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3678&local_id=10023718
패션상품으로서의 모바일폰: 의상과 모바일폰에서의 패션행동 비교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패션상품으로서의 모바일폰: 의상과 모바일폰에서의 패션행동 비교 연구 | 2010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경애(영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56
선정년도 2010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10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모바일폰은 개인의 일상 필수품인 동시에 사회적 관계에 매우 중요한 도구이며, 개인의 자아이미지 확장을 통한 개성표현, 나아가 의상에서처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상징이 되고 있다. 즉 모바일폰은 더 이상 단순한 디지털기기가 아니라 개성을 표현하는 패션상품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옷, 가방, 구두, 시계, 보석 등과 같은 ‘패션상품으로서의 모바일폰’을 대상으로 소비자행동을 탐구한다. 의상/의류학 분야는 패션상품으로서의 의복행동을 이해하는 다양한 개념, 변인, 관계들의 연구업적을 보유하고 있어 ‘패션상품으로서의 모바일폰’을 연구하기에 가장 적합한 분야이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의상/의류학 연구분야에서 풍부하게 연구되어 온 ‘패션상품’ 관련 이론을 고찰하여 모바일폰에 응용하고 의상의 그것과 비교함으로써 패션상품으로서의 두 상품군을 보다 이해하고, 이를 통해 모바일폰을 의상/의류학 연구영역의 연구대상 패션상품으로 이론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의상/의류학분야 연구에서 패션상품으로서 의상을 이해하는데 연구되어온 개념과 변인을 구별하고, 휴대폰과 모바일 서비스관련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는데 연구된 개념과 변인을 고찰하여 패션상품으로서의 모바일폰 연구에 응용 가능한 변인을 추출하였다. 또한 패션과 모바일폰에 대한 소비자관점을 이해하기 위해 일련의 파일럿연구(집단면접, 개별면접, 질적조사 등)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의상과 모바일폰의 각 상품을 대상으로 패션성향(개성추구, 유행추구, 자아상징/표현, 독립추구), 패션행동(구매혁신, 사용혁신), 소비태도(쾌락적 및 실용적), 추구혜택(심미적, 상징적, 기능적) 등이 측정되고, 스마트폰을 사용중인 10대-50대 남녀 소비자 1,1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의상을 중심으로 이용되어 온 패션성향과 패션행동은 모바일폰에도 직접 혹은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관계는 의상과 모바일폰에서 동일한 패턴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모바일폰의 사용혁신은 기능적 및 장식적 사용행동으로 구분되었으며, 패션성향은 장식적 사용행동을 보다 잘 설명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소비태도와 추구혜택에서는 두 상품간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패션성향과 패션행동이 다른 제품에도 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의류학분야에서 연구되어온 패션관련 변인과 관계가 보다 다양한 상품군으로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영문
  • Mobile phone is an important instrument for social relationships and becomes a symbol of social communication as an extended self like clothing. It is more than a digital device, rather a fashion product expressing one's individuality. This study explores consumer behaviors for mobile phone as a fashion product and compares its perceptions and behaviors with those of clothing. The clothing studies field is the most appropriate academic area to study mobile phone as a fashion product as it has accumulated the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in fashion and clothing behaviors.
