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3666&local_id=10026350
초등교육과 교사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미학적 탐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초등교육과 교사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미학적 탐구 | 2010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양은주(광주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54
선정년도 2010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아동 존재와 그의 성장에 부합되는 초등교육의 본질적 성격에 대한 재성찰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예술과 교육을 근원적으로 관련짓는 주요 미학적 관점들에 근거하여 초등교육과 교사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로, 인간 삶에서 미적 체험은 어떤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가라는 물음을 갖고서, 서양 고대와 근대와 현대의 주요 예술철학들 가운데 교육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지닌 것으로 주목되는 플라톤의 모방으로서의 예술론, 쉴러의 자유로운 유희로서의 예술론,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론을 연구범위로 한정하여 각각의 특징적 관점들을 분석한다. 둘째로, 초등교육의 본질적 성격은 미적 체험과 어떤 근원적인 관련성을 지니는가라는 물음을 갖고서, 초등교육의 목적과 본질적 과제에 관하여 주요 미학적 관점들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탐구한다. 세 사상가의 특징적 견해로부터 도출된 결과로서, 선별된 예술작품을 통해 진리와 선을 사랑하는 마음의 텃밭을 가꾸도록 습관들이기, 개별 아동의 감각과 욕망의 도야를 통해 이성적 자유에 이르는 데 필수적인 유희충동 함양하기, 아름다움이 깃들이는 공동 활동을 통해 단위 경험을 의미 있게 완성해가는 힘 기르기를 제안한다. 셋째로, 초등교육의 본질적 성격에 부합하는 교육 실천을 위해 초등교사에게는 어떤 자질과 전문적 능력이 요구되는가라는 물음을 탐구한 결과로, 인문적 교양을 갖춘 절제 있는 이야기꾼, 유희적인 성향을 간직한 섬세한 예술가, 사회적 지성을 발달시킨 연극연출가를 비유적으로 제시한다. 이로써 초등교육과 교사에 관하여 기존의 교육과학적, 기술공학적 접근의 한계를 넘어서 교육철학적, 미학적 접근이 지닌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세 사상가 모두에 공통된 견해로서, 초등교육의 성격은 그 어느 시기의 교육과 다른 고유함이 있으며 가장 특별한 의미로 예술적 접근이 필요하다. 여기서 초등교육이 예술적으로 접근되어야 한다는 의미는, 플라톤의 시가교육론의 궁극적인 포괄적 지향성의 의미를 잘 헤아려 읽는다면, 예술작품을 소재로 한다거나 예술교과수업 비중이 커져야 한다는 축소된 의미로 파악되지 않아야 한다. 쉴러 미학에서 이성적 도덕적 상태 이전에 필수적인 미적 상태의 의미를 되새겨 읽을 때, 정밀한 과학적 이성이나 도구적인 기술적 이성이 지배적인 방식에 내포된 위험성을 일깨워준다. 또한 듀이의 예술철학 바탕에 놓인 민주적 사회적 가치 지향성을 주목해 읽는다면, 예술적 천재를 조기에 발굴하기 위한 기능 위주의 경쟁적 접근이 지닌 문제의 심각성을 재성찰케 한다. 한 마디로, 초등교육에서 추구되어야 할 예술적 성격은 초등교육의 목적과 내용과 방법 및 학교조직을 구상함에 있어 가능한 포괄적, 전체적, 통합적, 감각적, 그리고 무엇보다 인간적이고 민주적이라야 한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 영문
  • Reflecting upon the problematic situations of elementary education as having been affected by uniform competitive social conditions in Korea, we need philosophical inquiry on the essential nature of education for children and their educative growth. With a view to new possibilities of aesthetic approach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nature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eacher, this study explores major philosophies of art which illuminate emphatically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education. For limiting the scope of inquiry, the aesthetic thoughts of Plato, Schiller and Dewey are analyzed as each representing pre-modern, modern and post-modern philosophies of art, respectively.

    As for the nature of art and its meaning for human life, Plato's thoughts suggest that the genuinely true art is to re-present not the sensible things but the ideal being and thereby cultivating the loving spirit of eros so as to desire and look after the immutable form of beauty. Schiller illuminates the educative significance of the aesthetic state as the very expression of and necessary condition for human characteristic freedom, which is to be attained by the so-called instinct of play as mediating between the sensual instinct and the formal instinct. For Dewey, art as experience is elaborated not only to characterize its liberating and uniting function in human communal life, but also to reveal critically the anesthetic compartmentalized condition of ordinary experience in capitalist society.

    Based upo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esthetic thoughts and educational ideas of Plato, Schiller and Dewey, it is shown that the educative significance of art and aesthetic experience are to be extended further in the earlier developmental stage of education for children. In concrete terms, the challenging tasks for elementary education to be implicated in these aesthetic perspectives are selective provision of perceptually good experience, conscious development of the instinct of play, and meaningful consummation of conjoint activities. Finally, it is proposed that the elementary teacher is to be educated as temperate story-teller with humanities orientation, sensitive artist with playful spirit, and constructive director with social intelligen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아동 존재와 그의 성장에 부합되는 초등교육의 본질적 성격에 대한 재성찰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예술과 교육을 근원적으로 관련짓는 주요 미학적 관점들에 근거하여 초등교육과 교사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고대 플라톤 이래 근․현대 미학에 이르기까지 서양 예술철학의 큰 흐름 속에서 예술의 교육적 가치가 어떻게 이해되어왔는지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교육학적으로 중요한 시사를 주는 미학적 관점들 가운데 초등교육과 초등교사의 특징적 성격과 의미를 밝혀주는 견해들을 고찰하는 것을 구체적인 연구목표로 수립하였다. 이로써 초등교육의 개념과 목적 및 초등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에 관하여 기존의 교육과학적, 기술공학적 접근들의 한계를 넘어서 교육철학적, 미학적 접근이 지닌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예술과 미적 경험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논의는 고대 희랍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고, 근대 사상가 칸트와 쉴러를 통해 체계화된 미학 전통이 수립되었으며,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실존철학, 포스트모더니즘 등 현대 사상에서 그 위상이 더욱 높아졌다. 모방, 자유로운 유희, 경험을 각각 핵심 개념으로 다룬 플라톤, 쉴러, 듀이의 미학적 관점에 공통된 생각으로, 특히 예술의 본질과 그로부터 유추되는 교육적 의미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논점이 정리된다.

