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448&local_id=10015079
여성스포츠에서의 Sexual Harassment 실태와 개선을 위한 통합방법론적 접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여성스포츠에서의 Sexual Harassment 실태와 개선을 위한 통합방법론적 접근 | 2007 년 | 김인형(신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88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스포츠 영역에서의 성평등을 이루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스포츠계에서 인권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여성선수의 sexual harassment 실태와 이에 대한 인식분석, 스포츠계에서 sexual harassment가 발생하는 구조적인 원인을 심층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여 규명함으로써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양적, 질적연구를 병행하는 통합방법론적 접근을 사용하였다. 양적연구는 체육관련학과가 설치되어 있는 대학교를 대상으로 체육전공자와 일반전공자들을 1157명 표집하여 성역할 태도와 일반적인 성희롱에 대한 인식, 일반상황에서 성희롱 허용도, 스포츠상황에서의 성희롱 허용도, 스포츠 성희롱의 발생원인, 스포츠 성희롱 방지책에 관한 내용들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집단간 비교를 수행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1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질적연구는 현재 대학교, 프로팀에서 운동선수로 활동하고 있거나 은퇴한 선수, 엘리트 선수의 가족 및 친구 등의 연구 제보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연구의 타당성이나 신뢰성의 문제가 발생되는 점이 우려되어 이러한 텍스트들을 컴퓨터를 이용한 질적자료분석(CAQDAS: Computer Aid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ystem)방법을 이용하고자 Nvivo 2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분석에서 자주 이용되고 있는 영역분류, 주제분석 등의 과정이 포함된 분류체제 분석(toxonomic analysis)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양적연구결론
    (1)일반전공 대학생들과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집단간 비교결과 성희롱에 대한 인식 중 성희롱에 대한 잘못된 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라 성역할 태도와 성희롱 인식을 비교한 결과 남학생, 여학생 모두 성희롱에 대한 오류성 통념이 체육전공학생이 일반전공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 집단에서 체육전공학생이 일반전공 학생에 비하여 성역할 태도가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먼저 체육과 학생들의 성희롱 경험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8.6% 정도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경험은 여학생, 남학생 모두에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성희롱 경험이 어느 부위에 해당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신체적 성희롱이 가장 높았으며, 언어적 성희롱, 시각적 성희롱의 순으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엘리트 선수들만을 대상으로 성희롱 실태를 알아본 결과 11.3%의 학생이 성희롱을 당해본 경험이 있고 운동종목에 따라서는 개인종목, 대인종목, 단체종목의 순으로 나타나 개인종목이 위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희롱을 당한 부위는 신체적 성희롱, 언어적 성희롱, 시각적 성희롱의 순으로 나타나 신체적 성희롱이 가장 많이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 스포츠계의 성폭력문제의 심각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성역할 태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성희롱 인식차이는 성희롱 개념의 이해와 성희롱 발생원인에 대한 지각에서는 여학생들이, 성희롱에 관한 오류성 통념의 요인에서는 남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성역할태도가 성희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성희롱 개념 및 문제 인식과 성희롱 발생원인에 대한 지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질적연구 결론
    스포츠계에서 sexual harassment 발생의 구조적원인은 3가지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1) 개인적인 측면으로 체계적인 성교육 부재, 신체접촉에 관한 무감각, 지도자에 대한 낮은 경계심, 묵시적 침묵으로 분류되었다.
    (2) 운동팀 문화 특성의 측면에서는 합숙훈련, 신체접촉 지도에 대한 낮은 인식, 지도자에 대한 반항기회의 부재, 소극적 대처, 지도자의 강압적 통제방식으로 분류되었다.
    (3) 사회구조적 측면에서는 사회적 풍토, 신고시 보복의 두려움, 피해사실 공개의 어려움, 남성지도자의 그릇된 사고 등으로 분류되었다.
  • 영문
  • As a part of achieving gender equality in sports area.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realities of female players harassed sexually, whose human rights are violated,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reasons the sexual harassment and providing the basic data to solve the problems.
