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37374&local_id=10051126
관광분야 종사원의 직무만족 관련변인의 메타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관광분야 종사원의 직무만족 관련변인의 메타분석 | 2012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희석(남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2S1A5A2A01020506
선정년도 2012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3년 10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3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관광종사원의 직무만족 요인별 효과크기는 근무환경, 조직 전체, 직무내용 등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전반적 직무만족 요인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광종사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 효과크기는 개인적 특성, 지원적 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 그리고 조직적 특성 등은 직무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상호작용 특성 요인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영문
  • A Meta-Analysis of Hospitality Employee's Job Satisfactions
    Park, Hee-Seok
    This study, with meta-analytic method, aims to reveal the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hospitality employee's job satisfactions and to show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on the satisfactions. In this study, 54 research
    results(dissertation thesis 37) were sampled and 300 effect sizes were included for
    meta-analysis.
    This is a summary of the results. First, the mean effect size of job satisfaction
    is 0.2768. In the subordinate variables consisting of hospitality employee's job satisfaction, the effect size of hospitality employee's offices, orgarnization and job specifications are relatively big. But the effect size of overal job satisfaction is relatively small.
    Second, the personal characteristic impacts on job satisfaction of effect size is relatively big. But the interaction effect size of job satisfaction is relatively smal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최종분석 논문은 1945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총 54편으로 선정 최종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함에 있어서 515편은 표본이 너무나 과다하여 1차 분석대상 논문 중에서 각 대상별 1/10의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여 최종 분석대상 논문 54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대부분의 연구대상 논문의 관광관련 업체는 호텔/리조트, 외식/식음료/레스토랑, 여행사, 항공사 객실승무원, 조리사 등 다양한 업체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으나, 관광행정 분야와 컨벤션, 골프캐디, 이벤트종사원 등을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도 1-2편 있었다. 그리고 연구대상의 업체 중 제과/제빵 종사원, 호텔 프론트, 관광통역안내사/해설사, 면세점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논문은 관련 논문의 10편 이내이므로 최종 분석대상 논문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분야 종사원의 직무만족 관련변인 평균 효과크기의 분석결과, 관광분야 종사원의 직무만족의 평균 효과크기는 0.21768이며, Cohen(1982)이 제시한 효과크기의 해석 기준으로 보면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라고 분석할 수 있다.
    1) 관광관련 종사원의 직무만족 하위요인별 효과크기
    첫째, 관광관련 종사원의 직무만족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조직 전체 요인의 효과크기에서 동질성을 검정한 결과, 동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랜덤효과 모형에 의해 조직 전체 요인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5개의 평균 효과크기는 0.2934로서 조직 전체 요인 중 임금(0.3491)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근무환경 요인의 효과크기에서 랜덤효과 모형에 의해 근무환경 요인 요인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7개의 평균 효과크기는 0.3254로서 근무환경 요인 중 근무조건(0.4147)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내용 요인의 효과크기에서 랜덤효과 모형에 의해 직무내용 요인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6개의 평균 효과크기는 0.2523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내용 요인 중 직무범위(0.4475)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넷째, 전반적 직무만족 요인의 효과크기에서 랜덤효과 모형에 의해 전반적 직무만족 요인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2개의 평균 효과크기는 0.1953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반적 직무만족 요인 중 내재적 직무만족(0.3562)이 외재적 직무만족(0.0344)보다 높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해 관광관련 종사원의 직무만족 요인은 단일 요인보다는 근무환경, 조직 전체, 직무내용 그리고 전반적 직무만족 등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관광관련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별 효과크기