    첫째는 예술의 본질적 가치가 인간을 자유롭게 해방시켜주는 데에 있다는 생각이다. 즉, 인간 삶에서 종교, 과학과 학문, 실용기술과 구별되는 예술에 고유한 의미는 지나온 경험을 통한 습관의 구속, 현재의 긴급한 실용적 수단적 필요의 구속으로부터 풀어주고 인간의 본성적인 자유를 해방시키는 데에 있다. 예술은 가장 모방적인 경우라 할지라도 결코 익숙한 것의 복제가 아니며, 결국 예술의 힘은 진부함을 걷어냄으로써 "안주하지 않게 만드는 경이로움"을 불러일으키는 힘에 있다.

    둘째는 예술이란 개인 내면에서나 공동 삶에서 분열, 대립, 갈등을 낳는 조건들을 극복하고 조화와 통일성, 불균형적 균형감으로 안내하는 통합적 기능을 지닌다는 생각이다. 예술은 인간을 이 세계 안에 하나임을 지각하도록 그럼으로써 인간적인 소통과 연대를 가로막는 온갖 장벽을 넘어서 하나가 되도록, 또한 자기를 분열시키는 다양한 힘들을 하나로 모이도록 이끈다. 감각적으로 직접 와 닿는 경험 안에서 새로운 의미 지각의 환희를 추구하는 점에서 인간의 능동성, 감성, 지성이, 활동성, 감각적 수용성, 의미지향성이 독특하게 통일된 총체를 이루며 통합되도록 하는 인간 활동이다.

    셋째는 예술을 통해 얻는 아름다움의 체험이 인간의 판단력과 심성을 도야하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는 생각이다. 예술작품의 창작과 감상을 통한 미적 경험은 과학적 인식을 추구하는 지적인 경험이나 실천적 선을 실현하는 도덕적인 경험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방식으로 인간의 욕망과 감각과 지성을 도야하는 힘을 지닌다. 종합해 보면, 플라톤에게는 교육적 가치가, 쉴러에게 와서는 해방적 가치가 듀이로부터는 통합적 가치가 더욱 초점을 두어 강조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이 세 가지 가치가 모두에게서 부정되지 않았고 상호보완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초등교육의 본질적 목적과 초등교사의 역할에 관하여 주요 미학적 관점들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세 사상가의 특징적 견해로부터 초등교육의 본질적 과제로 제안되는 핵심 내용은 선별된 예술작품에 친숙해지도록 안내함으로써 진리와 선을 사랑하는 마음의 텃밭 가꾸기, 개별 아동의 감각과 욕망의 도야를 통해 이성적 자유에 이르는 데 필수적인 유희충동 함양하기, 아름다움이 깃들이는 공동 활동을 통해 단위 경험을 의미 있게 완성해가는 힘 기르기로 재해석해볼 수 있다. 초등교육의 본질적 성격에 부합하는 교육 실천을 위해 초등교사에게 요청되는 자질과 능력에 관하여 각 사상가의 견해에 함축된 의미를 비유적으로 다시 읽어 보면, 인문적 교양을 갖춘 절제 있는 이야기꾼, 유희적인 성향을 간직한 섬세한 예술가, 사회적 지성을 발달시킨 연극연출가로 이해된다.

    결론적으로, 세 사상가 모두에 공통된 견해로서, 초등교육의 성격은 그 어느 시기의 교육과 다른 고유함이 있으며 가장 특별한 의미로 예술적 접근이 필요하다. 여기서 초등교육이 예술적으로 접근되어야 한다는 의미는, 플라톤의 시가교육론의 궁극적인 포괄적 지향성의 의미를 잘 헤아려 읽는다면, 예술작품을 소재로 한다거나 예술교과수업 비중이 커져야 한다는 축소된 의미로 파악되지 않아야 한다. 쉴러 미학에서 이성적 도덕적 상태 이전에 필수적인 미적 상태의 의미를 되새겨 읽을 때, 정밀한 과학적 이성이나 도구적인 기술적 이성이 지배적인 방식에 내포된 위험성을 일깨워준다. 또한 듀이의 예술철학 바탕에 놓인 민주적 사회적 가치 지향성을 주목해 읽는다면, 예술적 천재를 조기에 발굴하기 위한 기능 위주의 경쟁적 접근이 지닌 문제의 심각성을 재성찰케 한다. 한 마디로, 초등교육에서 추구되어야 할 예술적 성격은 초등교육의 목적과 내용과 방법 및 학교조직을 구상함에 있어 가능한 포괄적, 전체적, 통합적, 감각적, 그리고 무엇보다 인간적이고 민주적이라야 한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 색인어
  • 초등교육, 초등교사, 미학적 탐구, 플라톤, 모방, 쉴러, 자유로운 유희, 듀이, 경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