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37892&local_id=10051304
한국적 다문화미디어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적 다문화미디어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 | 2012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은규(우석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2S1A5A8024759
선정년도 2012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3년 10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3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국내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체계화와 적합 프로그램 모델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첫째는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종합적 실태를 조사함과 아울러 각 사례에서 적용되고 있는 프로그램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부가 운영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207곳), 시민미디어센터(28곳), 이주민방송(2개)의 다문화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실행여부와 그 내역을 조사했다. 둘째는 한국적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교육 프로그램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선주민, 다문화교육 전문가, 미디어교육 전문가, 다문화교육 실무자, 미디어교육 실무자, 선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미디어교육 인식조사를 수행했다.
    조사에 따르면, 국내 다문화 미디어교육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시민미디어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각 기관의 여건과 설립 목적에 따라 다소 상이하다. 요컨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대다수는 한국정보화진흥원과 KT-IT서포터즈의 지원 아래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화교육을 주로 시행하고 있다. 또한 시민미디어센터는 소외계층교육, 공동체교육이라는 사업 속에서 다문화 구성원을 대상으로 미디어능력 함양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실태조사와 더불어 다문화 미디어교육 관련된 다양한 주체들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결과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현재 다문화 미디어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사회적 기반을 토대로 상호협력적 네트워크형 다문화 미디어교육 실행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사회적 실행 체계로서 ‘다문화 채널’ 방송을 제안하고 있다.
    둘째,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내용은 정보화교육, 미디어능력 함양 교육, 다문화교육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첫째, 정보화교육은 다문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컴퓨터와 같은 정보통신 처리능력을 향상하는 것이다. 둘째, 미디어능력 함양 교육은 다문화 구성원들의 미디어 제작 및 활용 능력을 함양토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다문화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시각으로 자신을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사회적 구성원으로서의 자존감을 높이는 한편, 한국 사회의 이해 및 사회적 소통과 네트워킹에 참여토록 하는 것이다. 셋째, 다문화교육은 미디어를 매개로 하여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이해를 증진토록 하는 것이며, 여기에는 다문화 구성원 및 다문화사회 구성원으로서 모든 국민들이 대상이 된다.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실행 프로그램에서 고려해야 할 점도 있다. 우선 프로그램의 내용이 영상 제작과 같은 활용 위주의 내용에 치우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미디어 제작 기술을 익히는 것은 미디어교육의 한 부분이지 궁극적 목적은 아니다. 다문화 미디어교육은 미디어를 매개로 소통과 표현 능력을 향상하고, 콘텐츠의 비판적 이해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여기에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이해 역시 부합되어야 한다. 더불어, 다문화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진행시에는 그들이 처한 생활적 지리적 여건을 감안하는 제도적 지원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영문
  •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system and it's program model in Korea. For this, this study have two research subjects. First, look over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 in nation-wide and the character of programs. For this, research team investgate the ca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about Multicultural Support Center which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Civic Media Center, and Migrant Broadcasting. Second, suggest suitabl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 in Korea. Relation to this, research team carry out survey to migrant women,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ts, media education experts, the staffs of Multicultural Support Center and Civic Media Center, and the general citizens.
    According to our investigation,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 have done and now practice by Multicultural Support Center and Civic Media Center. However, the programs are different due to coordinating organization. For example, Multicultural Support Center practice IT program supported by the Nationa1 Information Society Agency and KT-IT supporter teams. On the other hand, Civic Media Center practice media competence program which to cultivate migrant's media literacy titled on community education or the alienated education.
