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1112&local_id=10024703
소집단 논변활동에서 학생의 참여에 따른 의미 형성 과정 이해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소집단 논변활동에서 학생의 참여에 따른 의미 형성 과정 이해 | 2009 년 | 박지영(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28
선정년도 2009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03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수자는 연수를 통해 과학교육에서 논변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과학교육에서의 발달한 논변 활동의 특성을 탐구하고자 학문후속세대양성프로그램에 지원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논변 활동에서 강조하는 준거에 터하여 주장하기가 과학교육에서도 중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즉, 논변 활동은 주장과 준거, 그리고 이들 사이의 타당한 관계를 강조하는데, 과학교육에서는 과학지식주장이 무엇인지 판단하기, 과학지식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근거들은 어떻게 과학지식주장을 구성하는지에 대해 판단하고 이해하는지를 드러내게 된다. 과학교육에서의 논변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 분야에서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고, 단적으로 Lee 등(2008)의 과학교육연구경향에 대한 논문에서는 논변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주된 연구가 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연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 논변 실행은 제한되어 있다.
    연수자는 논변활동의 실행에서의 제한점의 극복 방안 중 하나로 장기간의 논변 실행과 이를 통한 논변 발달에서 어떠한 요소가 긍정적으로 작용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박사학위연구의 연장선으로 한국의 교육대학교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논변 활동을 수행하게 하고, 사회적 요소인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논변 발달 과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즉, 논변 발달 과정을 세밀히 서술하고 논변 발달에 관여하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이를 통한 정교한 논변 수준을 드러냄으로써 교육적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 동안에 논의되고 있는 내용 중에서 소집단 구성원 사이에서 의미를 공유하면서 주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초점을 맞추었다. 연수자의 학문적 관심에 대한 세부적인 연수내용으로는 제시한 과학교육에서 논변활용에 있어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영향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정성적인 연구의 분석틀 마련과 해석의 타당성에 대한 모색, 과학교육에서의 논변관련 문헌들의 고찰과 출판 노력이 있다.
    이번 연수의 멘토는 브리스톨 대학의 Sibel Erduran 교수로 과학교육에서의 논변에 대한 그의 축적된 연구 경험은 연수자의 연구 진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과학교육에서의 논변활동의 사회적 측면 이해’라는 세부적인 연구 주제 외에도, 멘토가 속한 연구 그룹에서 시행 중인 연구 도구로서 비디오와 첨단 매체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 그리고 연수국인 영국의 과학교육체계를 접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연수를 진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접 유럽 국가들의 다양한 과학교육자와의 논의 기회나 학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교육을 바라보는 시선을 넓히고자 하였다.
  • 영문
  • I was supported this post-doctoral program for investigating science classroom practice of argumentation at school. This research is mainly for seeking to ways to improve classroom practice of argumentation in terms of social interaction between group members.
    This study is starting with the given importance of evidence-based claim on argumentation. In argumentation theory, there are some key aspects in argumentation. These are existence of claim, existence of evidence, and the proper relationships between given claim and evidence for or against argument. These key features can be considered also in science education field. That is, what is scientific knowledge claim in given context, what can be evidence for given claim, and how these evidence and claim related each other, and support for the better argument. Finally do students understand and evaluate argument based on these key features
    There is considerable argument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field. Lee et al. (2008) reported that there is increasing research efforts at the field of argumentation based on their literature review for revealing the trend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Besides of its huge research efforts on argumentation in science classroom, practice of argumentation in science classroom is still limited. I tried to find the reason for this gap between this research efforts and classroom practice. One of the ways to remove this gap is finding which aspects of social interactions can be positive to the developed group argumentation. To show the process of argumentation development, I tried to fully describe argumentation process and reveal social aspects including group members’ engagement into argumentation in terms of verbal interactions and classroom environments. After this process, it is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sophisticated and good argumentation. In particular, I tried to focus on how group members’ interaction was helpful to understand key conceptions at given argumentation context. Participants’ consensus on the meaning of certain concepts means their understanding or interpretation on certain concepts. It is possible from group members’ shared meaning making process, based on social interaction. In addition I tried to consider trustworthiness of analytical frameworks on my research, which is qualitatively described and revealed argumentation development. Finally, I did a literature review on argument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field.
