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6466&local_id=10076977
웹기반 동양고전번역 용어/용례사전 편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웹기반 동양고전번역 용어/용례사전 편찬 | 2011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문기(경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02
선정년도 2011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5년 04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동양고전번역 용어/용례사전편찬’ 사업은 동양고전을 번역할 때마다 부딪히는 난해한 용어들의 풀이와 그 전거를 제시하고, 각종 문헌에 나타나는 다양한 용례를 예시 번역함은 물론 이를 DB로 구축하여 웹서비스함으로써 학문후속세대들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키는 데 목적을 둔다. 기존의 한자자전이 가지는 한계점들을 폭넓게 반영한 이 사전은 ‘연린 번역’ 오류의 최소화, 한자자전 활용상 문제점의 개선, 다양한 용례 제공을 통한 번역의 질적 향상, 한자자전 편찬의 새로운 방향 제시 등의 구체적인 목표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이러한 사전편찬을 위해 본 연구팀은 방대한 양의 표제어를 수집하였다. 이 중에는 기존 사전류에 포함된 중요한 표제어들 뿐만 아니라 간찰 용어 및 한국식 한자어, 인명자호, 지명, 이두용어들까지 다량으로 포함하였다. 이를 토대로 각각의 표제어에 대한 전거와 그 해석을 제시하고, 다양한 용례의 원문과 그 번역을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팀은 이처럼 방대한 표제어를 수입하여 3년에 걸쳐 사전편찬작업을 실시하였는데 3차에 걸쳐 가나다 순으로 진행하였다. 2차년도에서는 ㄱ~ㅂ에 해당하는 표제어를, 2차년도에서는 ㅅ~ㅊ에 해당하는 표제어를, 3차년도에는 ㅋ~ㅎ에 해당하는 표제어 및 역사지명, 이두용어 등을 대상으로 편찬작업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편찬작업은 대체로 자료의 조사·수집 및 정리, 번역 용례의 입체적 조망, DB 구축을 통한 다양한 색인화의 방법을 설정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3년에 걸친 편찬작업 끝에 ‘동양고전번역 용어/용례사전’에는 보통용어 10,376개, 간찰용어 4,726개와 이에 해당하는 표제어 풀이 18,907항목, 출전풀이 8,758항목, 용례풀이 22,094항목, 인명자호 30,466개, 역사지명 4,034개, 이두용어 2,409개 등의 방대한 양의 성과물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를 웹으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http://ctdic.kr 참고.)
    이렇게 완성된 동양고전번역 용어/용례사전은 거시적으로 한국학의 기초연구 활성화에 기여하고 한국학 고전 전문 연구인력 및 학문 후속세대 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미번역 고전의 국가적 번역 사업 기간을 단축하는데 도움을 주며, 한국학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미시적으로는 기존 대자전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열린번역’의 오류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하며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웹서비스화하여 이용자의 편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work of 'Compilation of the Oriental Classics Translation Terms and Example Dictionary' aims to maximize the availability for academic future generations, by presenting the explanation and references of difficult terms that they face when translating Oriental classics, by translating various examples in all reference books, by developing DB(Database), and offering web services. The compilation of the dictionary that reflect the limit of existing Chinese dictionaries put emphasis on specific goals, such as minimizing errors in translation, improving problems of using Chinese dictionary, raising quality of translation by offering various examples, and presenting new direction of compilation.
    For the compilation, our research team collected a vast body of entries. The entries include Gan-Chal(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terms, Chinese character of Korean style, names and pseudonyms of people, place names, and Yi-Du(Orthography of Korean by Chinese character) terms, as well as important entries included in existing dictionaries. Based on these, our team presented the references and interpretation of each entry, and the original text and translation of various examples. Our team worked on the compilation for three years, collecting a vast body of entries in alphabetical order three times. The primary research worked on entries in 'ㄱ~ㅂ(1st to 6th)', the secondary 'ㅅ~ㅊ(7th to 10th), the tertiary 'ㅋ~ㅎ(11th to 14th), name of historical place, Yi-Du terms, and so on. The work was done by setting up various ways of indexing, based on investigation, collection, and organization of data, stereoscopic vision of translation examples, and development of DB(Database).
    After three years of compilation, the dictionary achieved the inclusion of 10,306 common terms, 4,726 Gan-Chal terms, 18,907 explanation of entries, 8,758 explanation of references, 22,094 explanation of examples, 30,466 names and pseudonyms of people, 4,034 names of historical place, and 2,409 Yi-Du terms. We also developed database of the work in web site.(http://ctdic.kr)
    Macroscopically, the dictionary will contribute to vitalization of basic research of Korean Studie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research manpower, and academic future generations in Studies of Korean Classics. In addition, it will help shortening the period of national work of translating untranslated classics, an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of Korean Studies. Microscopically, it will compensate the defects of existing dictionaries, contribute to minimizing errors in translation, and maximize convenience of users by developing database, and offering web servic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Ⅰ. 연구 목적 및 방법 1
    1. 연구의 목적 1
    (1) '열린 번역' 오류의 최소화 2
    (2) 한자자전 활용의 문제점 개선 2
    (3) 다양한 용례 제공으로 번역의 질적 향상 3
    (4) 한자자전 편찬의 새로운 방향 제시 3
    2. 연구 내용, 범위 및 방법 4
    (1) 연구 내용 4
    ❶ 표제어의 전거 제시 4
    ❷ 간찰 용어 및 한국식 한자어의 표제어화 4
    ❸ 다양한 용례 번역 5
    (2) 연차별 연구 범위 5
    (3) 연구 방법 5
    ❶ 자료 조사ㆍ수집 및 정리 6
    ❷ 번역 용례의 입체적 조망 6
    ❸ DB구축을 통한 다양한 색인화 6
    Ⅱ.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7
    (1) 제1차 연도 연구 내용 :
    ㄱ - ㅂ(일반 용어, 간찰 용어 및 인명 자호) 7
    (2) 제2차 연도 연구 내용 :
    ㅅ - ㅊ(일반 용어, 간찰 용어 및 인명 자호) 7
    (3) 제3차 연도 연구 내용 :
    ㅋ - ㅎ(일반 용어, 간찰 용어 및 인명 자호)
    + 역사지명(ㄱ-ㅎ), 이두(吏讀, ㄱ-ㅎ) 8
    Ⅲ. 연구결과 활용계획 11
    1. 연구결과 활용계획 11
    (1) 연구결과의 학문적ㆍ사회적 기여도 11
    (2) 인력 양성 방안 12
    (3) 연구와 교육으로의 활용 13
    2. 연구성과 13
    (1) 3년간 연구성과 13
    (2) 결과물 一例 13
    Ⅳ. 참고문헌 16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활용계획

