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0979&local_id=10029014
건강체력검사의 단일척도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건강체력검사의 단일척도 개발 | 2009 년 | 김미예(인하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14
선정년도 2009 년
과제진행현황 중단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08월 0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체력요인의 가중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타당성 뿐만 아니라 해당 분야 전문가들의 판단에 근거한 경험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 체력평가 시스템 개발과 관련한 여러 연구에서 검사항목을 결정하거나 준거를 설정하기 위해 전문가 의견이 반영되어 왔다. 단일 체력요인의 결과가 아닌 모든 체력요인의 결과를 통합하여 체력점수를 산출할 때 대상별로 강조되는 체력요인의 상대적 중요도가 반영된다면 보다 합리적인 체력점수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운동처방을 하는데 보다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건강체력점수 산출에 있어 체력요인별 가중치 설정의 필요성과 타당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또한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을 객관적으로 정량화하는 AHP 기법의 활용성을 확인하는데 이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엥서는 건강체력점수 산출시 체력요인 가중치 설정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해 운동생리학 전공자 3인과 체육측정평가 전공자 1인으로 구성된 패널을 선정하였다. 4인의 전문가로 구성된 패널은 건강체력점수 산출을 위해 체력요인별 가중치 설정이 필요한지 묻는 물음에 "예", "아니오"로 응답한 후 "예"로 대답한 경우 평정을 진행하였다. 패널들은 아동, 청소년, 성인 그리고 노인의 건강체력점수 산출을 위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체력요인의 순위를 총체적(holistic)으로 평정한 후 AHP 방법에 의해 상대적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분석결과, 4명의 패널 중 1명의 일관성 비율이 기준값 0.1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해당 패널의 평정은 최종분석에서 제외하였다. AHP는 일관성 검증을 통해 평정자가 의사결정 대상에 대한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수치로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평정을 수정하거나 해당 평정자의 평정결과를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판정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패널들이 판정한 체력요인별 상대적 중요도 순위를 살펴보면 특히 아동과 노인의 경우 요인간 가중계수의 차이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이와 달리 성인은 유연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개 체력요인의 가중계수가 0.3내외로 나타나 거의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총체적으로 판정한 중요도 순위와 AHP 가중계수 순위를 비교해보더라도 성인의 체력 요인은 유연성을 제외하고 모든 요인이 동등하게 중요하다고 판정되었다. 아동과 노인의 경우에는 요인별 가중을 다르게 하여 건강체력점수를 구성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각 요인의 가중계수를 산출했지만 이 계수를 최종 요인별 가중치로 직접 제시하지는 않았다. 체력점수 구성을 위해 각 요인의 가중치가 얼마로 설정되어야 하는지는 근거중심접근(evidence-based approach)과 같은 이론적 타당화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더 많은 수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AHP 기법을 적용하여 의사결정 절차를 실시해야 하고, 실제 체력검사 자료를 기반으로 설정된 가중치의 타당성도 확인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으로 체력검사 대상은 구분하였지만 남녀 차이는 평정시 고려하지 않았다. 체력에 있어 성차 문제는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성별까지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expert's opinion for setting weight on fitness components for constructing fitness score i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test with application of AHP. AHP is multiple decision-making tool and aimed at integrating different opinion into a single overall score for ranking decision. Four expert panel were selected for the AHP and judg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fitness components in health-related fitness test for constructing fitness score. The rating were performed through 3 round. Using the software Expert choice 11.5 and Microsoft Office Excel 2007, the weight value of each fitness components and the panel's consistency ratio were calculated. One of the panel's rating was excluded in the final analysis because the panel's consistency ratio exceed the criteria 0.1. The AHP result show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fitness components were different in each age group based on panel's rating. The AHP can be the alternative method for assessing expert opinion in the area related with decision mak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건강체력검사의 단일척도를 개발하기 위해선 각 체력요인간 가중치 설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건강체력검사의 단일처고 개발을 위한 1단계 연구로서 연령별로 각 체력요인별 가중치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체력요인의 가중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타당성 뿐만 아니라 해당 분야 전문가들의 판단에 근거한 경험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 체력평가 시스템 개발과 관련한 여러 연구에서 검사항목을 결정하거나 준거를 설정하기 위해 전문가 의견이 반영되어 왔다. 단일 체력요인의 결과가 아닌 모든 체력요인의 결과를 통합하여 체력점수를 산출할 때 대상별로 강조되는 체력요인의 상대적 중요도가 반영된다면 보다 합리적인 체력점수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운동처방을 하는데 보다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건강체력점수 산출에 있어 체력요인별 가중치 설정의 필요성과 타당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또한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을 객관적으로 정량화하는 AHP 기법의 활용성을 확인하는데 이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엥서는 건강체력점수 산출시 체력요인 가중치 설정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해 운동생리학 전공자 3인과 체육측정평가 전공자 1인으로 구성된 패널을 선정하였다. 