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5059&local_id=10047928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통합 체육수업 모형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통합 체육수업 모형 개발 | 2011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고문수(경인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359
선정년도 2011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3년 0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3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에게 체육수업을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다문화사회에 적합한 다문화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이 즐거운 학교생활과 사회적응력을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다문화가정의 학생을 위한 통합 체육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체육수업 참여자의 특성과 운영자 측면 및 체육수업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등을 토대로 다문화 통합 체육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다문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통합 체육수업 모형 개발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수업 참여자의 특성으로 학생 측면에서는 연구참여자의 이해와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으로 체육수업의 문제점, 체육수업의 가치가 도출되었다. 둘째, 체육수업 운영자의 특성으로 교사측면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생을 만나기 전의 교사 인식으로 방법 중심의 학습 지향, 모형 중심의 학습 지양, 준비성이 부족한 체육수업,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족 현상이 드러나고 있었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학생을 만난 후의 교사 인식에서는 협동학습의 구조 활동, 수업의 준비와 긍정적 태도의 형성, 다양한 프로그램의 구안 등이 도출되었다. 셋째, 체육수업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으로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에서는 심신 발달의 증대,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대, 자신감 획득의 기회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체육수업의 문제점으로는 획일적인 교수․학습, 수업내용의 흥미와 다양성의 결여가 도출되었다. 좋은 체육수업을 위한 기대 부분에서는 시설 및 교구의 확보, 우수 교사와의 만남, 다양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수업 참여기회의 확대 등이 제안되었다. 넷째, 다문화 학생을 위한 통합 체육수업 모형의 개발에서는 위에서 제시된 첫째, 둘째, 셋째의 연구 결과와 체육수업의 가치, 체육 현상의 관점에서 들여다 본 다문화사회 체육의 역할, 통합 체육수업의 이해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학업지원 프로그램, 창의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 체육 교구의 확보, 교사교육 등을 모형의 핵심 범주로 구성하였다.
    다문화교육에서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그 생활 속에서 가치를 찾도록 안내하기 위해서는 통합적인 교육활동을 제공해야 한다. 통합성이 제공되는 체육수업은 학생들에게 신체활동을 총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안내할 뿐만 아니라, 다문화사회에서 학생들이 심동적․인지적․정서적인 측면을 통합하여 즐거운 체육수업을 만드는데 기여해야 한다. 특히, 수업 활동 측면에서 학습전략과 학습조직을 효율적으로 설계하여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이 경험하는 갈등을 줄여나가야 한다. 학생들이 경험하는 갈등은 활동에 대한 참여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부정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다. 이에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이 학교체육에 소속감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자극하기 위해서는 협동학습의 구조가 포함된 체육수업을 활용해야할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support student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y to enjoy school and enhance their social adaptability by developing an instructional model for multicultural students which would be developed through data collected from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fered to multicultural students. In this study, an integrated multicultural physical education model has been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features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concerns of PE instructors and awareness of parents on physical education.
    The integrated multicultural physical education model for multicultural student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stage. First, the problems and value of physical education have been derived with th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tudy in order to reflect an aspect of the student. Second, it was aimed to reveal features of a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before confronting multicultural students and it showed that the current physical education is mostly method-oriented, model-oriented, lack of preparation and insufficient programs, but it was changed after meeting multicultural students. After meeting them, a structural activity of cooperative education, formation of positive attitude, and preparation of a class and various programs. Third, the awareness of parents on physical education has been revealed. They were more likely to believe that physical education is proper for enhancing the potential of a student mentally and physically and social interaction as well as self-confidence. As for concerns for physical education, uniformed teaching method and program and lack of interest have been drawn. For the anticipated factors for providing the more enhanced physical education, the provision of facilities and teaching materials and excellent teacher as well as various programs and expansion of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opportunities have been suggested. Fourth,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multicultural physical education model, the aforementioned study results and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were considered, and an education support program, a creative physical activity program,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 and training of teachers have been composed as critical factors.