    The study reviewed past research in consumer behaviors for clothing and fashion and for mobile phones and identified constructs applicable for both product categories.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a series of pilot studies to understand consumer perspectives for fashion and mobile phones. Based on a series of earlier steps, the study measured fashion orientation (seeking individuality, seeking fashion trends, expressing self, and seeking independence), fashion behaviors (innovative behaviors in purchase and use), consumption values (hedonic and utilitarian), and benefits sought (aesthetic, symbolic and functional)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the smart phone users. A total of 1,131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fashion orientation and fashion behaviors mostly developed and studied for clothing products could be directly applied to or modified to the mobile phones, and such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showed the same patterns in clothing and mobile phone product categories. Fashion trend explained purchase better while individuality did use in the both product categories. However, fashion orientation explained aesthetic use innovative behaviors of mobile phones better than functional us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sumption values and benefits sought between the two products. The results imply that fashion orientation and behaviors could be applied to other product categories of traditionally non-fashion products, and that fashion related variables and relationships could be extended to various product categories containing fashion aspec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모바일폰은 디자인, 성능, 브랜드 등에서 놀랄만한 진화를 거듭하면서 단순한 디지털기기를 넘어서 패션아이템이 되고 있다. 즉 기술적 측면 뿐 아니라 디자인, 색상, 브랜드 등에서 개성표현이 중요해지면서 모바일폰은 옷, 핸드백, 구두, 시계 등과 같은 패션상품이 되고 있다. ‘패션상품으로서의 모바일폰’은 어떤 의미인가? 소비자들은 대표적인 패션상품인 의상에서 보이는 성향, 태도, 행동 등을 모바일폰에서도 보이는가? 의상과 모바일폰에 대한 소비자 인식, 태도, 행동 등은 어느 정도 유사하며 어떻게 유사한가? 또 어떻게 다른가? 의복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연구되어 온 패션에 대한 성향과 이론은 모바일폰에 대한 행동을 이해하는데 얼마나 적용되는가? 이러한 문제제기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패션상품에 대한 정보원, 쇼핑대안, 프로모션매체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 개성을 표현하는 ‘패션 아이템’으로서의 모바일폰 행동을 연구하였다. 즉 의상/의류가 대표적인 패션상품이라는데는 이의가 있을 수 없으나 패션이 다른 상품에서도 표현될 수 있는 것처럼 의상/의류를 넘어 확대된 패션상품으로서의 모바일폰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상품으로서의 모바일폰’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행동이 전형적인 패션상품인 의상에 대한 그것과 어떻게 유사하며,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의류패션분야 및 모바일폰 분야 소비자행동 관련 연구들을 토대로 의상에서의 패션에 대한 인식 및 행동에 대한 변인들을 추출하고, 일련의 파일럿 연구를 통해 모바일폰에서의 소비자 인식 및 행동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의상과 모바일폰에서의 패션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중인 10대-50대의 남녀 소비자 1,1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 일반적으로 의류상품을 대상으로 연구되어 온 패션성향(개성추구, 유행추구, 자아상징/표현, 독립추구)은 의류상품 뿐 아니라 모바일폰의 패션행동(구매혁신행동, 사용혁신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의 패턴은 의상과 모바일폰에서 동일하여 유행추구는 구매 혁신행동에 보다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개성추구는 사용혁신행동에 보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류상품의 패션성향은 모바일폰에 응용되어 모바일폰의 패션성향으로 측정되었는데, 이 또한 동일한 패턴으로 모바일폰의 패션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각각 측정된 두 상품군의 패션성향과 패션행동의 하위변인들은 각각 서로 관련되어 의류상품의 패션성향과 패션행동을 통해 모바일폰의 그것을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모바일폰의 기능적 사용혁신행동보다는 장식적 사용혁신행동이 보다 관련되었다. 한편 의류 패션성향이 두 상품군의 소비태도(쾌락적 및 실용적)와 추구혜택(심미적, 상징적, 기능적)에 동일한 패턴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아상징/표현이 전반적으로 가장 영향을 미치지만 상징적 혜택추구에는 유행추구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소비태도와 추구혜택에는 두 상품군에서 다소 차이가 있어 의상의 경우 쾌락적 태도, 모바일폰의 경우 실용적 태도가 더 높았고, 심미적 및 기능적 추구혜택은 의상에서 더 높은 만면 상징적 혜택추구는 모바일폰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의상에서 이용된 패션성향과 패션행동은 모바일폰에 직접 혹은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어 의상에서의 이러한 성향과 행동이 모바일폰에서의 그것을 예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의상에서의 패션성향은 의상 및 모바일폰에서의 패션행동, 소비태도 및 추구혜택 등을 유사한 패턴으로 예측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나아가 다른 디지털상품, 패션성을 보유한 모든 다른 산업의 상품에도 응용되어 비교분석될 수 있다. 이는 패션이 단순히 의상에서 나아가 생활문화로 인식되고, 패션, 예술, 기술, 산업간 다양한 콜래보레이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패션과 의상/의류학의 연구주제와 대상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관련 학문분야의 상품을 이론화함으로써 융복합시대에 학제간 연구의 가능성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실질적으로는, 전자업체와 의류패션업체의 공동마케팅전략에 활용될 수 있으며, 교육현장에서 의상 외 패션상품을 다루는 것은 학생들의 관심과 취업영역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 색인어
  • 패션상품, 모바일폰, 패션성향, 패션행동, 패션과 스마트폰, fashion products, mobile phone, fashion orientation, fashion behaviors, fashion and smart phone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