    Through my one year training, I worked with prof. Sibel Erduran as my mentor. She is one of leading scholar on argument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field. Her mentoring to my work on social aspects of group argumentation was helpful to walk forward. In addition to her direct support on my research, to be registered as a member of the research center (L-KIT), which she was one of a members, it can be possible to experience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ools including ICT materials and video. Also I could experience the science education system of UK and research system of Univ. of Bristol. It was helpful to enlarge my research site especially from meeting science educators from European countr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수자는 연수를 통해 과학교육에서 논변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과학교육에서의 발달한 논변 활동의 특성을 탐구하고자 학문후속세대양성프로그램에 지원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논변 활동에서 강조하는 준거에 터하여 주장하기가 과학교육에서도 중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즉, 논변 활동은 주장과 준거, 그리고 이들 사이의 타당한 관계를 강조하는데, 과학교육에서는 과학지식주장이 무엇인지 판단하기, 과학지식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근거들은 어떻게 과학지식주장을 구성하는지에 대해 판단하고 이해하는지를 드러내게 된다. 과학교육에서의 논변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 분야에서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고, 단적으로 Lee 등(2008)의 과학교육연구경향에 대한 논문에서는 논변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주된 연구가 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연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 논변 실행은 제한되어 있다.
    연수자는 논변활동의 실행에서의 제한점의 극복 방안 중 하나로 장기간의 논변 실행과 이를 통한 논변 발달에서 어떠한 요소가 긍정적으로 작용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박사학위연구의 연장선으로 한국의 교육대학교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논변 활동을 수행하게 하고, 사회적 요소인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논변 발달 과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즉, 논변 발달 과정을 세밀히 서술하고 논변 발달에 관여하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이를 통한 정교한 논변 수준을 드러냄으로써 교육적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 동안에 논의되고 있는 내용 중에서 소집단 구성원 사이에서 의미를 공유하면서 주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초점을 맞추었다. 연수자의 학문적 관심에 대한 세부적인 연수내용으로는 제시한 과학교육에서 논변활용에 있어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영향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정성적인 연구의 분석틀 마련과 해석의 타당성에 대한 모색, 과학교육에서의 논변관련 문헌들의 고찰과 출판 노력이 있다.
    이번 연수의 멘토는 브리스톨 대학의 Sibel Erduran 교수로 과학교육에서의 논변에 대한 그의 축적된 연구 경험은 연수자의 연구 진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과학교육에서의 논변활동의 사회적 측면 이해’라는 세부적인 연구 주제 외에도, 멘토가 속한 연구 그룹에서 시행 중인 연구 도구로서 비디오와 첨단 매체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 그리고 연수국인 영국의 과학교육체계를 접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연수를 진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접 유럽 국가들의 다양한 과학교육자와의 논의 기회나 학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교육을 바라보는 시선을 넓히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수자는 이번 연수의 목적으로 연구 관심사에 대한 논의 및 진전, 다양한 질적인 연구 방법론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연수국인 영국의 과학교육과 연구체계를 이해하기, 그리고 인접 유럽국가들의 과학교육자들과의 교류를 제시하였고, 이번 연수를 통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1) 연수 목적 1 - 연수자의 연구 관심사에 대한 논의