    The integrated method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used for the study.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1,157 students were sampled studying sports or other majors of the universities that have sports department. They were asked about attitudes toward gender roles, common understanding of sexual harassment, acceptable level of sexual harassment in general situations and sports situations, the reasons of the sexual harassment in sports, and the measures against the sexual harassment.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mpared by the groups and the data was process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ylsis using SPSS 12.0 program.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current university players, pro-team players, retired players, family and friends of elite sports players and the informers.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Nvivo 2 program in order to use CAQDAS(Computer Aid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ystem) for fear of the problem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is study, the toxonomic analysis was used which includes grouping method and them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1) The result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1) As the result of comparing two groups of the students of general majors and the sports majors, the students majoring sports have more wrong understandings about sexual harassmen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majoring sports have more wrong common notions about the attitudes toward the gender roles and understanding sexual harassment. The female students majoring sports are more open-minded toward the gender roles.
    (2) 8.6% of sports majoring students is said to have been sexually harasse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ve the sexual harassment experiences, which are physical, verbal, and visual abuses in order.
    11.3% of the elite players is said to have been sexually harassed. The sports items are individual, personal and group items in order. The experiences are physical, verbal and visual abuses in order.
    Comparing male and female players, the sexual harassment problems of female students are more serious than male students'. The male students have more traditional gender roles than female students. The female students have more correct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s of the sexual harassment and its reasons. The male students have more wrong common concepts about sexual harassment.
    The attitude toward the gender roles has positive effects on understanding of sexual harassment and its reasons.
    2) The result of the qualitive research
    (1) Causes identified on a personal level include lack of timely and systematic sex education to female athletes, desensitize to physical contacts, low guard against their male coaches, and silence due to fear that whistle-blowing might undermine their growth as an athlete.
    (2) Sexual harassment is also attributed to practices or cultures within the athletic community or team. Girls are desensitized to physical contact with male coaches. They are not properly given chances to stand up against the coaches, who dictate everything in their life. Girls restrain themselves from responding actively due to the uncertainty over the future. Plus, sexual harassment is recognized by some coaches obsessed with achievement as one of control measures.
    (3) Causes of sexual harassment studied in the socio-structural context include lack of the public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issue, lenientpunishment against sex offender and possible subsequent reprisals from them. Not only that, sex harassment cases are not properly reported and shared in this still paternalistic socie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스포츠 영역에서의 성평등을 이루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스포츠계에서 인권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여성선수의 sexual harassment 실태와 이에 대한 인식분석, 스포츠계에서 sexual harassment가 발생하는 구조적인 원인을 심층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여 규명함으로써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양적, 질적연구를 병행하는 통합방법론적 접근을 사용하였다. 양적연구는 체육관련학과가 설치되어 있는 대학교를 대상으로 체육전공자와 일반전공자들을 1157명 표집하여 성역할 태도와 일반적인 성희롱에 대한 인식, 일반상황에서 성희롱 허용도, 스포츠상황에서의 성희롱 허용도, 스포츠 성희롱의 발생원인, 스포츠 성희롱 방지책에 관한 내용들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집단간 비교를 수행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1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질적연구는 현재 대학교, 프로팀에서 운동선수로 활동하고 있거나 은퇴한 선수, 엘리트 선수의 가족 및 친구 등의 연구 제보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연구의 타당성이나 신뢰성의 문제가 발생되는 점이 우려되어 이러한 텍스트들을 컴퓨터를 이용한 질적자료분석(CAQDAS: Computer Aid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ystem)방법을 이용하고자 Nvivo 2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분석에서 자주 이용되고 있는 영역분류, 주제분석 등의 과정이 포함된 분류체제 분석(toxonomic analysis)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양적연구결론
