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3692&local_id=10025890
중국 동북지방 삼족토기의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국 동북지방 삼족토기의 연구 | 2010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양진(충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81
선정년도 2010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중국 동북지방에서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 동안 사용된 삼족토기의 출현 및 변화 양상은 아래의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 동북지방의 삼족토기의 출현 및 변화 양상은 동북지방의 각 주요 지역별로 다양하게 나타나서 중원식 문화의 일방전 전파라는 단일한 문화적 현상이라기 보다는 각 지역 사회의 문화적 전통과 결합된 복합적 문화 작용의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중국 동북지방의 삼족토기의 출현은 신석기시대 요동반도와 산동반도 선사시대 사이의 문화 접촉과 교류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삼족토기 가운데 鬲은 중국 동북지방에서도 서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네이멍구 동남부, 랴오닝 서부, 랴오허 이서 지역, 지린 동북부, 헤이룽장 서남부 지역 등의 청동기시대 문화에서 주로 유행한다.

    넷째, 하지만 중국 동북지방의 동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압록강 유역, 두만강 유역, 삼강 평원 등지의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 유적에서는 삼족토기가 전혀 사용되지 않고 있다. 재지적 토기 문화의 보수적 전통이 상대적으로 강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위의 대조적인 두 지역 사이의 점이 지대에서는 삼족토기가 사용되지만 鼎이 비교적 중요한 토기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삼족토기의 사용과 발전 양상의 차이를 근거로 중국 동북 지방의 삼족토기 문화 전통은 크게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취사 용기라는 삼족토기의 기본적 기능을 고려할 때, 삼족토기의 수용 또는 배제는 토기 전통의 혁신 또는 보수적 성격과 함께 취사 방식의 변화와 관련되지만, 구체적인 취사 방식의 차이는 현재의 고고학 자료를 볼 때 확실하지 않다.
  • 영문
  • Tripod vessels seem to have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north China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Neolithic culture, probably in the 6th millennium B.C.E., and they were used throught north and south China by the middle Neolithic period.
    In northeast China, the tripod vessels are found for the first time in the Xiaozhushan III culture of the 4th millennium B.C.E. in the southern tip of Liaodong peninsula. Both ding and gui vessels have been discovered and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contemporary Dawenkou culture of Shandong peninsula. It is clear that these tripod vessels were produced and used in this area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the Dawenkou culture. These vessels continued to be used in the late phase of the Neolithic period in Liaodong peninsula. However, no tripod vessels were used during the Neolithic period in the othe rparts of northeast China.
    Tripod vessels became very popular in some of the Bronze Age cultures in northeast China. In western Liaoning and southeastern Inner Mongolia, one of the most important types of pottery was li tripod in the Lower Xiajiadian culture of the 2nd millennium B.C.E. In the Dadianzi cemetery, Inner Mongolia, li tripod occupies almost one-third of all the mortuary vessels and is only second to the guan flat-bottomed pot. In addition to li tripod, ding tripod and yan steamer were also used in this early phase of the Bronze Age. In the subsequent Weiyingzi, Upper Xiajiadian, and Shi’ertaiyingzi cultures of the Bronze Agein in this area, li and ding tripod continued to be used but yan steamer were used less frequently.
    In the lower reaches of Liao River, all three types of tripod vessels, li, ding, and yan were all manufactured and used in the Gaotaishan culture, Shunshantun type, and Upper Xinle type of the 2nd millennium B.C.E. It seem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tripod pottery culture in this region was the result of the contact with their western neighbors of the Lower Xiajiadian culture in western Liaoning and southeastern Inner Mongolia.
    In Liaodong peninsula, the tradition of the tripod pottery culture from the Neolithic period continued to the Bronze Age. In contrast to the tripod vessels of western Liaoning, li tripod was never popular in this area, suggesting a different pottery tradition. It is noteworthy that in the middle of the 2nd millennium B.C.E. the Yueshi culture of Shandong peninsula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huangtuozi II culture of Liaodong peninsula, suggesting the close cultural interaction between the two peninsulas.
    In the Xituanshan culture of central Jilin, ding tripod is most commonly discovered among the tripod vessels. It was used in everyday life and often buried as a mortuary item in a stone coffin. Li tripod has been rarely discovered and only in houses of the Xituanshan culture, whereas few yan steamers have been excavated.
    In the Song-Nen Plain of northern Jilin and southwestern Heilongjiang, li, and only li, tripod was produced and used during the Bronze Age of this area. For instance, li tripod occupies more than one-sixth of about 300 vessels during the third phase at the Baijinbao site. Li tripod continues to be used until the end of the Bronze Age in this area.
