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083&local_id=10027446
미국의 '대중동구상'과 중동국가들의 대응 외교정책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미국의 & #39;대중동구상& #39;과 중동국가들의 대응 외교정책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를 중심으로-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상률(& #40;재& #41; 세종연구소)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27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3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2003년 11월 부시정부가 발표한 '대중동구상(Greater Middle East Initiative)’에 대한 중동 국가들의 대응 외교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중동 국가들의 외교정책 결정 과정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연구․분석하고 중동지역 국가들의 대외정책결정 과정을 이해하여 우리의 대중동정책결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9.11 사건 이후 미국의 부시 행정부는 ‘공세적 현실주의’를 신안보전략으로 채택하였는데, ‘대중동구상’은 이러한 신안보전략을 중동 지역에 적용한 것이다. 즉 민주적 변화와 개혁, 인간 개발을 통해 중동 테러리즘으로부터 미국 및 서구의 안보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부시정부의 대중상구상에 대해 중동의 주요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이집트는 어떻게 대응했는가

    첫째, 사우디아라비아는 ‘대중동구상’에 대해 한편으로는 순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대응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슬람가치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개혁을 하고 있다. 시장화란 관점에서 볼 때, 사우디아라비아는 경제 분야에서는 점진적인 변화와 시장화를 추구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미국이 선포한 ‘테러와의 전쟁’을 수용하여 2004년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이슬람주의자들의 색출에 나섰다. 그러나 과도한 석유의존, 정치적 의지의 결여, 외부간섭에 대한 반대, 안전보장 염려 등으로 미국의 대중동구상 같은 외부의 강요에 의한 개혁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처럼 사우디아라비아는 미국의 대중동구상 정책에 한편으로는 수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대적 자율성을 가지면서 독자적 외교정책을 수립함으로써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의 대중동구상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완전한 실효성을 가지지 못한다고 하겠다.

    둘째, 시리아는 부시정부의 대중동구상에 대해 외부 강요에 의한 개혁에 반대하는 입장에서 무시정책으로 대응했다. 미국의 대중동구상 발표이후 2005년 2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1932년 건국이후 최초로 민주적 지방선거가 실시되었고, 이집트에서는 2005년 9월 대통령 선거부터 2명 이상의 후보가 대통령직에 도전하는 자유 직접선거 방식이 도입되었으며, 쿠웨이트에서는 2005년에 여성들에게 공식적으로 투표권 및 선거 출마권한이 부여되었고 쿠웨이트 여성들은 2006년 6월 총선에서 동 권한을 행사하는 등 중동지역에 민주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그러나 시리아는 무시 정책으로 일관하고 있다.
    미국의 대 중동구상에 의한 중동지역 국가에서의 미국식 민주주의 정착은 팔레스타인과 이란의 투표결과와 이라크와의 전쟁 이후의 이라크 정세에서 나타나듯이 동 구상은 과거 미국의 아이젠하워 독트린 등 중동과 관련한 미국의 여러 정책처럼 시간이 지나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잊혀 질 수도 있을 것이지만 시리아를 포함한 중동 국가들에게 정치적 민주화와 경제적 개혁이 필요하다는 점을 일깨워준 사실만으로도 중동지역 정세 변화에 큰 기여를 했다고 할 것이다.

