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39427&local_id=10053085
대구광역시 중심시가지의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전략계획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대구광역시 중심시가지의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전략계획 | 2012 년 | 진원형(경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7037290
선정년도 2012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4년 02월 1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4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대구시의 중심시가지에 해당하는 중구는 2000년대 들어 주거환경정비사업 등을 통해 공동주택 중심의 주택 건설이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도 많은 지역에 노후, 불량주거지가 산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주요 핵심문제 중심으로 접근하는 전략계획의 측면에서 대구시 중심시가지의 주거환경정비 대안을 모색하여, 대구시의 주거 정책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심시가지의 공간적 범위는 행정구역상 대구광역시 중구를 대상으로 하며, 분석 자료는 시간적으로 2013년 12월말 기준을 원칙으로 한다.
    본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이 두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첫째, 대구시 중구의 주거지 환경을 탐색한다. 우선 대구시 중구의 인구, 주택, 거주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건축 특성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거주지 실태를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다음으로, 주거환경개선사업, 재개발사업 및 재건축사업(민간 재건축사업 포함) 등 지금까지 시행된 정비사업의 추진현황 및 학교시설 이전적지의 개발 등을 중심으로 중구의 주거지 개발 현황을 정리하고 그 특성과 문제점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중구의 주거지 정비를 위한 기본 이슈를 고찰하고자 하며, 이슈 선정을 위해 주거지 정비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탐색한다. 정보 분석을 위해서는 주거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지표를 검토하고자 하는바 크게 내부환경요인(주택특성, 지구특성, 거주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외부환경요인(주택보급률, 주택정책, 도심활성화 정책 등)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둘째, 대구시의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전략계획을 수립한다. 연구지역을 크게 점이지대와 주변주거지역으로 나누어 SWOT를 분석한다. 분석은 앞장의 주거환경 탐색 자료를 토대로 진행한다. 또한 SWOT 요인 중 SW는 내부요인, OT는 외부요인으로서, SW요인과 OT요인을 교차해서 생기는 SO전략(내부 강점을 기회에 활용하는 전략), ST전략(내부강점으로 위협을 극복하는 전략), WO전략(기회를 활용해 약점을 극복하는 전략) 및 WT전략(약점과 위협을 동시에 극복하는 전략) 등 4가지의 전략을 수립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핵심 이슈를 선정한다.
  • 영문
  •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have been constructed since 2000 but, there still remain the deteriorated houses in Jung-gu, central Daeg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lternative policies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of central Daegu in terms of strategic planning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 housing policy of Daegu.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is stud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Jung-gu is explored. Primarily, the residential condition of Jung-gu is investigated through the factors such as population, housing, resid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e of residential development in Jung-gu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underlying problems through the analysis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and school site redevelopment etc. Lastly, basic issues on the residential improvement of Jung-gu are considered and various informations about residential improvement are explored to select issues. In order to review the indicators associated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of internal environment(housing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districts, resid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external environment(housing supply ratio, housing policy, downtown revitalization policy etc.).
