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496&local_id=10022967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신화와 학교체육의 굴절, 계보학적 고찰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신화와 학교체육의 굴절, 계보학적 고찰 | 2007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홍식(한국체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54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1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의 형성 및 변화를 지식과 권력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의 장은 가치중립적, 권력과 무관한 미색무취의 공간이 아니다. 따라서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은 어디에서 출발하고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우리 체육의 기초 문법으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를 밝혀야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그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이 어떠한 지식―권력의 상호작용 속에서 우리 체육의 ‘정상(normal) 담론’이 될 수 있었는지에 관하여 개인 주체, 사회 제도, 학적 흐름 등과 같은 구체적 작용 및 전개와 연관시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의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고학적 맥락으로서,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의 형성 및 전개, 그리고 변천을 시계열적 흐름에 따라 기술한다. 둘째, 이론적(체육학) 담론과 실천적(체육정책) 담론에서 학교체육, 사회체육, 전문체육은 어떻게 연관되어 왔으며, 특히 학교체육의 위상 변화는 어떠하였는지를 고찰한다. 1차년 연구의 수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의 형성 및 전개, 그리고 변천의 시계열적 흐름은 1970년대에서 1980년대로 넘어가는 시기에서 구체화되었다. 그 담론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전후로 하여 형성의 정점을 형성하면서, 서울올림픽 이후 급속한 확장을 보여준다. 그러나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의 단초가 된 사회체육 진흥 담론의 전개는 1970년 이전부터 꾸준히 성장해온 산물이었다. 2)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을 견인한 사회체육 진흥 담론은 대한체육회에서 1966년부터 발간한 월간『체육』을 통하여 꾸준히 전개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한국체육학에서 발간한 『한국체육학회지』에서도 그 담론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지만, 월간 『체육』에 비하여 활발한 것은 아니었다. 이는 1968년 이후 대한체육회의 산하 위원회로 편입된 ‘사회체육위원회’의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3) 사회체육 진흥 담론은 전통적인 학교체육 분야에서 활동한 사람보다는 이화여대의 한성일 교수, YMCA 체육간사를 역임한 장주호 등과 같이 일반 사회분야에서 활동한 체육 또는 스포츠 이론가 및 실천가에 의하여 주도되었다. 그들의 담론은 주로 외국의 사회체육에 대한 사례 조사와 일본, 미국의 사회체육 이론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4) 결국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의 형성과 정착은 사회체육 진흥 담론의 족적과 불가분의 관련이 있다. 사회체육 진흥 담론은 1962년 제정된 ‘국민체육진흥법’의 개정 과정에서 그 영향력을 확장하면서 1989년 ‘국민생활체육진흥 3개년 계획(호돌이계획)’, 1992년 ‘국민생활체육진흥5개년계획’의 토대를 제공하였다. 2차년 연구의 수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차 연도의 연구는 한국 국가체육 체제를 대변하는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의 등장 및 변천의 흐름을 시계열적으로 분석 검토한 것이다. 분석 자료는 주로 대한체육회에서 발간하여 온 『체육』지에 의존하고 있다. 『체육』에는 국가 체육체제에 관한 주류의 학술적, 정책적 논의가 게재되어 왔으며, 필진의 대부분이 국가체육 체제에 관한 연구 및 실천을 주도한 전문가이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은 학교체육, 사회(생활)체육, 전문체육 전반을 아우르는 지배적 담론을 형성하여왔다. 2)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은 1960년대~1970년대의 ‘근대화’론, 1980년대~1990년대의 ‘세계화’론, 1990년대~2000년대의 ‘선진화’론의 지지 또는 정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3)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은 YMCA 및 일본체육대학 출신의 선도에서 서울올림픽을 전후로 하여 학교체육을 포함하는 체육(학)계의 이론가 및 실천가의 참여로 확대된다. 결국, 1960년대 이후 우리의 체육은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을 줄기로 하여 논의, 실천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클럽스포츠를 기축으로 하는 최근의 담론은 사회(생활)체육, 전문체육 뿐 아니라 학교체육까지도 동일한 틀 속에서 다루어야 한다는 사고의 틀을 고착시키고 있다.
  • 영문
  • This paper aimed to critical analysis Korean national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ystem, Pyramid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ystem model, from 1960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yramid P.E. and sport system model based on the connec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in school, sport for all(community sport), and high level sport(elite sport). Pyramid system model is main topic in the discourse of Korea national P.E. and sport system. Second, Pyramid system model is closely connected with political, social, economical issues in korea: "modernization"(1960s~1970s), "globalization"(1980s~1990s), and "enhancement"(1990s~2000s). Third, sport theorist and practitioner who had experience at YMCA, Nippon sport science University leaded the discourse of Pyramid system model. Frith, recently years, club sport model is at the center of discourse on Pyramid P.E. and sport system mode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의 형성 및 변화를 지식과 권력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의 장은 가치중립적, 권력과 무관한 미색무취의 공간이 아니다. 따라서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은 어디에서 출발하고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우리 체육의 기초 문법으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를 밝혀야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그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이 어떠한 지식―권력의 상호작용 속에서 우리 체육의 ‘정상(normal) 담론’이 될 수 있었는지에 관하여 개인 주체, 사회 제도, 학적 흐름 등과 같은 구체적 작용 및 전개와 연관시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의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고학적 맥락으로서,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의 형성 및 전개, 그리고 변천을 시계열적 흐름에 따라 기술한다.
    둘째, 이론적(체육학) 담론과 실천적(체육정책) 담론에서 학교체육, 사회체육, 전문체육은 어떻게 연관되어 왔으며, 특히 학교체육의 위상 변화는 어떠하였는지를 고찰한다.