    Most of all, the role of a teacher is important for educating student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y, Teachers should support them to participate in school activities in an active manner and to figure its importance on their own. physical education which provides integrity to students, helps students to experience comprehensive physical activities but also to integrate the intellectual, emotional and psychomotor aspects of students so students can enjoy physical education. Moreover, teachers should design teaching strategies and teaching organization in an efficient manner so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can experience less conflict. Conflicts that students experience can make them reluctant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Thus, physical education which includes the cooperation program should be provided to multicultural students so they could feel a sense of belong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에게 체육수업을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다문화사회에 적합한 다문화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이 즐거운 학교생활과 사회적응력을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다문화가정의 학생을 위한 통합 체육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체육수업 참여자의 특성과 운영자 측면 및 체육수업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등을 토대로 다문화 통합 체육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수업 참여자의 특성으로 학생 측면에서는 연구참여자의 이해와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으로 체육수업의 문제점, 체육수업의 가치가 도출되었다. 둘째, 체육수업 운영자의 특성으로 교사측면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생을 만나기 전의 교사 인식으로 방법 중심의 학습 지향, 모형 중심의 학습 지양, 준비성이 부족한 체육수업,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족 현상이 드러나고 있었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학생을 만난 후의 교사 인식에서는 협동학습의 구조 활동, 수업의 준비와 긍정적 태도의 형성, 다양한 프로그램의 구안 등이 도출되었다. 셋째, 체육수업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으로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에서는 심신 발달의 증대,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대, 자신감 획득의 기회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체육수업의 문제점으로는 획일적인 교수․학습, 수업내용의 흥미와 다양성의 결여가 도출되었다. 좋은 체육수업을 위한 기대 부분에서는 시설 및 교구의 확보, 우수 교사와의 만남, 다양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수업 참여기회의 확대 등이 제안되었다. 넷째, 다문화 학생을 위한 통합 체육수업 모형의 개발에서는 위에서 제시된 첫째, 둘째, 셋째의 연구 결과와 체육수업의 가치, 체육 현상의 관점에서 들여다 본 다문화사회 체육의 역할, 통합 체육수업의 이해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학업지원 프로그램, 창의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 체육 교구의 확보, 교사교육 등을 모형의 핵심 범주로 구성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에게 체육수업을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다문화사회에 적합한 다문화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이 즐거운 학교생활과 사회적응력을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다문화가정의 학생을 위한 통합 체육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체육수업 참여자의 특성과 운영자 측면 및 체육수업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등을 토대로 다문화 통합 체육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통합 체육수업 모형 개발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수업 참여자의 특성으로 학생 측면에서는 연구참여자의 이해와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으로 체육수업의 문제점, 체육수업의 가치가 도출되었다. 둘째, 체육수업 운영자의 특성으로 교사측면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생을 만나기 전의 교사 인식으로 방법 중심의 학습 지향, 모형 중심의 학습 지양, 준비성이 부족한 체육수업,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족 현상이 드러나고 있었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학생을 만난 후의 교사 인식에서는 협동학습의 구조 활동, 수업의 준비와 긍정적 태도의 형성, 다양한 프로그램의 구안 등이 도출되었다. 셋째, 체육수업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으로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에서는 심신 발달의 증대,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대, 자신감 획득의 기회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체육수업의 문제점으로는 획일적인 교수․학습, 수업내용의 흥미와 다양성의 결여가 도출되었다. 좋은 체육수업을 위한 기대 부분에서는 시설 및 교구의 확보, 우수 교사와의 만남, 다양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수업 참여기회의 확대 등이 제안되었다. 넷째, 다문화 학생을 위한 통합 체육수업 모형의 개발에서는 위에서 제시된 첫째, 둘째, 셋째의 연구 결과와 체육수업의 가치, 체육 현상의 관점에서 들여다 본 다문화사회 체육의 역할, 통합 체육수업의 이해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학업지원 프로그램, 창의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 체육 교구의 확보, 교사교육 등을 모형의 핵심 범주로 구성하였다.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위한 통합 체육수업 모형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 체육수업을 통한 다문화수업 모형 개발은 학문적 분야의 교육활동에 기여할 수 있다. 다문화가정에 대한 국가적 관심과 교육학 유아교육, 도덕교육, 사회학 등의 학문 분야에서의 다학문적 접근과 학제적 연구의 시발점인 동시에 연구참여자의 내면적인 이해를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기본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통합 체육수업을 통한 다문화수업 모형 개발은 인력 양성 및 사회적 측면에 기여할 수 있다.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한국인 가정의 자녀들에 비해 언어 소통의 어려움과 문화의 상대성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자칫 마음의 상처를 심하게 받을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는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비행청소년으로 자라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통합 체육수업 모형의 개발은 다양한 활동이 포함된 직․간접적인 교수활동과 체험활동이 포함된 통합 체육수업을 통해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이 학교생활과 한국사회에 잘 적응하도록 안내할 것이다.
    셋째, 다문화가정 학생의 체육수업을 통한 다문화수업 모형의 개발은 학교 체육수업에서 소극적으로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적극적인 참여는 물론 학교생활의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색인어
  • 다문화가정, 사회적응, 수업모형, 다문화 학생, 체육교육, 통합적인 다문화 체육수업모형, 개발, 부모인식, 체육교육의 문제와 가치, 학생 참여의 이해와 인식, 학생 측면, 체육교사교육자, 현대 체육교육, 방법 지향, 모형 지향, 준비성의 부족, 협동학습의 구조적 활동, 긍정적인 태도의 형성, 학생의 잠재력 증진, 사회적 상호작용, 자신감, 통합적인 교수 방법, 교수자료, 창의적인 체육활동 프로그램, 체육 교수자료l, 심동적 측면, 교수전략, 교수조직, 협동학습 프로그램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