    ‘과학교육에서의 논변 활동의 사회적 측면 이해’와 관련하여 멘토와 2주에 한번 정도 모임을 갖고 논의하고 2010년 5월 캠브리지 대학에서 개최된 EARLI ASC 에서의 발표(Park & Erduran, 2010)로 이어졌다. 또한 논변에 대한 문헌고찰을 위하여 연수자, 멘토, 터키의 대학원생 Yasemin Ozdem과 세 명이 공동으로 2050여건에 이르는 논변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다. 먼저 2011년 NARST에서 멘토가 제1저자가 되어서 발표하고 ESERA에서 연수자와 Yasemin Ozdem이 각각 제 1 저자가 되어서 연구 성과를 발표하게 되었다. 세 개의 일련의 연구들은 과학교육에서의 논변 연구의 경향성, 논변에 대한 모형, 논변연구의 이론적 배경 고찰에 대한 것으로 각기 다르다. 다양한 시선으로 과학교육에서의 논변연구에 대한 문헌고찰로서 연구 결과의 영향력이나 이론적 토대 구축에 있어서 영향력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2) 연수 목적 2 -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론에 대한 인식 및 활용
    * 브리스톨 대학 사범대학의 연구 소그룹 L-KIT의 연구물 발표에 참여, * FEST 프로젝트에 연구원으로 참여, * EARLI ASC 참석과 같은 세 가지 경로로 달성이 가능하였다. L-KIT은 수업현상을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브리스톨대학내의 연구 소그룹으로 다양한 질적 연구법에 대해서 간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FEST 프로젝트는 멘토가 진행하는 프로젝트 중의 하나로 대학원생인 Xiaomei Yan과 함께 진행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교사가 자신의 실행을 비디오로 녹화하고, 한 학교의 신입교사들이 각자의 실행에 대해서 논의하는 과정에서 교사 전문성 발달의 요소를 드러내고자 하는 연구로, 교사의 실행과 연구 분석 과정에서 비디오는 중요한 도구가 되었고 연수자도 많은 양의 비디오 자료 분석에 함께 참여하였다. 이 결과물은 TDA에 제출하고, 영국내의 교사들에게 배포되는 FEST DVD로 제작되었으며, 연수자의 이름도 기재되어 있다. 이 FEST 프로젝트에 참여한 내용을 바탕으로 2010년 11월 일본 호카이도 대학에서의 서울대와의 공동 학회에서 교사전문성 신장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였다(Park 등. 2010). 마지막으로 2010년에 개최된 EARLI ASC 는 학습에서의 동기부여의 중요성에 대한 것으로 특히 각 연구물마다 2시간 동안 진행된 집중 워크샵은 심도있는 논의와 반성을 토대로 연구를 바라볼 수 있게 한 뜻 깊은 시간이 되었다.
    3) 연수 목적 3 - 연수국인 영국의 과학교육 체계와 연구체계 경험
    * 멘토의 안내, * 예비교사 양성 프로그램 (PGCE; Post Graduate Certification for Education) 수업 참관, * 브리스톨 대학에서 개최하는 각종 연구 관련 행사 참석을 통해 달성할 수 있었다.
    교사전문성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관련 문헌을 파악하고 영국의 교육체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PGCE 프로그램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이 교사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하여 다시 대학에서 2년제 과정을 거치게 된다. 브리스톨 대학에 연수자로서 등록한 후에는 연수자의 관심사에 부합하는 각종 학술발표에 참여하고 이를 통해서 영국의 과학교육연구와 연구체계에 대해서 접할 기회를 가졌다.
    4) 인접 유럽국가들의 과학교육자들과의 교류
    멘토를 만나기 위해 브리스톨 대학을 방문한 노르웨이, 독일, 중국의 과학교육자들을 만나서 그들의 연구와 국가 상황에 대해 접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멘토의 주선으로 스페인의 바르셀로나 대학의 과학교육과와 교육심리학과에서 연수자의 연구를 발표하고 논의할 기회를 가지게 되었으며, 영국의 킹스칼리지 과학교육과를 방문하였다. 이들 저명한 학자 및 신진 연수자들은 국제학회에서 지속적으로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향후 국제적인 연구 모임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이득이 되었다.
    이번 연수 후에도 과학교육에서의 논변활용에 대한 문헌고찰이라는 주제로 멘토와 지속적인 공동연구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는 연구제안서 작성 단계이지만 한국, 영국, 핀란드, 일본의 4개국에서 과학교사들의 논변 실행 및 국내 논변 활성화를 위한 비교연구를 모색하는 중이다.
    또한 연수자의 연수 결과는 과학교육에서의 논변 활성화를 위한 교사 모임이나 연수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문헌고찰을 위해 사용한 방법론의 토대는 관련 문헌고찰 분야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과학교육에서의 논변 실행, 소집단 논변 동안의 사회적 상호작용, 질적 연구에서 논변 수준 분석을 위한 분석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의미 형성과 공유된 이해, 영국의 과학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