    (1)일반전공 대학생들과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집단간 비교결과 성희롱에 대한 인식 중 성희롱에 대한 잘못된 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라 성역할 태도와 성희롱 인식을 비교한 결과 남학생, 여학생 모두 성희롱에 대한 오류성 통념이 체육전공학생이 일반전공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 집단에서 체육전공학생이 일반전공 학생에 비하여 성역할 태도가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먼저 체육과 학생들의 성희롱 경험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8.6% 정도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경험은 여학생, 남학생 모두에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성희롱 경험이 어느 부위에 해당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신체적 성희롱이 가장 높았으며, 언어적 성희롱, 시각적 성희롱의 순으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엘리트 선수들만을 대상으로 성희롱 실태를 알아본 결과 11.3%의 학생이 성희롱을 당해본 경험이 있고 운동종목에 따라서는 개인종목, 대인종목, 단체종목의 순으로 나타나 개인종목이 위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희롱을 당한 부위는 신체적 성희롱, 언어적 성희롱, 시각적 성희롱의 순으로 나타나 신체적 성희롱이 가장 많이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 스포츠계의 성폭력문제의 심각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성역할 태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성희롱 인식차이는 성희롱 개념의 이해와 성희롱 발생원인에 대한 지각에서는 여학생들이, 성희롱에 관한 오류성 통념의 요인에서는 남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성역할태도가 성희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성희롱 개념 및 문제 인식과 성희롱 발생원인에 대한 지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질적연구 결론
    스포츠계에서 sexual harassment 발생의 구조적원인은 3가지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첫째, 개인적인 측면으로 체계적인 성교육 부재, 신체접촉에 관한 무감각, 지도자에 대한 낮은 경계심, 묵시적 침묵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운동팀 문화 특성의 측면에서는 합숙훈련, 신체접촉 지도에 대한 낮은 인식, 지도자에 대한 반항기회의 부재, 소극적 대처, 지도자의 강압적 통제방식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사회구조적 측면에서는 사회적 풍토, 신고시 보복의 두려움, 피해사실 공개의 어려움, 남성지도자의 그릇된 사고 등으로 분류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최근에는 성희롱이나 성폭력이 사회적으로 커다란 문제가 되면서 스포츠 현장도 예외가 아니라는 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남성지도자 하에서 운동을 지도받는 여성운동선수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현실에서 지도자에 의한 신체적, 언어적 성희롱은 우리나라 사회구조 및 운동상황의 특수성 때문에 표면으로 드러나지 않을 뿐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여성선수와 관련된 스포츠 문화 속의 sexual harassment에 관한 조사는 건전한 스포츠계의 발전을 위해 매우 유용한 연구이지만 실제 조사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스포츠 지도자나 선수 모두 타 조직이나 영역에 비하여 sexual harassment와 관련된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스포츠 문화 내부에 만연한 문제점들의 원인과 영향을 파악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이에 관련된 지식이 정립됨으로써 모든 스포츠인들이 건전한 스포츠 문화를 조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여성 스포츠가 더욱 발전하려면 스포츠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성차별을 강화 지속시키는 물리적 환경을 제거하고, 다양한 제도적 보완을 통하여 여성스포츠계에 만연한 구조적인 문제를 개선하며, 여성 선수 스스로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식의 변혁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식의 변혁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양적연구를 통한 실태조사 및 성희롱에 대한 인식의 차이, 성희롱 발생원인, 성희롱 허용정도, 성희롱 방지책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지난 2008년 이후 급격히 이슈화된 스포츠계에서의 성폭력문제가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암묵적으로 변해가는 시점에서 스포츠에서의 성평등의 관점에서 암묵적으로 간과되어 왔던 부분을 찾아내고 확인함으로써 선수나 지도자 모두 sexual harassment에 관한 인식의 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체계적인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새로운 연구방법을 사용하는 연구는 아니지만 현재 체육계에서 발생하고 있는 sexual harassment의 실태를 양적 연구를 통해 실태를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질적연구에서의 심층면담을 통해 우리 스포츠계에서 남성지도자와 여성선수들간에 발생하는 다양한 sexual harassment를 분류체계분석을 하여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스포츠계의 성폭력 문제를 예방하고 근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사실상 스포츠와 관련하여 나타날 수 있는 sexual harassment의 문제가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사회의 보수성, 의도적인 무관심이나 침묵이나 sexual harassment에 관한 개념의 인식이 확립되지 않아 학문적으로 전혀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가 진행되어 sexual harassment에 관한 다양한 내용들을 학문적으로 정립함으로써 여성스포츠의 문제가 담론화되고 발전될 뿐 아니라 성폭력 예방과 근절을 위한 정책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고 후속 연구의 파생 측면에서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여성스포츠, Sexual Harassment, 성폭력, 성희롱, 엘리트운동선수, 성역할태도, 성희롱인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