    2) A strategic planning for residential renewal in Daegu is established. Primarily, in order to conduct SWOT analysis, study areas are devided into two, transition zone and inner residential areas. And then, SWOT analysis proceeds on the basi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ata as previously explored. Four strategies such as SO strategy, ST strategy, WO strategy and WT strategy are established. Finally, key issues to perform the residential renewal of Daegu are selec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연구목적 및 배경 : 대구시의 중심시가지에 해당하는 중구는 2000년대들어 주거환경정비사업 등을 통해 공동주택 중심의 주택 건설이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도 많은 지역에 노후, 불량주거지가 산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2002년 제정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거 수립된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의하면 중구는 주거환경개선사업 1개 구역, 주택재개발사업 25개 구역, 주택재건축사업 7개 구역 및 도시환경정비사업 32개 구역 등 총 65개 구역, 1,804,000㎡가 정비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추진실적이 매우 미미한 실정이어서, 중심시가지의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새로운 실천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요 핵심문제 중심으로 접근하는 전략계획의 측면에서 대구시 중심시가지의 주거환경정비 대안을 모색하여, 대구시의 주거 정책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① 연구의 내용: 제2장은 이론적 고찰 부문으로 주거환경정비와 도시재생의 개념 및 전략계획에 관해 고찰한다. 제3장은 대구시 중구 주거지의 환경 탐색 부문으로 우선, 대구시 중구의 거주지 실태를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또한, 중구의 주거지 개발 현황을 정리하고 그 특성과 문제점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중구의 주거지 정비를 위한 기본 이슈를 고찰한다. 제4장에서는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전략계획을 수립한다. 본 장에서는 SWOT를 분석하는바, 연구지역을 크게 점이지대와 주변주거지역으로 나누어 분석하며, 최종적으로 대구시 중심시가지의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핵심 이슈를 선정한다. 제5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고, 대구시 주거정책에 대한 시사점 살펴본다. ② 연구의 시・공간적 범위 : 분석 자료는 시간적으로 2013년 12월말 기준을 원칙으로 하되, 여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정한다. 중심시가지의 공간적 범위는 행정구역상 대구광역시 중구를 대상으로 하며 연구대상 주거지를 점이지대와 주변주거지역으로 양분하여 분석한다. 2) 연구방법 및 자료 : 대구시 중구의 주거지 특성 및 주거지 개발 현황 자료를 수집하여 고찰한 후, SWOT 분석을 통해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핵심전략을 선정한다.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지역 연구를 병행한다.
    3. 연구결과 1) 이론적 고찰 : 첫째, 주거환경정비사업의 개념과 유형 및 사업방식을 정리한다. 또한, 도시재생의 배경과 내용, 각 국의 재생정책 추이 등 도시재생과 관련된 개념들을 고찰하여, 주거환경정비사업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을 검토한다. 둘째, 전략계획의 개념, 의의 및 계획수립 과정을 고찰한다. 셋째, 대구시 중심시가지의 주거지역 및 주거환경정비와 관련된 연구동향 및 대구시 중심시가지가 아닌 지역에서 연구논점이 본 연구와 관련된 연구동향을 살펴본다. 2) 대구시 중구의 주거지 환경 탐색 : 첫째, 대구시 중구의 인구, 주택, 거주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건축 특성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거주지 실태를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둘째, 주거환경개선사업, 재개발사업 및 재건축사업(민간 재건축사업 포함) 등 지금까지 시행된 정비사업의 추진현황 및 학교시설 이전적지의 개발 등을 중심으로 중구의 주거지 개발 현황을 정리하고 그 특성과 문제점을 검토한다. 셋째, 중구의 주거지 정비를 위한 기본 이슈를 고찰하고자 하며, 이슈 선정을 위해 주거지 정비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탐색한다. 정보 분석을 위해서는 주거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지표를 검토하고자 하는바 크게 내부환경요인(주택특성, 지구특성, 거주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외부환경요인(주택보급률, 주택정책, 도심활성화 정책 등)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3)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전략계획 수립 : 연구지역을 크게 점이지대와 주변주거지역으로 나누어 SWOT를 분석한다. 분석은 앞장의 주거환경 탐색 자료를 토대로 진행한다. 또한 SWOT 요인 중 SW는 내부요인, OT는 외부요인으로서, SW요인과 OT요인을 교차해서 생기는 SO전략(내부 강점을 기회에 활용하는 전략), ST전략(내부강점으로 위협을 극복하는 전략), WO전략(기회를 활용해 약점을 극복하는 전략) 및 WT전략(약점과 위협을 동시에 극복하는 전략) 등 4가지의 전략을 수립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핵심 이슈를 선정한다. 4) 정책적함의 :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하고, 대구시 주거정책에 대한 시사점 살펴본다. 또한, 역사, 문화, 산업 등의 부문과 연계된 도심재생의 관점에서도 주거환경정비 방안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1) 대구시 중구의 주거지 환경 탐색
    전략계획은 일반적으로 조직화ㆍ환경탐색, 외부ㆍ내부요인 분석(SWOT 분석) 및 전략 수립 단계로 진행된다. 여기서는 전략계획의 첫 단계로 대구시 중구 주거지의 환경을 탐색하였다.
