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5130&local_id=10046795
싱가포르 초등체육 구조의 혁신적 변화에 대한 푸코의 고고학적 담론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싱가포르 초등체육 구조의 혁신적 변화에 대한 푸코의 고고학적 담론 분석 | 2011 년 | 정호진(한국체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10
선정년도 2011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3년 01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3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연수자가 싱가포르국립교육대학교에서 박사후국외연수를 수행하면서 싱가포르 초등체육 구조의 혁신적 변화에 대하여 푸코의 사유와 저서에 바탕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고고학적 담론분석을 통하여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수자는 문헌 자료, 미디어 및 언론보도 자료,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세가지로 나누었던 연구문제별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어냈다. 첫째, 싱가포르 초등체육 구조의 혁신적 변화를 이끌어낸 담론은 주체의 권력적 지위에 의해 구성되었다. 그것은 싱가포르 교사 양성 교육기관의 역사적 지식의 구조, 싱가포르의 정부 주도적 교육 정책의 구조, 싱가포르 정부의 초등체육 지원을 위한 실행적 구조였다. 둘째, 싱가포르 초등체육 구조의 혁신적 변화에 대한 내용은 주체의 제도적 정위에 의해 구성되었다. 그것은 싱가포르 초등체육의 기술과 가치와 지식의 균형, 싱가포르 초등체육의 질 높은 교사의 확대 배치 및 체육 시수의 증가, 싱가포르 초등체육의 인프라 구조의 확충 및 강화였다. 셋째, 싱가포르 초등체육 구조의 혁신적 변화에 따라 생산된 담론은 주체의 사회적 상황에 의해 구성되었다. 그것은 싱가포르의 초등체육을 둘러싸고 있는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전환, 싱가포르의 초등체육에 대한 예산 할당의 제도적 지원 확대, 싱가포르 초등체육의 혁신적 변화에 따른 사회적 상황의 반영이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innovative changes of the primary physical education structure in Singapore using the archaeological discourse analysis which is based on Foucault's thoughts and book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through documents, media and press materials,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discourses which conduced to the innovative changes of the primary physical education structure in Singapore was formed by the power status of subject: the historical knowledge structure of Singapore's institute of teacher education, the educational policy structure which is government-dominant, and the implementation structure for Singapore government to support primary physical education. Second, the details of the innovative changes of the primary physical education structure in Singapore were comprised of the institutional emplacements of subject: balancing knowledge with skills and values, increasing quality teacher assignment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expanding and enhancing infrastructure. Third, the discourses produced by the innovative changes of the primary physical education structure in Singapore consisted of social circumstances of subject: paradigm shift of stakeholders surrounding Singapore's primary physical education, expansion of institutional support in budget allocation on Singapore's primary physical education, and reflection of social situation according to the innovative changes of the primary physical education structure in Singapo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싱가포르 초등체육 구조의 혁신적 변화에 대하여 푸코의 사유와 저서에 바탕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고고학적 담론분석을 통하여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자료, 미디어 및 언론보도 자료,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어냈다. 첫째, 싱가포르 초등체육 구조의 혁신적 변화를 이끌어낸 담론은 주체의 권력적 지위 ― 싱가포르 교사 양성 교육기관의 역사적 지식의 구조, 싱가포르의 정부 주도적 교육 정책의 구조, 싱가포르 정부의 초등체육 지원을 위한 실행적 구조 ― 에 의해 구성되었다. 둘째, 싱가포르 초등체육 구조의 혁신적 변화에 대한 내용은 주체의 제도적 정위 ― 싱가포르 초등체육의 기술과 가치와 지식의 균형, 싱가포르 초등체육의 질 높은 교사의 확대 배치 및 체육 시수의 증가, 싱가포르 초등체육의 인프라 구조의 확충 및 강화 ― 에 의해 구성되었다. 셋째, 싱가포르 초등체육 구조의 혁신적 변화에 따라 생산된 담론은 주체의 사회적 상황 ― 싱가포르의 초등체육을 둘러싸고 있는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전환, 싱가포르의 초등체육에 대한 예산 할당의 제도적 지원 확대, 싱가포르 초등체육의 혁신적 변화에 따른 사회적 상황의 반영 ― 에 의해 구성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 첫째, 싱가포르 초등체육 구조의 혁신적 변화를 이끌어낸 담론은 주체의 권력적 지위 ― 싱가포르 교사 양성 교육기관의 역사적 지식의 구조, 싱가포르의 정부 주도적 교육 정책의 구조, 싱가포르 정부의 초등체육 지원을 위한 실행적 구조 ― 에 의해 구성되었다. 둘째, 싱가포르 초등체육 구조의 혁신적 변화에 대한 내용은 주체의 제도적 정위 ― 싱가포르 초등체육의 기술과 가치와 지식의 균형, 싱가포르 초등체육의 질 높은 교사의 확대 배치 및 체육 시수의 증가, 싱가포르 초등체육의 인프라 구조의 확충 및 강화 ― 에 의해 구성되었다. 셋째, 싱가포르 초등체육 구조의 혁신적 변화에 따라 생산된 담론은 주체의 사회적 상황 ― 싱가포르의 초등체육을 둘러싸고 있는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전환, 싱가포르의 초등체육에 대한 예산 할당의 제도적 지원 확대, 싱가포르 초등체육의 혁신적 변화에 따른 사회적 상황의 반영 ― 에 의해 구성되었다.
    활용방안 -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미래사회의 초등체육 분야에서 또 어떠한 변화가 찾아올 지 온전히 예측하기란 쉽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푸코의 렌즈를 빌어 시도하였던 이 작업 ― 현재의 패러다임에서 실천 가능한 초등체육 분야의 움직임을 예측하고자 했던 노력 ― 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싱가포르 초등체육의 담론적 구조를 들추어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 우리사회에서 초등체육의 발전을 위해 어떠한 노력과 실천이 중요한지 스포츠사회학적 접근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푸코의 고고학적 작업은 이미 형성되어 있는 담론의 과거를 사유하면서 현재에 저항하는 모습을 띄기도 하였지만 궁극적으로 현재로 다시 되돌아오기 위함이 아니라 다가올 미래를 위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몇 가지 활용방안 ― 우리 눈에 보이는 곳에 시선을 멈춰 제한적으로 다루는 것을 넘어 눈에 보이지 않는 곳으로 시선을 옮겨 포괄적으로 바라봄 ― 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체육을 둘러싸고 있는 많은 이해관계자들의 담론적 구조를 들여다보고 왜 우리사회에서 초등체육 분야의 정상화가 더딘지 파악해야 한다. 둘째, 초등체육의 변화를 유지하고 조절해가는 목소리의 주체들이 누구인지 찾아내어 이러한 도전 과제들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디에서 부터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 구체화시켜야 한다. 셋째, 그것들이 말해지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총체적인 내용들을 분석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도화 된 장소가 어디인지 확인하여 실현 가능한 맞춤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 색인어
  • 푸코의 고고학적 담론분석, 혁신적 변화, 싱가포르의 초등체육 구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