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826&local_id=10017405
사용편의성이 강화된 유니버설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사용편의성이 강화된 유니버설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배윤선(숭실사이버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28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12월 0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지식과 정보가 경쟁력이 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인터넷은 정보를 무한하게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복잡한 지적 능력과 학습, 교육을 요구함에 따라 디지털 격차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가 진행이 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청·장년층을 중심으로 되어 있는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노인들을 정보소외계층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고령자들이 웹을 통하여 보다 쉽고 편하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접할 수 있다면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들이 사회참여를 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고 사용편의성이 강화된 유니버설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노인들도 청·장년층과 같이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에 입각한 정보디자인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실험을 통하여 고령자의 웹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니버설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하여 고령자를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제안하였고 30명의 일반인 그룹과 30명의 고령자 그룹을 대상으로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사용편의성의 원리에 따라 정보 검색 소요 시간, 오류 발생 측면,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 요소의 크기와 위치, 레이아웃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측정된 정보 검색 소요 시간을 나이에 따른 그룹은 개체-간 요인으로 하고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유형은 개체-내 변수로 하여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오류 발생 요인은 비디오 분석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실험 후 네비게이션 디자인 요소의 크기와 위치, 레이아웃에 관한 선호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조사에서 고령자에게 가장 이상적인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으로 제안되었던 디자인에서 고령자와 일반인 모두 정보 검색 소요 시간이 가장 짧았으며 오류의 발생도 적었고 가장 쉽고 편한 레이아웃이라는 설문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고령자가 가장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은 글로벌 메뉴가 페이지의 상단에 가로로 길게 위치하고 글로벌 메뉴를 롤오버하거나 클릭하면 서브카테고리 메뉴가 세로로 나타나는 디자인이다. 또한 메뉴는 단계적으로 분류가 되어야 하며 페이지는 스크롤이 되지 않아야 하고 본문과 메뉴 레이블의 텍스트는 크게 처리가 되어야 한다.
    둘째, 고령자가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고령자뿐 아니라 일반인도 정보를 효율적으로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셋째, 고령자가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고령자뿐 아니라 일반인도 정보를 찾아나가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 가능성이 최소화 되어 있다.
    넷째, 고령자가 선호하는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 요소의 크기와 위치, 레이아웃은 일반인도 선호한다.
    다섯째, 고령자는 메뉴가 단계적으로 분류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선호하는 반면 일반인은 클릭의 수가 적은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선호한다. 또한 고령자는 일반인에 비하여 큰 텍스트를 더 선호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이나 마우스에 반응하는 이미지와 메뉴는 일반인에 비하여 고령자에게 오류 발생 가능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이상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편의성을 위한 유니버설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고령자와 일반인 모두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오류 없이 정보를 쉽고 편하게 찾을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사용자를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개발은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 계층의 인터넷 사용을 활성화 시켜 고령자에게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
  • 영문
  •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a new model of web navigation design which can enhance older-users web usability. I would like to prove that when users enjoy web navigation design, all users, young and old, access information much more effectively. Using a survey, I suggest some types of web navigation designed for older users. After that,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paratory survey, I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4 types of web navigation designs, which have been developed to reflect varying stages of comprehensibility. There were three persons of a younger age group and three persons of an older age group. In the experiment, I checked how much time it took for the participants to search the internet to figure out whether universal design works or not. My survey focused three points. First I tested whether they lost their way while searching for information. Secondly, if they did lose their way, I checked whether they could recover from their errors and find their way back. Thirdly, I investigated whether layout, location and size of the web navigation design factors affected usability.
    I analyzed four kinds of web navigation designs using the methodology of "repeated two-way ANOVA." This methodology entails two factors of analysis. First of all I put 'estimated information searching time' as a 'Between- Subject Factor' and put 'four kinds of web navigation designs' as a 'Within Subjects Variable.'To figure out each group's navigation process in searching for information, I observed factors of error incidence through 'Video Ethnography.' After the experiment I tried to determine common points and different points of the usability of web navigation designs with a questionnaire on the layout, location, and size of the navigation design factors.
