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4984&local_id=10027250
1950년~2010년 한국의 경기(景氣)변동과 의류 텍스타일디자인의 문양(紋樣) 변화 간 상호연관성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1950년~2010년 한국의 경기& #40;景氣& #41;변동과 의류 텍스타일디자인의 문양& #40;紋樣& #41; 변화 간 상호연관성 연구 | 2010 년 | 이은옥(덕성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08
선정년도 2010 년
과제진행현황 중단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10월 0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 시대를 대표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제품을 표현하는 양식으로서가 아니라 한 국가의 시대적 가치이자 미적 가치인 동시에, 해당 시대 사람들의 생활양식이 표현되는 중요한 근거자료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70년에서 1979년까지 한국패션에 나타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의 문양을 분석하여 산업화 시대의 한국인이 선호했던 문양과 연도와 계절에 따른 선호 문양의 유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해당 시기의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1970년에서 1979년까지 전체적인 데이터를 통해 나타난 모티브의 종류는 도형이었으며, 표현기법은 양식적 즉 그래픽적 표현이며, 패턴의 크기는 옷의 1/10보다 작은 크기가, 규칙적인 패턴배열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특히 각 연도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도 전체적인 분석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70년대 전반에 걸쳐 규칙적이며 그래픽적으로 표현한 도형문양이 한국인에게 선호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 of textile designs of Korean fashion published in the various magazines in the 1970s. Textile design patterns are divided into 10 motives, 4 visualization techniques, 3 pattern sizes, and 4 pattern arrangements. The 10 motives are flowers, plants, animals, humans, ocean, transportations, accessories, industrial products, geometrical figures, and regalia such as numbers and symbols. The 4 visualization techniques are realistic, abstract, graphical, and abridged. The 3 pattern sizes are a pattern size larger than the one third of clothes, a pattern size between one tenth and one third of clothes, and a pattern size less than one tenth of clothes. The 4 pattern arrangements are systematic, unsystematic, mixed, and border. Results show that the most frequently watched design pattern in the 1970s is geometrical figures in graphical and systematic pattern with a pattern size less than on tenth of cloth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 시대를 대표하는 디자인은 단순히 제품을 표현하는 양식으로서가 아니라 한 국가의 시대적 가치이자 미적 가치인 동시에, 해당 시대 사람들의 생활양식이 표현되는 중요한 근거자료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70년에서 1979년까지 한국패션에 나타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의 문양을 분석하여 산업화 시대의 한국인이 선호했던 문양과 연도와 계절에 따른 선호 문양의 유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해당 시기의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1970년에서 1979년까지 전체적인 데이터를 통해 나타난 모티브의 종류는 도형이었으며, 표현기법은 양식적 즉 그래픽적 표현이며, 패턴의 크기는 옷의 1/10보다 작은 크기가, 규칙적인 패턴배열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특히 각 연도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도 전체적인 분석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70년대 전반에 걸쳐 규칙적이며 그래픽적으로 표현한 도형문양이 한국인에게 선호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970년대 한국은 60년대 전후 복구시기를 거쳐 산업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서양의 다양한 문화가 유입되면서 패션산업이 성장하였다. 패션산업의 성장은 사회․문화적 가치의 변화가 반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제품의 구매패턴의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1970년에서 1979년까지 한국패션에 나타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의 문양을 분석하여 산업화 시대의 한국인이 선호했던 문양과 연도와 계절에 따른 문양의 유형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해당 시기의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1970년에서 1979년까지 전체적인 데이터를 통해 나타난 모티브의 종류는 도형이었으며, 표현기법은 양식적 그래픽 표현이며, 패턴의 크기는 옷의 1/10보다 작은 크기가, 규칙적인 패턴배열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특히 각 연도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도 전체적인 분석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70년대 전반에 걸쳐 규칙적이며 그래픽적으로 표현한 도형문양이 한국인에게 선호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모티브 종류, 표현기법, 패턴크기, 패턴배열 등의 분류단위의 조합을 기준으로 빈도 분석한 결과 이 역시도 규칙적이며 그래픽적으로 표현된 도형문양이 가장 선호되었으며, 그 다음은 규칙적이며 그래픽적인 도형이긴 하나 다소 큰 문양이, 다음으로는 규칙적이며 그래픽적인 작은 크기의 꽃문양이 선호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각 연도에 따른 분석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계절별 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대 한국 의류에 사용된 텍스타일디자인의 흐름을 이해하고 그에 사용된 시대적 문양(pattern)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특히 총 3,817개의 텍스타일디자인에 대한 자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대적 텍스타일디자인 사료(史料)를 구축하여 향후 패션소재 및 의류업체로부터 전자제품 및 문양을 필요로 하는 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것이다.
  • 색인어
  • 텍스타일프린트 디자인, 70년대 패션, 디자인모티브, 1970년대 트렌드, 모티브 사이즈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