    첫째, 관광관련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하위요인 10개의 평균 효과크기는 0.2367로서 인구통계학적 특성 요인 중 월 평균소득(0.4314)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 요인의 효과크기에서 랜덤효과 모형에 의해 각 요인별 개인적 특성 요인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24개의 평균 효과크기는 0.3420로 나타났다. 즉, 개인적 특성 요인 중 고용형태(0.3154)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조직적 특성 요인의 효과크기에서 랜덤효과 모형에 의해 각 요인별 조직적 특성 요인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18개의 평균 효과크기는 0.30463로 나타났으며, 조직적 특성 요인 중 조직 분위기(0.4744)와 조직몰입(0.4785)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넷째, 상호작용 특성 요인의 효과크기에서 랜덤효과 모형에 의해 각 요인별 상호작용 특성 요인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12개의 평균 효과크기는 0.1906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특성 요인 중 관계(0.0411)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갈등(0.0404), 멘토-멘티 특성(0.0318) 등의 순이었다. 마지막으로 지원 요인의 효과크기에서 랜덤효과 모형에 의해 각 요인별 지원 요인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7개의 평균 효과크기는 0.2715로 나타났다. 지원 요인 중 최고 경영층 지원(0.3417)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은 단일 요인보다는 개인적 특성, 지원 요인, 인구통계학적 특성 그리고 조직적 특성과 상호작용 특성 등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성과는 메타분석을 통해 직무만족 관련 변인을 통합적인 효과크기를 검증하여 향후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또한 관광분야 종사원들의 직무만족 관련변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즉, 내부 마케팅 활성화 및 바람직한 직장생활을 모색할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우선 관광관련 종사원의 직무만족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는 단일 요인보다는 근무환경, 조직 전체, 직무내용 그리고 전반적 직무만족 등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관광관련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별 효과크기 역시 단일 요인보다는 개인적 특성, 지원 요인, 인구통계학적 특성 그리고 조직적 특성과 상호작용 특성 등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연구결과 활용계획
    본 연구는 관광분야 종사원을 대상으로 직무만족 관련변인을 파악하고자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각 요인들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1) 이론적 차원의 기대효과 및 활용
    ① 관광분야의 선행연구에서 거의 시도되지 않은 연구방법인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관광분야 종사원의 직무만족 요인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검증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관광분야 종사원의 직무만족 관련변인을 검증하는 것은 물론이고, 단편적으로 이루어졌던 개별연구를 통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타당한 연구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연구결과에 따라 관광관련 업체는 종사원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변수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메타분석을 활용한 많은 후속연구들이 진행되는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예상된다.
    ② 본 연구의 결과는 무엇보다도 관광학 분야에 이론적 공헌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본 연구는 개별적으로 연구되어 오고 있는 직무만족 관련변인을 국내 선행연구의 한계를 넘어서 관광분야 종사원들에게 적합한 직무만족 관련변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데 일조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직무만족 관련 후속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측정항목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2) 연구방법론적 기대효과 및 활용
    ①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주로 단일시점에서의 개별연구를 통한 상관관계 분석 또는 구조방정식모델을 통한 인과관계의 추론에 머무른 점에 비해,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직무만족 관련 변인을 통합적인 효과크기를 통한 좀 더 엄격하게 검증한다는 측면에서 공헌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분야의 종사원 연구에 있어서 양적연구를 통합하는 후속연구를 촉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② 본 연구에서 통합적 연구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조경호, 1998; 구병두, 2000; 나장함, 2008; 김보영·이정숙, 2009)함으로써 메타분석 연구가 지닌 장점과 통합된 연구결과들이 관광학계에 소개됨으로써 메타분석을 활용한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3) 실무적 차원의 기대효과 및 활용
    ① 본 연구는 관광분야 종사원들의 직무만족 관련변인을 추적하여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한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관광분야 업체들에서는 종사원들의 직무만족 관련변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고객에게 우수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근간인 내부 마케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② 이러한 메타분석을 통해 종사원들의 직무만족이 어떻게 변화되고 수정되어 가는지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광분야 종사원의 직무만족 관련변인을 고려함으로써 바람직한 직장생활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③ 관광분야 종사원의 직무관련 변인을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직장생활에는 잘 적응하고 있지만 직무만족과 직무성과가 저조하거나 직장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종사원들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분석․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관광분야에 종사하고자 하는 신입사원은 물론 기존 종사원들의 이직의사 결정을 예방․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④ 관광분야 종사원이 근무하고 있는 업체의 종류 및 지역별, 규모별, 성별 등으로 구분하여 직무만족을 분석함으로써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원인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관광분야 종사원들에게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효율적인 직장생활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관광분야 종사원, 직무만족, 메타분석, 내용분석, 연구방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