    As a result, this research suggest two research findings. First, for th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system in nation wide, build the collaboration network system based on Multicultural Support Center, Civic Media Center, and other cooperate organizations. and need the control tower which organize th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 Plus, multicultural broadcasting channel also shall be important institu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s are make up of three category; IT education, Media competence education, and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IT education is for the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relation to Internet, computer, smart phone to the migrants. Media competence education is to cultivate media literacy and the ability of practical use for the social communication and self expression to the the migrant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is to increase mutual understanding multicultural cociety and it will be apply all the citizen in nation wid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국내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체계화와 적합 프로그램 모델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첫째는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종합적 실태를 조사함과 아울러 각 사례에서 적용되고 있는 프로그램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둘째는 한국적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교육 프로그램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첫 번째 연구과제 해결을 위해 여성가족부가 운영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207곳), 시민미디어센터(28곳), 이주민방송(2개)의 다문화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실행여부와 그 내역을 조사했다. 또한 두 번째 연구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주민, 다문화교육 전문가, 미디어교육 전문가, 다문화교육 실무자, 미디어교육 실무자, 선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미디어교육 인식조사를 수행했다.
    조사에 따르면, 국내 다문화 미디어교육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시민미디어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각 기관의 여건과 설립 목적에 따라 다소 상이하다. 요컨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대다수는 한국정보화진흥원과 KT-IT서포터즈의 지원 아래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화교육을 주로 시행하고 있다. 또한 시민미디어센터는 소외계층교육, 공동체교육이라는 사업 속에서 다문화 구성원을 대상으로 미디어능력 함양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실태조사와 더불어 다문화 미디어교육 관련된 다양한 주체들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결과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현재 다문화 미디어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사회적 기반을 토대로 상호협력적 네트워크형 다문화 미디어교육 실행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사회적 실행 체계로서 ‘다문화 채널’ 방송을 제안하고 있다.
    둘째,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내용은 정보화교육, 미디어능력 함양 교육, 다문화교육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첫째, 정보화교육은 다문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컴퓨터와 같은 정보통신 처리능력을 향상하는 것이다. 둘째, 미디어능력 함양 교육은 다문화 구성원들의 미디어 제작 및 활용 능력을 함양토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다문화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시각으로 자신을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사회적 구성원으로서의 자존감을 높이는 한편, 한국 사회의 이해 및 사회적 소통과 네트워킹에 참여토록 하는 것이다. 셋째, 다문화교육은 미디어를 매개로 하여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이해를 증진토록 하는 것이며, 여기에는 다문화 구성원 및 다문화사회 구성원으로서 모든 국민들이 대상이 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다문화 미디어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다문화 미디어교육은 한편으로는 미디어를 매개로 다문화교육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다문화 구성원들의 미디어능력 함양을 통해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존감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장점과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시민미디어센터 등의 기관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각 기관별로 실시되고 있는 다문화 미디어교육은 일회성 사업에 그치는 한편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이 체계화 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실태조사와 아울러 다문화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조사를 시행했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로 첫째, 다문화교육과 미디어교육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를 활용한 상호협력적 네트워크형 다문화 미디어교육 실행체계를 구축을 강조하고 있다. 요컨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다문화 구성원들의 직접적 접촉 기관과 시민미디어센터, 정보화교육 기관 등 교육 기관이 상호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가운데 다문화 미디어교육이 실행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사회적 시스템이기에 이의 유기적 연결과 활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더불어, 사회적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일환으로서 ‘다문화채널’ 방송의 설립을 제안하고 있다. 둘째, 다문화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을 검토했다. 여기에서는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목표, 대상, 내용, 방법 등의 문제를 살펴보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고려해야 될 점들을 검토했다.
    이같은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활용 가능하다. 하나는 다문화 미디어교육을 위한 정책적 제안으로서 활용이다. 상호협력적 네트워크형 다문화 미디어교육 체계는 그동안 구축된 사회적 인프라를 보다 체계화하여 다문화 미디어교육을 시행해야 한다는 제안이며, 정책적으로 실현 가능한 것이다. 또한, 다문화채널 방송의 제안 역시 전 국민의 다문화 이해 증진과 다문화 구성원들의 필요 속에서 정책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또 다른 하나는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프로그램 구성에서 실질적으로 고려해야 될 사안들을 점검되었기에 실제 다문화 미디어교육 현장에서 접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실시한 연구조사 내용을 토대로 다문화 미디어교육에 대한 학술적 논문을 생산할 것이다.
  • 색인어
  • 다문화교육, 미디어교육, 다문화 미디어교육, 이주여성, 이주노동자, 다문화아동,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시민미디어센터, 이주민방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