    (1) 연구결과의 학문적ㆍ사회적 기여도

    웹기반『동양고전번역 용어/용례사전』은 실질적인 효과가 막대함은 물론 상징적인 효과 또한 뚜렷하다.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한국학의 발전과 심화를 견인하거나 다른 유사 분야의 사전 편찬을 유도하는 거시적인 면과, 번역의 질적 향상을 고조시키는 계기를 제공하는 미시적인 면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❶ 거시적 효과
    가) 한국학의 기초연구 활성화에 기여
    - 인접 학문 및 동양학 분야의 사전 편찬 유도
    나) 한국학 고전 전문 연구인력 및 학문 후속세대 양성
    - 본 과제 결과가 한국학 고전연구의 난점을 해결해줌으로써 보다 많은 인재를
    한국학 고전 연구로 이끌게 될 것임
    다) 한국학의 국제 경쟁력 강화
    - 한국학 연구의 질적 수준 상승
    - 권위 있는 번역을 통한 국제 경쟁력 향상
    라) 미번역 고전의 국가적 번역 사업 기간 단축
    - 미번역 고전의 번역과제 수행에 견인차 역할
    마) 열린 사전(WIKI 백과류)을 통한 學際間 硏究의 기본 자료 활용
    - DB를 구축함으로써, 다양한 주제의 동시 접근과 차별적인 분석이 가능

    ❷ 미시적 효과
    가) ‘열린 번역’의 오류 최소화
    - 번역의 질적 향상과 번역 속도 촉진
    나) 기존 대자전의 미비점을 보완
    - 中日 언어의 한계성 극복
    - 獺祭魚式의 번역 환경 탈피
    - 전거 및 용례에 대해 올바른 정보 제공
    - 학문적인 신뢰성으로 연구자들의 오해와 혼란을 감소
    다) 풍부한 표제어와 다양한 용례를 한꺼번에 제시하고 검색이 가능하게 함
    - 시간과 정열을 감소시켜 번역의 질적 양적 효과 기대
    라)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웹서비스에 따른 이용자 편의성 제공
    - 번역 후속 세대의 자료 활용에 유익한 정보 제공
    - 해외 연구자는 물론 사회 각 분야(전공자, 학생, 일반인 등)에서 이용하여
    연구활동이나 한자 한문 학습, 일상 언어 생활에 요긴하게 활용하도록 함

    (2) 인력 양성 방안

    ❍ 학문후속세대 양성
    - 자료에 대한 해독 능력 배양 및 고전번역 연구인력 양성함
    - 원전강독, 자료번역 등을 수행하는데 특정 어휘에 대한 전거와 용례들을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학문후속세대로 하여금 한문에 대한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한문자 료에 대한 접근도를 높임


    (3) 연구와 교육으로의 활용

    ❍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교육의 기초자료가 됨
    -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원전해독, 고문서 이해, 탈초 등을 할 수 있는 전문가양성 을 위해 노력함

    ❍ 연구 활용 연계 계획
    - 구축된 DB를 Web에 탑재하여 제공함으로써, 연구에 활용될 수 있도록 유도
    - 유사 인접 학문 연구자들의 연구를 촉진하여, 학제간 연구를 유발시킴
  • 색인어
  • 동양고전, 한자, 한자어, 번역, 용어, 용례, 자호, 간찰, 이두, 웹기반, 데이터베이스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