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36887&local_id=10050226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과 테르티우스 융겐스 성향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과 테르티우스 융겐스 성향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2012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곽기영(국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2S1A5A2A01019734
선정년도 2012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3년 06월 2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3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정보 및 지식의 주요 원천으로서의 인터넷의 폭발적 성장은 인간의 기억 활용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 환경 특히,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트랜잭티브 메모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트랜잭티브 메모리는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공유된 기억체계를 의미한다.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사람들은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증대됨에 따라 트랜잭티브 메모리는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그 유용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랜잭티브 메모리를 형성하고 활용하는 개인의 역량을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이라고 정의한다. 본 연구는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실재감, 자기감시성, 핵심자기평가를 제시하였고,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이 테르티우스 융겐스 성향과 개인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직장인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을 통해 연구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모델에 포함된 네 가지 선행요인은 개인의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은 테르티우스 융겐스 성향과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토의와 함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영문
  • The explosive growth of the internet as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has greatly impacted the manner in which people make use of their memory. As a result, interest in the internet environment, and in particular in the role of transactive memory in a social media environment, has been heightened. Transactive memory means the shared memory system which is formed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people. Through social media, people have been able to form various human networks, which in turn have made it possible to acquire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is sense, the utility of transactive memory has been further increased in a social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introduced social interaction, social presence, self-monitoring, and core self-evaluation as the factors impacting the formation of transactive memory capacity. The impact of transactive memory capability on the tertius iungens orientation and individual job performance were also verified. Data from 225 workers was collect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introduc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was empirically verifi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revealed that the four antecedent s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significantly impacted individuals’ transactive memory capability, and that the transactive memory cap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the tertius iungens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Last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introduc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정보 및 지식의 주요 원천으로서의 인터넷의 폭발적 성장은 인간의 기억 활용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 환경 특히,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트랜잭티브 메모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트랜잭티브 메모리는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공유된 기억체계를 의미한다.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사람들은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증대됨에 따라 트랜잭티브 메모리는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그 유용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랜잭티브 메모리를 형성하고 활용하는 개인의 역량을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이라고 정의한다. 본 연구는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실재감, 자기감시성, 핵심자기평가를 제시하였고,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이 테르티우스 융겐스 성향과 개인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직장인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을 통해 연구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모델에 포함된 네 가지 선행요인은 개인의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은 테르티우스 융겐스 성향과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토의와 함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학문적·실무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학문적 관점에서는 첫째, 강력한 사회적 파급력을 보이고 있는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이 업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모델을 제시한다. 기존의 소셜미디어에 관한 연구는 사용자의 특성, 지식공유, 마케팅에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지만, 소셜미디어를 통한 개인의 업무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소셜미디어라는 새로운 매체환경과 트랜잭티브 메모리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관계를 실증적으로 증명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추후 MIS분야 연구자들에게 기존 정보시스템 환경과 다른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변수들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둘째,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을 향상시키는 선행요인으로 사회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을 제시한다. 기존의 트랜잭티브 메모리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사회적 요인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으로 개인적 요인인 자기감시성과 핵심자기평가를 제시한다. 사회적 요인인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실재감뿐만 아니라 개인적 요인인 자기감시성과 핵심자기평가가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가설은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생각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실무적 관점에서 예상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 활동을 통한 개인의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요인들을 제시하여 이를 통해 개인의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제안한다. 기업의 실무자들은 본 연구결과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개인적 요인을 활용하여 개인의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과 더불어 조직 전체의 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기업과 개인의 소셜미디어 활용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이전에는 소셜미디어를 마케팅에 활용하거나 개인들의 친목도모를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라는 매체를 활용하여 개인의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을 높일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개개인에게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거나, 개인적 요인들을 충족시켜 주어 기업은 소셜미디어 활용을 통해 직원들의 업무성과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 소셜 미디어, 테르티우스 융겐스 성향,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실재감, 자기감시성, 핵심자기평가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