    The results of my survey indicated that all users, both young and old, spend the shortest time, have the easiest interface, and have least error incidence under the universal web navigation design which I suggested for the old-age users as the ideal model. According to my surveys, I conclude the following five points. First, the best navigation design types for older users require the following six conditions: a global menu which must be located on at the top of a page in a bar format, a subcategory menu should be in a drop-down format under this global menu, the global menu should have hyperlink function, a roll-over menu which indicates the items of the next step should be included, the menu should be classified to enhance the depth of hierarchical structure, web pages should have no scroll function, and finally, the text in the main body should be a larger font. My second conclusion is that under the right web navigation design, all users, including older users and younger users, can search for information more effectively. My third result is that, using the universal web navigation design, even younger users can reduce probability of error occurrence. Fourth, I believe that layout, location, and size of web navigation design, which old users are sensitive to, are important for youth users as well. Fifth, older users prefer web navigation design which with greater "depth" of hierarchical structure, while youth users prefer "width." Moreover, the old users like bigger text, while animations, images, and menus which interact with the mouse point serve to confuse them and increase error occurren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지식과 정보가 경쟁력이 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인터넷은 정보를 무한하게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복잡한 지적 능력과 학습, 교육을 요구함에 따라 디지털 격차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가 진행이 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청·장년층을 중심으로 되어 있는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노인들을 정보소외계층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고령자들이 웹을 통하여 보다 쉽고 편하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접할 수 있다면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들이 사회참여를 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고 사용편의성이 강화된 유니버설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노인들도 청·장년층과 같이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에 입각한 정보디자인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실험을 통하여 고령자의 웹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니버설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하여 고령자를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제안하였고 30명의 일반인 그룹과 30명의 고령자 그룹을 대상으로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사용편의성의 원리에 따라 정보 검색 소요 시간, 오류 발생 측면,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 요소의 크기와 위치, 레이아웃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측정된 정보 검색 소요 시간을 나이에 따른 그룹은 개체-간 요인으로 하고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유형은 개체-내 변수로 하여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오류 발생 요인은 비디오 분석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실험 후 네비게이션 디자인 요소의 크기와 위치, 레이아웃에 관한 선호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조사에서 고령자에게 가장 이상적인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으로 제안되었던 디자인에서 고령자와 일반인 모두 정보 검색 소요 시간이 가장 짧았으며 오류의 발생도 적었고 가장 쉽고 편한 레이아웃이라는 설문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고령자가 가장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은 글로벌 메뉴가 페이지의 상단에 가로로 길게 위치하고 글로벌 메뉴를 롤오버하거나 클릭하면 서브카테고리 메뉴가 세로로 나타나는 디자인이다. 또한 메뉴는 단계적으로 분류가 되어야 하며 페이지는 스크롤이 되지 않아야 하고 본문과 메뉴 레이블의 텍스트는 크게 처리가 되어야 한다.
    둘째, 고령자가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고령자뿐 아니라 일반인도 정보를 효율적으로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셋째, 고령자가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고령자뿐 아니라 일반인도 정보를 찾아나가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 가능성이 최소화 되어 있다.
    넷째, 고령자가 선호하는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 요소의 크기와 위치, 레이아웃은 일반인도 선호한다.
    다섯째, 고령자는 메뉴가 단계적으로 분류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선호하는 반면 일반인은 클릭의 수가 적은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선호한다. 또한 고령자는 일반인에 비하여 큰 텍스트를 더 선호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이나 마우스에 반응하는 이미지와 메뉴는 일반인에 비하여 고령자에게 오류 발생 가능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이상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편의성을 위한 유니버설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고령자와 일반인 모두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오류 없이 정보를 쉽고 편하게 찾을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사용자를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개발은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 계층의 인터넷 사용을 활성화 시켜 고령자에게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일반인과 고령 사용자 모두 예비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작된 고령자를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 정보 검색 소요 시간이 가장 짧았으며 오류의 발생도 가장 적었다. 또한 설문조사에서도 일반인과 고령 피험자 모두 예비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작된 고령자를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이 가장 쉽고 편리하다고 응답하였다.