    첫째, 대구시 중구의 인구, 주택, 거주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건축 특성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거주지 실태를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둘째, 주거환경개선사업, 재개발사업 및 재건축사업(민간 재건축사업 포함) 등 지금까지 시행된 정비사업의 추진현황 및 학교시설 이전적지의 개발 등을 중심으로 중구의 주거지 개발 현황을 정리하고 그 특성과 문제점을 검토한다.
    셋째, 중구의 주거지 정비를 위한 기본 이슈를 고찰하고자 하며, 이슈 선정을 위해 주거지 정비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탐색한다. 정보 분석을 위해서는 주거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지표를 검토하고자 하는바 크게 내부환경요인(주택특성, 지구특성, 거주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외부환경요인(주택보급률, 주택정책, 도심활성화 정책 등)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2)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전략계획 수립
    연구지역을 크게 점이지대와 주변주거지역으로 나누어 SWOT를 분석한다. 분석은 앞장의 주거환경 탐색 자료를 토대로 진행한다.
    또한 SWOT 요인 중 SW는 내부요인, OT는 외부요인으로서, SW요인과 OT요인을 교차해서 생기는 SO전략(내부 강점을 기회에 활용하는 전략), ST전략(내부강점으로 위협을 극복하는 전략), WO전략(기회를 활용해 약점을 극복하는 전략) 및 WT전략(약점과 위협을 동시에 극복하는 전략) 등 4가지의 전략을 수립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핵심 이슈를 선정한다.
    2. 활용방안
    1) 대구시 중심시가지의 효과적인 주거환경정비 방안 수립
    전략계획은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결정적인 이슈를 중심으로 방안을 추구하는 행동지향적 개발 전략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후 불량한 주거지역이 방치되어 있는 대구시 중심시가지의 주거정책에 실효성 있는 이론적 토대와 정책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열악한 주거환경을 계획적으로 정비하여 주거생활의 질을 높이게 되며, 그 결과 대구시의 도시이미지 및 정체성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다.
    2) 도시 확산에 대응한 지속가능한 개발(ESSD) 추구
    시가지의 확산에 따라 도시 주변의 자연환경이 파괴되고, 교통에너지 소모 및 대기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어, 국토도시계획의 기본 이념인 지속가능한 개발의 원칙에 위배된다. 지속가능한 개발의 관점에서는 중심시가지의 주거지 개발을 보다 중요시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지속가능한 개발 정책을 실시하는 데 있어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3) 도심재생을 위한 담론 활성화
    양호한 도심주거의 제공은 다른 기능의 도심유입을 촉진시키는바, 도심 재생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도심재생을 위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타 학문 분야의 도심 연구에 있어서도 이론적 토대로 활용되어 학문간 담론을 활성화 할 수 있다.
    4) 지역지리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
    세계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각 지방 고유의 장소만들기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어, 자기 고장에 대한 관심과 지리적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다. 대구의 지역지리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거주지인 대구의 지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지리적 인식과 안목을 넓힐 수 있기 때문에 각 대학교에 대구지역지리 관련 교과목이 다수 개설되어 있으며, 그에 대한 교재개발과 학습자료 축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대구시 중심부의 주거지에 관한 이 연구는 대구지역지리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5) 지역화 학습의 교육목표 달성
    지역화 학습은 중앙집중식 교육과정 체제 하에서 소홀히 되기 쉬운 지역의 특수성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자기 거주 지역에 대한 학습은 지역사회의 사실이나 문제 등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자기 고장에 대한 애정을 갖게 한다. 현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는 지방자치단체별로 지역교과서를 편찬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전국의 교육대학교에는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본 연구는 대구의 지리 영역 지역화 학습자료의 개발과 교육목표 달성에 일정 부분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대구광역시, 중심시가지, 주거환경정비, 전략계획, 주거환경개선사업, 주택재개발사업, 주택재건축사업, 이전적지, 장점, 단점, 기회, 위협, 점이지대, 주거실태, 도시재생, 주거입지, 도시확산, 지속가능한 개발, 주거지 재생, 도심쇠퇴, 도시부흥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