    Among the tripod vessels, li tripod was the major type of vessel in the western part of northeast China, including southeastern Inner Mongolia, western Liaoning, western reaches of Liao River, northeastern Jilin, and southwestern Heilongjiang. However, some societies in eastern parts of northeast China never used tripod vessels during the Neolithic and Bronze Age, including valleys of Yalu and Tuman rivers and Sanjiang Plain of Heilongjiang. In the areas between these two contrasting regions, tripod vessels were used but dingt ripod was the most important type. Thus, it is possible to divide northeast China into three different areas on the basis of the use and development of the tripod vesse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중국 동북지방의 삼족토기 출현 및 변화 양상은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 동북지방의 삼족토기의 출현 및 변화 양상을 살펴볼 때 각 주요 지역별로 다양하게 나타나서 중원식 문화의 일방전 전파라는 단일한 문화적 현상이라기 보다는 각 지역 사회의 문화적 전통과 결합된 복합적 문화 작용의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중국 동북지방의 삼족토기의 출현은 신석기시대 요동반도와 산동반도의 문화 접촉과 교류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삼족토기 가운데 鬲은 중국 동북지방에서도 서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네이멍구 동남부, 랴오닝 서부, 랴오허 이서 지역, 지린 동북부, 헤이룽장 서남부 지역의 청동기시대 문화에서 유행한다.
    넷째, 하지만 중국 동북지방의 동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압록강 유역, 두만강 유역, 삼강 평원 등지의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 유적에서는 삼족토기가 전혀 사용되지 않고 있다. 재지적 토기 문화의 보수적 전통이 상대적으로 강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위의 대조적인 두 지역 사이의 점이 지대에서는 삼족토기가 사용되지만 鼎이 비교적 중요한 토기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삼족토기의 사용과 발전 양상의 차이를 근거로 중국 동북 지방의 삼족토기 문화 전통은 크게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취사 용기라는 삼족토기의 기본적 기능을 고려할 때, 삼족토기의 수용 또는 배제는 토기 전통의 혁신 또는 보수적 성격과 함께 취사 방식의 변화와 관련되지만, 구체적인 취사 방식의 차이는 현재의 고고학 자료를 볼 때 확실하지 않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고대 동북아시아의 토기 문화를 이해하고 사회문화적 양상을 복원하는데 매우 중요한 三足土器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특히 중국 동북지방을 중심으로 선사 및 초기 역사시대 三足土器의 문화적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중국 동북지방 고대 문화의 고유한 특징을 잘 보여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지역의 토기 문화가 남중국이나 북중국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도 일정한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고 이와 함께 한반도의 토기 문화와 평행 발전하고 있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구명함으로써 동북아시아 고대 문화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이해를 증진하고 한국 중국 사이의 고대사 및 고고학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또한 중국 동북지방과 연해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고대 역사와 문화가 단일하고 정체된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끊임없는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각 지역별 三足土器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이 지역 선사시대 및 초기 역사시대의 문화적 다양성과 역동성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앞으로 중국 동북지방 및 동북아시아 고고학 및 고고학 연구에서 사실적이고 구체적이며 객관적인 연구를 긍정적으로 자극하고 고무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왕의 연구에서 보이는 거시적 시각과 접근 방식(복기대 2002, 오강원 2006, 우실하 2007, 趙賓福 2009)에서 벗어나 三足土器와 같은 특정 형식의 유물을 중심으로 미시적이고 지역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이 지역 역사와 문화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실증적인 고고학 및 문헌 자료에 근거한 연구 결과는 한국, 중국 뿐만 아니라 세계의 관련 연구자들이 공감하고 인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연구 성과로 자리잡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과제의 일차적 성과는 지난 2010년 12월 1일부터 2일까지 타이베이에서 中央硏究院 歷史語言硏究所의 주최로 개최된 국제 학술회의 "東亞考古學的再思"에서 발표되었다. 위 연구소의 비용 부담으로 공식 초청을 받아, 본 연구과제의 내용이 포함된 논문 "The Tripod and Pedestal Vessels in Ancient Northeast China and Their Implications"를 발표하였다. 중국 동북지방의 삼족토기와 함께 두형토기의 출현 및 변화 양상을 비교 고찰한 이 논문은 참석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여러 가지 질문과 제안을 가지고 참석자들과 활발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결과는 조만간 전문학술지 게재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본 연구는 중국 동북지방의 삼족토기에 관한 최초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로서 앞으로 이 지역의 토기 문화에 관한 연구는 물론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의 문화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촉발하고 이 지역과 한반도의 선사시대 사회를 이해하는데 새로운 기여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중국 동북지방,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샤오주산 3기 문화, 샤자뎬 하층 문화, 웨이잉쯔 문화, 스얼타이잉쯔 문화, 가오타이산 문화, 솽퉈쯔 1기 문화, 솽퉈쯔 2기 문화, 솽퉈쯔 3기 문화, 시퇀산 문화, 바이진바오 문화, 삼족토기, 정, 력, 언, 규, 취사 용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