4인의 전문가로 구성된 패널은 건강체력점수 산출을 위해 체력요인별 가중치 설정이 필요한지 묻는 물음에 "예", "아니오"로 응답한 후 "예"로 대답한 경우 평정을 진행하였다. 패널들은 아동, 청소년, 성인 그리고 노인의 건강체력점수 산출을 위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체력요인의 순위를 총체적(holistic)으로 평정한 후 AHP 방법에 의해 상대적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분석결과, 4명의 패널 중 1명의 일관성 비율이 기준값 0.1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해당 패널의 평정은 최종분석에서 제외하였다. AHP는 일관성 검증을 통해 평정자가 의사결정 대상에 대한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수치로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평정을 수정하거나 해당 평정자의 평정결과를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판정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패널들이 판정한 체력요인별 상대적 중요도 순위를 살펴보면 특히 아동과 노인의 경우 요인간 가중계수의 차이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이와 달리 성인은 유연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개 체력요인의 가중계수가 0.3내외로 나타나 거의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총체적으로 판정한 중요도 순위와 AHP 가중계수 순위를 비교해보더라도 성인의 체력 요인은 유연성을 제외하고 모든 요인이 동등하게 중요하다고 판정되었다. 아동과 노인의 경우에는 요인별 가중을 다르게 하여 건강체력점수를 구성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각 요인의 가중계수를 산출했지만 이 계수를 최종 요인별 가중치로 직접 제시하지는 않았다. 체력점수 구성을 위해 각 요인의 가중치가 얼마로 설정되어야 하는지는 근거중심접근(evidence-based approach)과 같은 이론적 타당화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더 많은 수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AHP 기법을 적용하여 의사결정 절차를 실시해야 하고, 실제 체력검사 자료를 기반으로 설정된 가중치의 타당성도 확인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으로 체력검사 대상은 구분하였지만 남녀 차이는 평정시 고려하지 않았다. 체력에 있어 성차 문제는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성별까지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아동 체력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이 연구에서 아동은 만 7세부터 12세까지로 정의하였다. 패널 1은 근력/근지구력이 유연성에 비해서 3(약간 중요)정도 중요하다고 평정하였고, AHP의 역수성의 공리에 의해 유연성은 근력/근지구력 보다 1/3 중요한 것으로 결정되었다. 패널의 일관성 비율이 모두 기준(0.1)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평정의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패널들이 총체적(holistic)으로 평정한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순위와 AHP 기법을 이용해 가중계수를 산출한 후 결정된 순위를 비교해보면 대부분 그 순위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패널 1의 경우 전체적 평정에서 심폐지구력과 신체구성의 중요도가 동일하고 다음 근력/근지구력과 유연성 순으로 평정하였다. AHP에 의해 계산된 결과를 살펴보면 심폐지구력의 가중계수(0.444)와 신체구성의 가중계수(0.429)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 전체적 평정순위와 비교적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근력/근지구력, 유연성도 전체적 평정과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아동의 체력요인은 심폐지구력과 신체구성의 중요도가 우선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청소년 체력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패널의 일관성 비율이 모두 기준(0.1)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평정의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패널들이 총체적(holistic)으로 평정한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순위와 AHP 기법을 이용해 가중계수를 산출한 후 결정된 순위를 비교해보면 대부분 그 순위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심폐지구력, 신체구성, 근력/지구력, 유연성 순으로 상대적 중요 요인의 순위가 결정되었다.

    3. 성인 체력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패널의 일관성 비율이 모두 기준(0.1)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패널들의 평정의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패널들이 총체적으로 평정한 중요도 순위와 AHP 기법을 이용한 중요도 순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계수를 살펴보면 심폐지구력, 근력/근지구력, 신체구성의 가중치가 모두 0.3 내외로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성인의 경우 심폐지구력, 근력/지구력, 신체구성은 동일 가중이었고, 다음 유연성 순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4. 노인 체력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패널의 일관성 비율이 모두 기준(0.1)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널들이 총체적으로 평정한 중요도 순위와 AHP 기법을 이용한 중요도 순위는 비교적 서로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차이가 나타난 요인 순위도 실제 가중계수의 차이는 비교적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경우 근력/근지구력과 유연성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각 요인의 가중계수를 산출했지만 이 계수를 최종 요인별 가중치로 직접 제시하지는 않았다. 체력점수 구성을 위해 각 요인의 가중치가 얼마로 설정되어야 하는지는 근거중심접근(evidence-based approach)과 같은 이론적 타당화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더 많은 수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AHP 기법을 적용하여 의사결정 절차를 실시해야 하고, 실제 체력검사 자료를 기반으로 설정된 가중치의 타당성도 확인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으로 체력검사 대상은 구분하였지만 남녀 차이는 평정시 고려하지 않았다. 체력에 있어 성차 문제는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성별까지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색인어
  •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Health-related Fitness Test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