    일반인과 고령자 모두 본문의 텍스트와 메뉴의 레이블이 크게 처리되었을 때 쉽고 편하게 정보를 찾을 수 있었고 롤오버 메뉴는 다음 목록을 제시해 주고 있으므로 정보를 찾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며 서브 카테고리의 메뉴는 페이지의 상단에 가로로 길게 위치한 글로벌 메뉴의 아래에 세로로 나타나는 것이 편리하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마우스에 반응하는 메뉴에서는 일반인과 고령 자 모두 사용하는 데에 오류가 많이 발생했으며 불편해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인과 고령자의 차이점은 고령 사용자는 정보를 구성하는 계층구조에서 보다 단계적으로 정보를 찾아가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계층구조의 깊이가 강조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이 고령자에게는 더 편리한 디자인이나 일반인에게는 롤오버 메뉴나 컨텐츠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정보 계층구조의 단계를 뛰어넘는 네비게이션을 선호하기 때문에 계층구조의 너비가 강조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이 일반인에게는 더 편리한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움직이는 타이포그래피로 제작된 인트로와 마우스에 반응하는 메뉴의 경우에는 연령이 낮은 사용자일수록 흥미를 가지고 있으나 연령이 높은 사용자는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며 불편해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령자가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고령자뿐 아니라 일반인도 정보를 효율적으로 빠르게 찾을 수 있으며 오류 발생 가능성도 최소화 되어 있다. 또한 고령자가 선호하는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 요소의 크기와 위치, 레이아웃은 일반인도 선호한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을 위한 유니버설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고령자와 일반인 모두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오류 없이 정보를 쉽고 편하게 찾을 수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과 사용편의성의 개념이 강화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모든 사용자가 쉽고 편하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찾을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웹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오류나 어려움 없이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예비조사를 통하여 고령자를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문의 텍스트와 메뉴 레이블의 크기는 크게 제작되어야 한다.
    둘째, 정보 계층구조의 단계를 뛰어넘는 네비게이션이 아닌 단계적으로 정보를 찾아가는 네비게이션으로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셋째, 글로벌 메뉴는 클릭과 롤오버 기능을 모두 가져야 한다.
    넷째, 서브 카테고리 메뉴는 가로로 길게 제작된 글로벌 메뉴 아래에 세로로 나타나야 한다.
    다섯째, 페이지는 스크롤이 되지 않아야 한다.
    여섯째, 메뉴는 짧고 간단한 단어로 제시되어야 한다.
    일곱째, 한 페이지에 제시되는 메뉴의 항목의 수는 적어야 한다.
    여덟째, 레이블로만 표현이 되는 메뉴보다는 레이블과 그림을 복합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아홉째, 부분적으로 화면을 확대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열 번째,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지 않는 영역은 저절로 톤이 낮추어져야 한다.
    본 조사의 결과를 보면 고령자를 위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고령자뿐 아니라 일반인도 정보를 효율적으로 빠르게 찾을 수 있으며 오류 발생 가능성이 최소화 되어 있다. 또한 고령자가 선호하는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 요소의 크기와 위치, 레이아웃은 일반인도 선호한다.
    고령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의 차이점은 고령 사용자는 메뉴가 단계적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 정보를 구성하는 계층구조의 깊이가 강조된 정보설계로 디자인이 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선호하는 반면 일반 사용자는 정보를 구성하는 계층구조의 단계를 뛰어넘는 너비가 강조된 계층구조로 제작이 된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선호한다. 또한 고령 사용자는 일반 사용자에 비하여 큰 텍스트를 더 선호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이나 마우스에 반응하는 이미지는 일반 사용자에 비하여 고령 사용자에게 오류 발생 가능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이상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유니버설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에서는 고령자와 일반인 모두 빠른 시간 내에 오류 없이 정보를 쉽고 편하고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으며 유니버설 웹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개발은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자의 인터넷 사용을 활성화 시켜 고령자에게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
  • 색인어
  • older-aged user, universal design, web navigation design, interface design, usability, accessibilit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