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40352&local_id=10072709
초등학교 여가교육 현황분석을 통한 여가교육 방향제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초등학교 여가교육 현황분석을 통한 여가교육 방향제시 | 2013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매이(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3S1A5A8022548
선정년도 2013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4년 10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4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여가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우리나라에서도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을 통해 여가를 체육
    교육의 5대 가치 중 하나로 도입하였고(교과부, 2007), 이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도 계속되고 있다.
    - 그러나 여전히 초등학교 여가교육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관련 연구는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실태조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국내 공교육의 여가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현재 이루어지고 여가교육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여가교육의 문제점 및 보완점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여가교육 내용인 초등학교 체육검정교과서 여가 영역의 내용분석을 실시하고, 여가교육을 수행하는 초등교사의 여가교육 이해도를 조사하여 현 초등학교 여가교육의 실태를 알아본 후 우리나라 여가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여 주는 데 그 목적을 둔다.
    - 여가개념, 여가교육이론, 해외 사례 등을 살펴본 결과, 한국의 여가교육은 학생들이 좀 더 전체적 여가의 개념을 이해하고, 여가의 기술 뿐 아니라, 여가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체육교과서 여가교육영역 부분의 내용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여가교육영역은 다른 4가지 내용영역부분보다 양적으로는 그리 적지 않았으며, 여가활동의 개념을 이해시키고, 여가활동을 체험하는 형식의 단원이 대부분이었다. 창의인성교육의 내용도 어느 정도 잘 반영되어 있었다. 또한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인지적 영역에 관한 학습목표가 증가한 특징을 보였으나 여전히 심동적 영역에 치중되어 정의적 영역 목표의 부족 등의 문제점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교사들의 여가교육의 인식에 관한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교사들 역시 여가나 여가교육에 대한 개념이해가 높지 않았다. 또한 설문 응답자들은 여가교육을 제대로 실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런 이유로는 여가자원 부족, 여가교육 프로그램 부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 모든 문제는 교사들조차 여가교육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 전반적으로 초등학교의 발전적인 공교육을 위해서는 활동중심의 여가보다는 폭 넓은 여가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교과서 집필에 있어서도 다양한 여가전문가들이 포함되어야 하며, 여가관련 내용의 교사교육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영문
  • - As the importance of leisure is stressed, leisure education became one of five values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unlike other four values, research of leisure education as school education has not been conducted much in Korea.
    - Thus,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1) to investigate the need of leisure education and provide the direction of leisure education through leisure education theories, definitions, history, and cases in U.S. etc., (2) to conduct content analysis on leisure activity sections in the authorized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of 2009 curriculum revision and provide the direction for future leisure education, (3) to survey and explore the various leisure education perception and issu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4) to propose the direction of leisure education.
    - Until now, leisure education has been considered just as the perspective of 'leisure as the subject of education' because of the situations including sedentary lifestyle, lack of leisure experiences, societal changes, and education culture in Korea. However, through leisure education, educators should teach the values and advantage of leisure and should help students understand leisure as the overall concept. Also, educators should develop leisure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in order to obtain leisure skills and utilize leisure resources.
    - The content analysis results of 12 different authorized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show that the portion of the leisure section is smaller than other four life-skill sections in the textbooks. Although the titles and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are not identical, understanding of the leisure contents or perception are written before experiencing of leisure activities. Both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actors are reflected in the context relatively well. Compared to the previous curriculum,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related to cognitive domain are increased; however, the major portion of the contents i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domain and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n affective domain are still lack.
    -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teachers were also unclear about the meaning of leisure and leisure education and experienced various problems to teach leisure at school mainly due to the lack of leisure resources, programs, and knowledge.
    - For better leisure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s, (1) teachers should provide the education on leisure perception and leisure resources as well as leisure skill education; (2) leisure specialists and experts should participate in writing the leisure education section of the textbook with teachers and professors; and (3) the continuous education for teachers should be followed to let them provide leisure education bett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여가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우리나라에서도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을 통해 여가를 체육
    교육의 5대 가치 중 하나로 도입하였고(교과부, 2007), 이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도 계속되고 있다.
    - 그러나 여전히 초등학교 여가교육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관련 연구는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실태조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국내 공교육의 여가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현재 이루어지고 여가교육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여가교육의 문제점 및 보완점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여가교육 내용인 초등학교 체육검정교과서 여가 영역의 내용분석을 실시하고, 여가교육을 수행하는 초등교사의 여가교육 이해도를 조사하여 현 초등학교 여가교육의 실태를 알아본 후 우리나라 여가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여 주는 데 그 목적을 둔다.
    - 여가개념, 여가교육이론, 해외 사례 등을 살펴본 결과, 한국의 여가교육은 학생들이 좀 더 전체적 여가의 개념을 이해하고, 여가의 기술 뿐 아니라, 여가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체육교과서 여가교육영역 부분의 내용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여가교육영역은 다른 4가지 내용영역부분보다 양적으로는 그리 적지 않았으며, 여가활동의 개념을 이해시키고, 여가활동을 체험하는 형식의 단원이 대부분이었다. 창의인성교육의 내용도 어느 정도 잘 반영되어 있었다. 또한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인지적 영역에 관한 학습목표가 증가한 특징을 보였으나 여전히 심동적 영역에 치중되어 정의적 영역 목표의 부족 등의 문제점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교사들의 여가교육의 인식에 관한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교사들 역시 여가나 여가교육에 대한 개념이해가 높지 않았다. 또한 설문 응답자들은 여가교육을 제대로 실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런 이유로는 여가자원 부족, 여가교육 프로그램 부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 모든 문제는 교사들조차 여가교육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 전반적으로 초등학교의 발전적인 공교육을 위해서는 활동중심의 여가보다는 폭 넓은 여가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교과서 집필에 있어서도 다양한 여가전문가들이 포함되어야 하며, 여가관련 내용의 교사교육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 제시 된 여가개념 및 여가교육의 틀과 초등체육 교육과정에서의 여가 내용 구성에 대한 연구는 추후 교육과정 여가의 개념 틀과 교과서 집필의 방향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다양한 공교육에서의 여가교육 관련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결과를 여가분야 관련 교사연수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여 초등교사들이 좀 더 여가와 여가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의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여가영역 교육관련 커리큘럼 구성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결과를 확대하여 중등교육, 대학교육 및 평생교육 관점의 여가교육연구의 기반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여가교육, 여가영역, 교과서 내용분석, 초등학교, 체육교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