    셋째, 친미온건 국가인 이집트는 부시 정부의 대중동구상에 대해 ‘다수후보자가 참여하는 직선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헌법 개정과 그에 따른 대통령 선거, 약간의 언론자유 부여라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2003년 9월 발표된 미국의 ‘대중동구상’은 중동정치에 새로운 의제, 즉 중동의 개혁(민주화와 자유화, 인간개발)이라는 담론을 제시했다. ‘대중동구상’에 대한 다양한 후속 개혁안들이 제시되기도 하고, 중동의 관련 당사국들은 새로운 정치변동 국면에 직면하여 직간접적으로 대응을 하게 되었다. 즉 지방자치제 도입, 여성 참정권 확대 등 약간의 민주화 조치를 통해 ‘대중동구상’의 압력에 대응했다.
    이집트는 ‘다수후보자가 참여하는 직선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헌법 개정과 그에 따른 대통령 선거, 약간의 언론자유 부여라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미국의 ‘대중동구상’에 대해 일단은 ‘수용적’ 입장을 취한 것이다. 그러나 야당 및 이슬람주의 세력, 미국 및 서구가 요구하는 정도의 개혁 조치에는 거리가 먼 피상적이고 형식적인 개혁에 머물렀다. 작은 개혁 조치로 대응했다는 점에서 작은 정치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근본적인 개혁은 포스트 무바라크 시대에나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작은 개혁이 장기적으로 이집트의 민주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서는 장기적
  • 영문
  • June 9, 2004, President Bush declared a modified and extended policy, ‘the Broader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itiative(BMENAI)’. In this day, President Bush led the G-8 in establishing a historic "Partnership for Progress and a Common Future" with the Broader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o support efforts to advance democracy, freedom, prosperity and reform I this region.
    In Sum, the US idea to impose the American type of democracy upon the Greater Middle Eastern countries that have different cultural, religious and historical background was not welcomed by the most of the concerned countries, especially the Arabs. Positions of the Arab countr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 first group included the ones that supported the idea, the second was those who called for dialogue with the US and the third was those who rejected the initiative completely.
    In this context, three paper were dealt.
    In case of Saudi Arabia, the Saudi Arabian foreign policies were affected by the American Initiative policy at the same time the Saudi Arabia responses to the American Foreign policy. According to this analysis framework, the details of American Democracy, market economy, War against Terrorism in the Saudi Arabia are studied.
    In this contest the Saudi Arabia accepts the American Initiative. For example, the Saudi Arabia proclaims the War against the terrorism. So the Saudi Arabia continues to reform within the scope of Islamic values. While the American foreign policies like the Middle East Initiative have not effect on reform of the Saudi Arabia because of saudi's dependence on oil, the weak of political will, the opposition of outside interferences. Namely the pursuit of the interest, the pursuit of independent security, the cooperation with GCC states, cooperation with European states and Asian states are principals of Saudi Arabian foreign polices within relative autonomy.
    In case of Syria, the paper studies the reaction of the Syrian Arab Republic to the initiative. Syria ,which is one of the two countries that did not sign a peace accord with Israel, rejected the initiative. Along the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US and the Middle East in general and between US and Syria in particular are also considered. In conclusion, it became clear that Syria ,which is still considered by US as one of the countries that sponsor terrorism, supported the US in its was against terror at the beginning. With a new young president, Bashar al-Assad, since June 2000, Syria is well aware of the fact that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reforms are required to enable the country to become an active member in the New World Order. Syria, under the pressur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thdrew its military forces from Lebanon in May 2005. Thus, the influence of Syria in Lebanon, which was one of the closest allies in the eyes of the Syrian Government in its war against Israel, has been weakened. Syria is at the crossroads for transformation.
    Nevertheless, Syria rejects the reform imposed upon it by external pressure, especially by the US, which is a close ally of its archenemy, Israel, and which has maintained double standards in dealing with Middle Eastern issues. Syria continues to proceed on its own way for reform.

    In case of Egypt, the paper studies the background and contents of GMEI in foreign policy of U.S.A, and how Egypt to respond to external pressure to reform.
    Egypt responded the GMEI with ‘multicandidate presidential elections system through amendment of article 76 of constitution’ and a little of freedom of press. Reform proposals in Egypt, largely channeled through the ruling National Democratic Party(NDP), have been somewhat cosmetic and often motivated by the Egyptian government's desire to appear responsive to external (largely U.S.) pressure to reform. Egyptian response to external pressure requesting reform and democracy was accommodative, partial and limi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2003년 11월 부시정부가 발표한 '대중동구상(Greater Middle East Initiative)’에 대한 중동 국가들의 대응 외교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중동 국가들의 외교정책 결정 과정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연구․분석하고 중동지역 국가들의 대외정책결정 과정을 이해하여 우리의 대중동정책결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9.11 사건 이후 미국의 부시 행정부는 ‘공세적 현실주의’를 신안보전략으로 채택하였는데, ‘대중동구상’은 이러한 신안보전략을 중동 지역에 적용한 것이다. 즉 민주적 변화와 개혁, 인간 개발을 통해 중동 테러리즘으로부터 미국 및 서구의 안보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부시정부의 대중상구상에 대해 중동의 주요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이집트는 어떻게 대응했는가
    첫째, 사우디아라비아는 ‘대중동구상’에 대해 한편으로는 순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대응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슬람가치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개혁을 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경제 분야에서는 점진적인 변화와 시장화를 추구하고 있고, 정치적 측면에서 미국이 선포한 ‘테러와의 전쟁’을 수용하여 2004년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이슬람주의자들의 색출에 나섰다. 그러나 과도한 석유의존, 정치적 의지의 결여, 외부간섭에 대한 반대, 안전보장 염려 등으로 미국의 대중동구상 같은 외부의 강요에 의한 개혁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처럼 사우디아라비아는 미국의 대중동구상 정책에 한편으로는 수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대적 자율성을 가지면서 독자적 외교정책을 수립함으로써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의 대중동구상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완전한 실효성을 가지지 못한다고 하겠다.
    둘째, 시리아는 부시정부의 대중동구상에 대해 외부 강요에 의한 개혁에 반대하는 입장에서 무시정책으로 대응했다. 미국의 대중동구상 발표이후 2005년 2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1932년 건국이후 최초로 민주적 지방선거가 실시되었고, 이집트에서는 2005년 9월 대통령 선거부터 2명 이상의 후보가 대통령직에 도전하는 자유 직접선거 방식이 도입되었으며, 쿠웨이트에서는 2005년에 여성들에게 공식적으로 투표권 및 선거 출마권한이 부여되었고 쿠웨이트 여성들은 2006년 6월 총선에서 동 권한을 행사하는 등 중동지역에 민주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그러나 시리아는 무시 정책으로 일관하고 있다. 단 대중동구상이 시리아를 포함한 중동 국가들에게 정치적 민주화와 경제적 개혁이 필요하다는 점을 일깨워준 사실만으로도 중동지역 정세 변화에 큰 기여를 했다고 할 것이다.
    셋째, 친미온건 국가인 이집트는 부시 정부의 대중동구상에 대해 ‘다수후보자가 참여하는 직선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헌법 개정과 그에 따른 대통령 선거, 약간의 언론자유 부여라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2003년 9월 발표된 미국의 ‘대중동구상’은 중동정치에 새로운 의제, 즉 중동의 개혁(민주화와 자유화, 인간개발)이라는 담론을 제시했다. ‘대중동구상’에 대한 다양한 후속 개혁안들이 제시되기도 하고, 중동의 관련 당사국들은 새로운 정치변동 국면에 직면하여 직간접적으로 대응을 하게 되었다. 즉 지방자치제 도입, 여성 참정권 확대 등 약간의 민주화 조치를 통해 ‘대중동구상’의 압력에 대응했다. 그러나 전면적인 민주화 요구에 대해서는 반발하기도 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 결과

