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4641&local_id=10034615
고고학적 고찰을 통해 본 기원전 9-7세기의 이스라엘 군과 군장비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고고학적 고찰을 통해 본 기원전 9-7세기의 이스라엘 군과 군장비 | 2011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임미영(건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41
선정년도 2011 년
과제진행현황 중단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2년 06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2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이스라엘의 고고학적 발전과 계속되는 발굴은 기원전 9-7세기에 군장비로 사용된 유물들을 세상에 드러냈다. 그러나 이 군장비들은 앗시리아 같은 강대국의 파괴의 흔적에서 드러났기 때문에 아군의 것인지 적군의 것인지를 구별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또한, 이스라엘이 침략을 받았을 때는 직업 군사 외에도 일반인들 역시 동원되었을 것이다. 무기의 부족은 그들이 사용하던 농기구나 가사용 도구들을 들고 나와 싸우게 하였을 것이며 군장비와 구분하는 것은 또 하나의 숙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견된 유물들은 사용 용도에 따라 구별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전쟁을 묘사한 벽화나 벽부조 같은 예술적 자료에서도 식별할 수 있고 구약성경과 다른 문헌에서도 사용의 예들을 찾아 볼 수 있다.
    군장비는 일반적으로 방어용과 공격용으로 나뉘고 여기서 다시 사정거리에 따라 단거리, 중거리, 그리고 장거리로 나뉠 것이다. 사정거리가 짧은 무기들은 주로 방어용으로서 자기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적에게 공격을 가할 수도 있는 것들이며 여기에는 단검, 장검, 곤봉, 철퇴, 도끼 등으로 나뉠 수 있다. 단거리용 장비는 아마도 보병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무기로 보이는데 대부분의 병사들이 그들이 가지고 있는 무기 외에도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었던 무기였을 것이다. 장군 요압은 "군복을 입고 띠를 띠고 칼집에 꽂은 칼을 허리에 맸다"(삼하 20:8). 이러한 모습은 앗시리아의 벽부조의 군사들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들은 창수거나 궁수지만 여전히 허리에 칼을 차고 있었다. 다윗은 골리앗과 싸우기 전에 사울의 놋 투구와 갑옷을 입었지만 그에게 맞지 않았다(삼상 17:38). 웃시야는 그의 군대를 위하여 방패와 투구와 갑옷을 예비하였다(대하 26:14). 안타깝게도 갑옷에 사용된 미늘은 발견된 바 있으나 이스라엘군의 방패와 투구는 아직까지 발견된 것이 없다. 그러나 라기스 벽부조에 묘사된 이스라엘 군의 모습을 통해 군복을 재현해 볼 수는 있다.
    중거리에 사용된 무기들은 창기류로서 여기에도 창자루를 길게 했는가, 짧게 했는가에 따라 다시 종류가 나뉠 수는 있겠다. 그러나 창자루가 대부분 나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창끝 만이 남아 있어 이를 쉽게 구분할 수는 없을 것이다. 아스겔론에서 철과 청동으로 만든 창끝이 발견되었고 라기스의 벽부조에서 이스라엘의 군사가 창을 들고 있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앗시리아의 자료에 의하면 창수들로 구성된 부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장거리용 무기에는 활과 화살, 그리고 투석용 돌들이 있다. 이러한 장비들은 상당히 오랜 기간 사용된 도구들로서 전쟁은 물론 사냥에서도 유용한 도구들이었다. 앗시리아의 자료에 의하면 훈련된 궁수들이 있었고 이들은 장 거리에 있는 적까지 조준할 수 있었기에 전쟁터에서 가장 무서운 적이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활은 나무와 동물의 힘줄 같은 유기물질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흔적을 단지 벽부조나 벽화에서만 찾아 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다행히 화살촉은 이스라엘의 유적지들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군장비로서 심지어 이름이나 글이 새겨져 있는 것들도 있다. 전장에는 궁수부대를 보호하기 위해 방패부대 역시 마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스라엘 군내 투석군의 존재는 이미 구약성경상에 많이 언급되고 있다. 유명한 에피소드인 다윗이 골리앗과 싸울 때도 그의 손에는 투석기가 들려 있었고(삼상 17:40) 남왕국의 왕 웃시야에게는 투석 부대가 있었다(대하 26:14-15). 또한 앗시리아에도 투석 부대가 있었음이 니느웨의 벽부조를 통해 볼 수 있다. 투석기에 사용된 둥글게 깍은 돌들은 이스라엘의 유적지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 영문
  • Recently, the archaeological development in Israel has exposed the acient weapons dating 9-7 BCE. However, since they have been discovered in the contexts of the wars between Israel and Assyria or Babylon, it is hard to seperate who were the real owners of them. In addition, because common people who were not trained as soldiers must have brought their domestic or agricultural tools to these wars,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tools which were used for only the purpose of wars. However, in these difficulties, the weapons could be devided as their use.
    Armaments can be devided into short, medium, and long range weapons. Short range weapons were used for the defensive weapons. In these, swords, daggers, mace, and axes. Medium range weapons are mostly spears. Since the spear handles are made of wood, only spear heads are left. In long range weapons, bows and sling stones.
    Beside archaeological finds, the Bible and Assyrian reliefs such as Lachish relief found in Neneveh are telling us the weapons of the ancient Israe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스라엘은 YHWH의 “형상을 만들지 말라”는 법 때문에 사람들을 묘사하지 않았고 덕분에 예술적 자료가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스라엘에게는 동시대에 문화를 공유한 앗시리아가 있기에 여기서 발견된 유물과 문헌에서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스라엘에게는 이 시대의 역사를 담고 있는 구약성경이라는 고대문헌이 있다. 구약성경은 이스라엘 군사들이 사용한 여러 가지 군장비들과 군의 모습 역시 언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언급을 기초로 많은 유명 예술가들은 그들의 작품 속에서 고대 이스라엘의 전쟁영웅을 그리곤 했다. 그러나 그들은 히브리어와 고대 근동 문화의 배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고 결국 그들이 살고 있던 동시대적 군복과 군장비를 구약성경의 인물들에게 입혀야만 했던 것이다. 이는 고대 문화 배경의 습득 없이 고대 문헌을 자신들이 살던 시대의 문화로 해석했던 좋은 예라고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2. 활용방안

    본 연구 결과는 고대 이스라엘군의 모습과 군사들의 군장비를 고고학적 자료 뿐만 아니라 문헌적 자료를 통해 고찰함으로서 고대 이스라엘의 군사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스라엘의 고대문헌인 구약성경을 종교적 서적으로만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고대 이스라엘의 일상과 문화를 재현할 수 있는 문헌적 도구로서 사용하는 방법의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본 연수자는 연수 수행과정에서 지중해지역연구소, 서양고대사학회, 구약학회, 한국이스라엘연구소 등의 연구소와 학회에서 개최하는 학술대회 및 학술 세미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연구결과를 발표할 것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유사한 분야의 연구자들과 학술, 정보, 현지사정, 연구방법론 등에 관한 심도 있는 토의와 의견교환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고대 근동 고고학, 이스라엘 고고학, 고대 군사학 등을 교육시키는 기관에서 강의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수자는 대학에서 본 연구를 강의하고 학술지 및 저서에 출판하여 연구결과를 공유할 것이다.
  • 색인어
  • 이스라엘, 군장비, 장거리 무기, 중거리 무기, 단거리 무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