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41134&local_id=10072250
도서관 공간 활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이용 패턴분석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도서관 공간 활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이용 패턴분석에 관한 연구 | 2013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성재(한성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3S1A5A8026225
선정년도 2013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4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4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대학도서관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있다. 인간의 행위는 시간성과 공간성을 동시에 갖는다는 점에서 도서관 이용자의 이용행태 분석에 있어서도 시간과 공간을 모두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가 이용자들의 이동을 추적하거나 관찰을 통해 도서관내 행동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본질적인 행위에 대한 분석이 아닌 바깥으로 드러나는 행위에 대한 분석이라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직접 자신들의 행동을 기록하는 다이어리 기법을 이용하여 행태분석을 실시했다. 최근 대학생들은 스마트폰을 대부분 소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이어리를 스마트폰 앱으로 개발하였다. 안드로이드와 애플 이용자 모두에게 적용가능하도록 두 버전으로 개발하고 참여자들에게 배포하였다.
    참여자의 모집은 한성대학교 학술정보관에서 매 5번째 들어오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참여 요청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총 108명이 참여를 했고 이들 중 84명이 다이어리를 작성했다. 참여자들은 다이어리 작성뿐만 아니라 도서관 불안에 대한 서베이를 하도록 요구되었다. 제출된 다이어리 중 내용이 충실한 것의 작성자와 인터뷰를 실시했다. 14명이 인터뷰에 참여를 했고 이용행태, 문제점,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였다.
    다이어리 분석결과, 이용자들은 저층의 경우 계단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이를 이용한 대학도서관 홍보강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각 층별 분석에서는 외부 복도 공간이 주로 이용되는 지역에서는 시설보수 및 개선이 요구된다. 이용자 서베이의 결과, 이용자는 도서관 사서와의 친밀감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인 공간이 친근함이나 편한함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이용자 인터뷰 결과는 도서관 운영과 관련된 많은 부분의 개선점이 도출되었다. 특히, 이용자 교육, 도서관 환경 및 시설의 정비 등의 개선이 요구된다는 의견이었다. 추가적으로 정보탐색 기법 중의 하나인 브라우징이 자주 활용된다는 점에서 이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마련이 요구된다.
    대학도서관 환경에서 앱이 개발되었지만 공공, 학교, 전문도서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도서관 내 이용자들의 이용행태에 대한 분석이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해본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pace usage in academic libraries through analyzing user’s in-house behavior. Since human behaviors are conducted in the temporal and spatial environments, the library users’ behavior is also needed to be analyzed in the perspective of time and space.
    User’s in-house activ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racking techniques or observation in the previous literature. These research, however, has the limitation that the essential purpose of activities could not be identified, even though the outward appearance can be captured. Therefore, this study employed the diary method that users are able to keep diaries of their activities and their purpose on each activity. The diary form was developed in an application for smart phones for keeping records with ease.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cruiting, two different platforms including Android and iOS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Systematic random sampling, one of the probability sampling techniques was used to recruit participants. After the first visitor was selected at the library entrance, every 5th visitor was selected. Total 108 students were participated. Among them, 84 students were submitted their diaries. Additionally, the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complete a survey on library anxiety. 14 students were selected for interview from the students submitting the diary. They were asked to the questions on information behavior in the library, barriers of accessibility, their needs, etc.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iaries show that library users who try to access the lower level tend to use the staircase. On this score, the staircase can be used for advertisement or for notice, since lots of participants visited the lower level. In addition, as users in 5th floor preferred studying in the hallway to inside desks, the manager needs to improve the studying area in the hallway through installing more electrical outlets and more seats.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the sense of closeness between users and librarians is weak. Users also recognize that the library is not cozy. Interviews with students provides a few of suggestions to improve the service and environments of the library. They asked the library to develop new user education programs and to replace electronic devices like the book cleaner and the self-checkout. Additionally, as some students used browsing techniques for seeking information, librarians and researchers are needed to study how to replace materials and stacks to strengthen the browsing benefits.
    Even though the application was developed for the circumstance of an academic library, it can be applied to the settings of public libraries, school libraries, and special librari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on users’ information behavior inside the library building is expand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대학도서관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있다. 이용행태와 관련하여 도서관 내에서의 이용자들의 행위를 공간적, 시간적 측면에서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의 도서관 이용에 있어서의 장애요인을 분석하였다. 덧붙여, 장애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이용자의 도서관 불안에 대한 서베이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다이어리 분석결과, 이용자들은 저층의 경우 계단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이를 이용한 대학도서관 홍보강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각 층별 분석에서는 외부 복도 공간이 주로 이용되는 지역에서는 시설보수 및 개선이 요구된다. 이용자 서베이의 결과, 이용자는 도서관 사서와의 친밀감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인 공간이 친근함이나 편한함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이용자 인터뷰 결과는 도서관 운영과 관련된 많은 부분의 개선점이 도출되었다. 특히, 이용자 교육, 도서관 환경 및 시설의 정비 등이 개선이 요구된다는 의견이었다. 추가적으로 정보탐색 기법 중의 하나인 브라우징이 자주 활용된다는 점에서 이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마련이 요구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다이어리 앱
    - 개발된 다이어리 앱은 도서관 이용자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가치가 있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기능개선을 통해 업그레이드함.
    - 성능이 개선된 다이어리 앱을 대학도서관뿐만 아니라 공공, 학교, 전문도서관에 적용함으로써 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이용행태를 반영한 운영방안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개발된 다이어리 앱의 안드로이드 버전과 애플 버전을 일반에 공개하여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함.
    - 이용자 행태분석뿐만 아니라 도서관 관련 개인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연구뿐만 아니라 개인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

    2 도서관 환경 개선
    - 도서관 다이어리, 서베이, 인터뷰로부터 도출된 도서관 이용의 장애요인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해당 도서관에 제시
    - 실무에서 반영해야할 개선점 이외에 연구자의 추가적인 연구영역의 발견
    - 브라우징과 우연한 정보발견을 높일 수 있는 서가 및 공간구성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
    - 학생들의 관심을 끌 수 있으면서 정보추구의 핵심적인 내용을 전달할 수 있는 이용자 교육프로그램의 마련
  • 색인어
  • 대학도서관, 다이어리, 스마트폰 앱, 도서관 불안, 길찾기, 인터뷰, 서베이, 내용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