    첫째, 사우디아라비아는 미국의 대중동구상 정책에 한편으로는 수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대적 자율성을 가지면서 독자적 외교정책을 수립함으로써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의 대중동구상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완전한 실효성을 가지지 못한다고 하겠다.
    둘째, 시리아는 부시정부의 대중동구상에 대해 외부 강요에 의한 개혁에 반대하는 입장에서 무시정책으로 대응했다.
    셋째, 친미온건 국가인 이집트는 부시 정부의 대중동구상에 대해 ‘다수후보자가 참여하는 직선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헌법 개정과 그에 따른 대통령 선거, 약간의 언론자유 부여라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결과적으로 미국의 대중동구상은 절반의 성공이라고 할 수 있으나, 비민주적 중동 국가들의 민주화 의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하여 정치사회 변동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잇다고 할 수 있다.

    2. 활용방안

    학문발전 공헌: 연구의 결과물을 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국내 전문 학술지에 게재했다. 또한 전공자 및 학생, 일반인을 위하여 중동이슬람사회의 외교정책을 이해하는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학술서적을 발간할 예정이다.

    사회적 기여: 정부 차원의 외교 전략 수립뿐만 아니라 중동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업체에게 보다 안정되고 효과적인 진출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력양성 방안: 본 연구 사업에 연구보조원들이 회의, 정기 독회, 자료 수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향후 중동지역 전문가 되기 위한 기반을 쌓도록 했다.
    첫째, 본 연구는 인력양성을 위해 연구 보조원을 연구원들의 정기 회의와 정기 독회에 참여시켰다. 이것은 연구보조원을 자료 수집 및 번역 등 단순 활용차원을 벗어나, 미래의 중동 연구자로서 자격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둘째, 연구보조원의 적극적인 연구 참여를 유도했다. 연구 수행 과정에서 연구보조원들을 워크숍, 세미나 및 각종 학술발표대회, 연구방법 구축 작업에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했다.

    교육과의 연계 활용방안
    첫째, 본 연구팀은 출강하고 있는 대학교 또는 기타 기관에서 ‘중동의 외교정책’및 중동지역, 아랍지역 관련 강의를 실시하고 있다.
    둘째, 본 연구팀은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교재를 준비 중에 있다.
    셋째, 본 연구팀은 연구 및 강의를 위해와 관련된 교육을 위해 현지 조사 시 연구 및 강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영상물, 문헌, 저서, 사진자료 등을 수집하여 활용 중에 있다.
  • 색인어
  • 대중동구상, 외교정책, 9.11 테러, 테러와의 전쟁, 중동 민주화, 중동 개혁, 공세적 현실주의, 와하비즘, 이슬람부흥주의, 슈라회의, 이슬람금융, 알 까에다, 아람코, 이슬람혁명기구, 알-아싸드, 바샤르 알-아싸드, 바트 아랍사회주의당, 선제공격독트린, 공세적 현실주의, 신자유주의 세계화, 자유의 발전전략, 키파야 운동 Greater Middle East Initiative(GMEI), Shura, ARAMCO, National Reform Party, Ialamic Revolution Organization, Saudi Aramco, Red Line Agreement, The Syrian Accountability Act, Foreign Policy, Reform of Middle East, 9.11 Terror, Istanbul Paper(IP), Arab Cooperation Council, Kifaya movement, National Democratic Part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