스트의 지시작용 해석에 관한 연구」로서,
    전통공간해석에 대한 접근방식으로서, 컨텍스트의 의미관계를 중심으로 텍스트의 지시작용에 관한 해석학적 관점이 전통공간디자인의 의미체계를 분석하고 정체성을 규명하는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밝히고, 제안한 텍스트의 지시작용의 해석학적 접근방식이 공간의 의미구조의 성찰을 심화시키는 디자인에 접근하는 하나의 방법론임을 제시하였다.
    셋째,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도상해석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로서,
    전통공간의 현대적 해석에 있어, 전도상적 기술단계에서 도상학적 분석, 도상학적 해석단계로 이행되는 담론을 도상해석학 이론을 통해서 형성하는 논리를 제기하여, 지역적 전통표현의 현대적 접근은 디자인과 해석의 심층적 단계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디자인방향을 제시하였다.
    다학제적 연구를 시도하려는 국내외의 움직임 속에서, 텍스트해석학 및 도상해석학을 디자인 프로세스에 접목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시도는 ‘전통의 수용과 해석’이라는 현안의 해결로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 연구동향에 부응하고 학문발전을 선도하는 연구 배경을 지닌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해석학적 사유체계를 도입하여 대상과 표상을 해석하는 공간디자인 접근 방식을 정립함으로써, 연구의 결과는 디자인분야에서 수용해석적 접근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것이라 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1차년도 ‘무의식적 구조의 관점에서 한국전통공간텍스트의 유형 해석’, 2차년도 ‘텍스트의 다의성의 관점에서 전통공간디자인의 의미중첩성과 지시작용 해석’, 3차년도 ‘도상해석학에 의한 문화사적 관점에서 전통공간디자인 해석’의 연속적 연구과정을 통하여 전통공간디자인 해석으로 범주화된 연속적 세부주제를 ‘공간디자인텍스트의 수용과 해석’이라는 시각으로 접근함으로써, 전통공간의 심리적, 미적, 기능적 의미들을 현대적 형태- 공간언어로 표출하는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에 의해 연구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문적 기대효과로서, 역사, 문화, 해석학, 도상학 등을 공간디자인이라는 특수맥락에 수용하여 공간을 해석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전통공간디자인에 대한 철학적 사유방식의 새로운 학문적 기반을 구축한다. 또한 우리전통문화의 하나의 축인 전통공간문화의 이론화 과정에 의해서 본 연구의 전통공간 현대화 방안의 세분화된 해석 접근론은 건축학, 주거학, 디자인학 등 관련분야에 전통문화의 위상을 정립하는 학문적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기대효과로서, 우리민족의 오랜 삶의 지혜가 스며있는 전통문화에서 오늘날 우리사회를 이해하고 동질감을 유지할 수 있는 민족적 정서와 전통적인 개념에서 발견되는 조형적 아이디어로 새로운 디자인문화기류를 형성, 한국 고유가치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게 한다.
    또한 산업적 활용방안으로서 한국전통공간디자인 산업의 디자인개발에 의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여 생활문화 속에 내재된 전통이미지의 현대적 표현, 한국성의 구현으로 현재와 미래의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한류의 지속적 성장 및 전 세계적 확산 속에서 한국 고유의 개성과 미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독창적인 공간디자인 개발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 색인어
  • 한국전통공간디자인, 텍스트해석학, 공간텍스트, 구조주의, 유형학, 옐름슬레우, 라캉, 은유, 환유, 무의식적 구조, 텍스트, 컨텍스트, 리쾨르, 지시작용, 자기화, 도상해석학, 파노프스키, 지역적 원형, 창조적 환상, 현대적 적용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