    1차년 연구의 수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의 형성 및 전개, 그리고 변천의 시계열적 흐름은 1970년대에서 1980년대로 넘어가는 시기에서 구체화되었다. 그 담론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전후로 하여 형성의 정점을 형성하면서, 서울올림픽 이후 급속한 확장을 보여준다. 그러나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의 단초가 된 사회체육 진흥 담론의 전개는 1970년 이전부터 꾸준히 성장해온 산물이었다.
    2)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을 견인한 사회체육 진흥 담론은 대한체육회에서 1966년부터 발간한 월간『체육』을 통하여 꾸준히 전개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한국체육학에서 발간한 『한국체육학회지』에서도 그 담론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지만, 월간 『체육』에 비하여 활발한 것은 아니었다. 이는 1968년 이후 대한체육회의 산하 위원회로 편입된 ‘사회체육위원회’의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3) 사회체육 진흥 담론은 전통적인 학교체육 분야에서 활동한 사람보다는 이화여대의 한성일 교수, YMCA 체육간사를 역임한 장주호 등과 같이 일반 사회분야에서 활동한 체육 또는 스포츠 이론가 및 실천가에 의하여 주도되었다. 그들의 담론은 주로 외국의 사회체육에 대한 사례 조사와 일본, 미국의 사회체육 이론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4) 결국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의 형성과 정착은 사회체육 진흥 담론의 족적과 불가분의 관련이 있다. 사회체육 진흥 담론은 1962년 제정된 ‘국민체육진흥법’의 개정 과정에서 그 영향력을 확장하면서 1989년 ‘국민생활체육진흥 3개년 계획(호돌이계획)’, 1992년 ‘국민생활체육진흥5개년계획’의 토대를 제공하였다.

    2차년 연구의 수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차 연도의 연구는 한국 국가체육 체제를 대변하는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의 등장 및 변천의 흐름을 시계열적으로 분석 검토한 것이다. 분석 자료는 주로 대한체육회에서 발간하여 온 『체육』지에 의존하고 있다. 『체육』에는 국가 체육체제에 관한 주류의 학술적, 정책적 논의가 게재되어 왔으며, 필진의 대부분이 국가체육 체제에 관한 연구 및 실천을 주도한 전문가이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은 학교체육, 사회(생활)체육, 전문체육 전반을 아우르는 지배적 담론을 형성하여왔다.
    2)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은 1960년대~1970년대의 ‘근대화’론, 1980년대~1990년대의 ‘세계화’론, 1990년대~2000년대의 ‘선진화’론의 지지 또는 정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3)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 담론은 YMCA 및 일본체육대학 출신의 선도에서 서울올림픽을 전후로 하여 학교체육을 포함하는 체육(학)계의 이론가 및 실천가의 참여로 확대된다.
    결국, 1960년대 이후 우리의 체육은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을 줄기로 하여 논의, 실천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클럽스포츠를 기축으로 하는 최근의 담론은 사회(생활)체육, 전문체육 뿐 아니라 학교체육까지도 동일한 틀 속에서 다루어야 한다는 사고의 틀을 고착시키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자의 후속 연구 및 집필에 있어 활용할 데이터의 수집 및 정리, 논제의 구체화에 활용될 것이다. 또한 학교체육을 비롯한 체육 전반에 관한 이론적 차원과 실천적 차원 모두에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본 연구의 내용 중 상당 부분은 해방 이후 학교체육을 중심으로 사회체육과 전문체육을 하나의 틀 속에서 다루는 담론을 시간과 주제의 배열하는 것이 되는데, 이는 본 연구자가 계획하고 있는 ‘근대 한국체육지성사’ 집필에 매우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뿐 아니라 집필의 방향 및 주제를 찾는 데에도 직접적으로 관련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후속의 논의를 촉발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 후속 논의는 한국 체육에 관한 총론적 검토와 각론적 검토 전반과 관련된 것이다. 후속 논의가 기대되는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다.

    ① 한국 체육 담론의 기본 구도인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에 관한 개념적, 철학적 반성
    ② 피라미드형 체육시스템에 기반 한 정책 및 제도의 효과
    ③ 학교체육의 정상화 방향에 있어 사회체육, 전문체육과의 관계 재설정
    ④ 체육과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선정 및 구조에 대한 검토
    ⑤ 학교 클럽스포츠, 학교운동부의 위치 및 정당성
    ⑥ 한국 체육의 담론 및 실천에서 전통적 맥락과 외래적 맥락
    ⑦ 한국 체육학의 전개 과정을 주도한 학자와 그룹
    ⑧ 한국 체육학 담론의 전개에서 일본(일본체육대학 출신을 중심으로 하는)과 미국(미국유학출신을 중심으로 하는)의 영향


    2. 연구성과

    본 연구의 결과는 연차별로 1편씩 2010년 상반기에 『한국체육학회지』에 게재할 예정임
  • 색인어
  • 피라미드 체육시스템, 국가 체육시스템, 학교체육, 사회체육, 생활체육, 전문체육, 엘리트체육, 엘리트스포츠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