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779&local_id=10019335
컴퓨터 인터페이스가 사회적 현전감 및 가상환경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독립적,상호작용적 효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컴퓨터 인터페이스가 사회적 현전감 및 가상환경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독립적,상호작용적 효과 | 2006 년 | 박선희(조선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1136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컴퓨터 인터페이스 유형에 따라 사회적 현존감이 달라지는지, 컴퓨터 인터페이스가 가상공간내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예측한 것과는 다르게 보다 많은 센소리 채널을 사용하는 오디오/비디오 인터페이스가 적은 센소리 채널을 가진 텍스트 인터페이스보다 사회적 현전감을 높여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상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 목적이 뚜렷할 때, 다시 말해 공적인 사안에 대해 토론할 때 사회적 현전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사회적 현전감은 센소리 채널이라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적 측면보다는 토론주제라는 커뮤니케이션 목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사회적 현전감은 특히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목적이 결합할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오디오/비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공적이슈에 대해 토론할 때 사회적 현전감이 가장 높았다. 한편 컴퓨터 인터페이스는 가상공간내 토론 평가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적 주제에 대한 상호작용은 토론 자체를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가상공간 커뮤니케이션에서 토론파트너에 대한 태도는 인터페이스간에도, 토론주제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인터페이스 유형에 따라 향후 가상공간에서의 상호작용에 참여하려는 의도에 차이가 있었다. 예측과 달리 텍스트 인터페이스가 오디오/비디오 인터페이스보다 커뮤니케이션 참여의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적주제를 토론할 때 사적주제를 토론할 때보다 향후 토론참여의사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다수 연구들이 예측하듯이 보다 많은 센소리 채널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가 가상공간내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가상공간에서 다른 사람과 함께 있다는 느낌은 단순히 상호작용과정에 다양한 센소리 채널을 사용한다고 해서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어떤 메시지를 주고 받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컴퓨터 인터페이스 이론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것이다. 첫째, 기술결정론에 기반하여 컴퓨터 인터페이스가 사회적 현전감이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이용자의 심리적 상태, 가상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 경험 등이 서로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궁극적으로 가상공간에서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는 데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실용적인 측면에서 이 연구는 향후 가상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사회적 현전감을 높이기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이 면대면 커뮤니케이션과 유사할수록 사회적 상호작용을 활성화할 것이라고 믿어왔다. 그러나 이 연구결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가상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컴퓨터 인터페이스가 반드시 다양한 센소리 채널을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단순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라도 얼마든지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A lot of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about how the multi-sensory interface enhances social presence and how it influences the social interaction. The results show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presence between text-interface and audio/video-interface. But social presence is higher in the situation of discussing public topic than private topic. Especially it is highest when people discuss public topic using audio/video-interface. Computer interface does not influence the evaluation of interaction and the attitude toward interactant. Text interface affects the intention of interaction in the future more than audio/video-interface. This results have some implications about social presence research and interface desig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컴퓨터 인터페이스 유형에 따라 사회적 현존감이 달라지는지, 컴퓨터 인터페이스가 가상공간내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예측한 것과는 다르게 보다 많은 센소리 채널을 사용하는 오디오/비디오 인터페이스가 적은 센소리 채널을 가진 텍스트 인터페이스보다 사회적 현전감을 높여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상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 목적이 뚜렷할 때, 다시 말해 공적인 사안에 대해 토론할 때 사회적 현전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사회적 현전감은 센소리 채널이라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적 측면보다는 토론주제라는 커뮤니케이션 목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사회적 현전감은 특히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목적이 결합할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오디오/비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공적이슈에 대해 토론할 때 사회적 현전감이 가장 높았다. 한편 컴퓨터 인터페이스는 가상공간내 토론 평가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적 주제에 대한 상호작용은 토론 자체를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가상공간 커뮤니케이션에서 토론파트너에 대한 태도는 인터페이스간에도, 토론주제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인터페이스 유형에 따라 향후 가상공간에서의 상호작용에 참여하려는 의도에 차이가 있었다. 예측과 달리 텍스트 인터페이스가 오디오/비디오 인터페이스보다 커뮤니케이션 참여의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적주제를 토론할 때 사적주제를 토론할 때보다 향후 토론참여의사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다수 연구들이 예측하듯이 보다 많은 센소리 채널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가 가상공간내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가상공간에서 다른 사람과 함께 있다는 느낌은 단순히 상호작용과정에 다양한 센소리 채널을 사용한다고 해서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어떤 메시지를 주고 받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컴퓨터 인터페이스 이론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예측한 것과는 다르게 보다 많은 센소리 채널을 사용하는 오디오/비디오 인터페이스가 적은 센소리 채널을 가진 텍스트 인터페이스보다 사회적 현전감을 높여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상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 목적이 뚜렷할 때, 다시 말해 공적인 사안에 대해 토론할 때 사회적 현전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사회적 현전감은 센소리 채널이라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적 측면보다는 토론주제라는 커뮤니케이션 목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사회적 현전감은 특히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목적이 결합할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오디오/비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공적이슈에 대해 토론할 때 사회적 현전감이 가장 높았다. 한편 컴퓨터 인터페이스는 가상공간내 토론 평가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적 주제에 대한 상호작용은 토론 자체를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가상공간 커뮤니케이션에서 토론파트너에 대한 태도는 인터페이스간에도, 토론주제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인터페이스 유형에 따라 향후 가상공간에서의 상호작용에 참여하려는 의도에 차이가 있었다. 예측과 달리 텍스트 인터페이스가 오디오/비디오 인터페이스보다 커뮤니케이션 참여의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적주제를 토론할 때 사적주제를 토론할 때보다 향후 토론참여의사가 높았다. 이 연구결과는 첫째, 기술결정론에 기반하여 컴퓨터 인터페이스가 사회적 현전감이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이용자의 심리적 상태, 가상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 경험 등이 서로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궁극적으로 가상공간에서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는 데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실용적인 측면에서 이 연구는 향후 가상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사회적 현전감을 높이기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이 면대면 커뮤니케이션과 유사할수록 사회적 상호작용을 활성화할 것이라고 믿어왔다. 그러나 이 연구결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가상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컴퓨터 인터페이스가 반드시 다양한 센소리 채널을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단순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라도 얼마든지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컴퓨터 인터페이스, 사회적 현전감, 가상환경, 사회적 상호작용, 토론에 대한 평가, 상호작용파트너에 대한 태도, 커뮤니케이션 참여의도 Computer Interface, Social Presence, Virtual Environment, Social Interaction, Evaluation of interaction, attitude toward interactant,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communicati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