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41435&local_id=10078754
사회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한 모바일 소셜미디어-소비자 관계 모형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사회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한 모바일 소셜미디어-소비자 관계 모형 연구 | 2013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서현석(중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1015372
선정년도 2013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5년 07월 0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1년차 연구는 모바일 소셜미디어와 소비자의 배태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소셜미디어의 특성의 차원을 밝히고, 이러한 특성이 소비자와의 관계가 긍정적인 관계 태도로 이어지는 과정에 대한 구조적인 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에 패션 모바일 소셜미디어 커뮤니티 활동 경험이 있는 300명 소비자를 표본으로 경로분석을 수행했다. 본 1년차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소셜미디어 커뮤니티 특성요인의 성취성, 유희성, 반응성, 개인화, 서비스 케이프는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정황적 상호작용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모바일 소셜미디어 커뮤니티 특성요인의 유희성, 반응성, 개인화, 서비스 케이프는 관계적 배태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성취성, 정황적 상호작용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 실재감은 관계적 배태성, 행위적 몰입, 인지적 믿음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적 배태성은 행위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인지적 믿음과의 관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행위적 몰입과 인지적 믿음은 관계참여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본 2년차 연구에서는 모바일 소셜미디어에서의 사회 심리학적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구성개념인 관계적 배태성(상호호혜성, 근접성) 및 사회관계성(소속감, 공유가치)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러한 영향관계를 통해 장기관계지향성를 형성하는 통합적인 구조적인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험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AMOS 20.0을 활용하여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소셜미디어 사회자본 형성동기와 관계적 배태성(상호호혜성, 근접성) 간의 경로관계 분석결과 정보공유, 유의성은 상호호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추구, 사회참여, 유희성은 근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적 배태성(상호호혜성, 근접성)과 사회관계성(소속감, 공유가치) 간의 경로관계 분석결과 상호호혜성과 근접성 모두 소속감과 공유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관계성(소속감, 공유가치)와 장기관계지향성 간의 경로관계 분석결과 소속감, 공유가치 모두 장관계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영문
  • This study attempts to show the social media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social media and consumers and to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se characteristics that lead to a positive consumer attitude and relationship. To this end, 300 consumers with experience in fashion mobile social media were used as the sample group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First study(2013) showed that, (1)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social media, which are achievability, playfulness, reactivity, personalization, and servicescape, impacted social presence, but not circumstantial reciprocation.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social media community, which are playfulness, reactivity, personalization, and servicescape, had an impact on relational embeddedness, but not achievability and circumstantial reciprocation. (3) social pres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lational embeddedness, behavioral immersion, and cognitive belief. Relational presence did not impact behavioral immersion, but significantly affected cognitive belief. (4) behavioral immersion and cognitive belief also affected the relationship participating attitude. also, The results of the Second study(2014) showed that, (1) the social capital of mobile social media, which are shared information and enjoyment impacted reciprocity. and elf pursuit, social participation, enjoyment impacted contiguity. (2) the reciprocity and contiguity impacted membership, shared value. (3) the membership and shared value impacted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1년차 연구는 모바일 소셜미디어와 소비자의 배태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소셜미디어의 특성의 차원을 밝히고, 이러한 특성이 소비자와의 관계가 긍정적인 관계 태도로 이어지는 과정에 대한 구조적인 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에 패션 모바일 소셜미디어 커뮤니티 활동 경험이 있는 300명 소비자를 표본으로 경로분석을 수행했다. 본 1년차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소셜미디어 커뮤니티 특성요인의 성취성, 유희성, 반응성, 개인화, 서비스 케이프는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정황적 상호작용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모바일 소셜미디어 커뮤니티 특성요인의 유희성, 반응성, 개인화, 서비스 케이프는 관계적 배태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성취성, 정황적 상호작용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 실재감은 관계적 배태성, 행위적 몰입, 인지적 믿음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적 배태성은 행위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인지적 믿음과의 관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행위적 몰입과 인지적 믿음은 관계참여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본 2년차 연구에서는 모바일 소셜미디어에서의 사회 심리학적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구성개념인 사회적자본, 관계적 배태성(상호호혜성, 근접성) 및 사회관계성(소속감, 공유가치)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러한 영향관계를 통해 장기관계지향성를 형성하는 통합적인 구조적인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험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AMOS 20.0을 활용하여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소셜미디어 사회자본 형성동기와 관계적 배태성(상호호혜성, 근접성) 간의 경로관계 분석결과 정보공유, 유의성은 상호호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추구, 사회참여, 유희성은 근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적 배태성(상호호혜성, 근접성)과 사회관계성(소속감, 공유가치) 간의 경로관계 분석결과 상호호혜성과 근접성 모두 소속감과 공유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관계성(소속감, 공유가치)와 장기관계지향성 간의 경로관계 분석결과 소속감, 공유가치 모두 장관계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가. 연구결과 기대효과 ■ 첫째,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소셜미디어와 소비자 간의 관계적 배태성 차원의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온라인 커뮤니티 연구와 관계 마케팅에서 연구되지 않았던 사회적, 정서적 영향력이 모바일 소셜미디어와 소비자와의 관계형성과정에서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러한 사회 네트워크 관점에서 관계적 배태성을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연구문제와 연결시킴으로써 모바일 소셜미디어 분야의의 학문적 연구대상과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 둘째, 본 연구의 모바일 소셜미디어 커뮤니티의 특성의 4개 차원의 평가를 각 차원별 하위차원들에 대한 요인까지 세부적으로 제시하고 실증함으로써, 모바일 소셜미디어 커뮤니티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준을 규명하고, 관계마케팅 연구에 있어 과정적인 접근 방법과 중요 선행 변수로서의 모바일 소셜미디어 커뮤니티의 특성 역할에 관련된 연구의 틀을 제시했다. ■ 셋째,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소셜미디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이 사회적 자본을 형성한다는 이론을 활용하여 그 형성 요인을 구체화 시켜 적용하고, 이러한 연결과 교류의 동기요인들이 관계형성의 유지과정으로 모바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기회와 접촉의 가능성을 확대시켜 관계형성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 넷째,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소셜미디어와 소비자의 관계참여 태도와 장기관계지향성 행위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구성개념인 사회적 실재감, 관계적 배태성과 다양한 관계성과 변수(행위적 몰입, 인지적 믿음) 및 사회관계성 변수(소속감, 공유가치)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 실증 분석함으로써, 소셜미디어의 커뮤니티 행동 및 사회 심리학적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는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이러한 영향관계를 통해 관계참여 태도 및 장기관계지향성를 형성하는 통합적인 구조적인 모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도 학문적 의의를 가질 것이다. 나. 활용방안 ■ 첫째, 실무적 차원의 의의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가 패션관련 소셜미디어 커뮤니티 운영자와 마케터들에게 소셜미디어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려는 소비자의 동기요인과 그러한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요인을 제시했다. 즉,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소셜미디어 방문을 위해서는 커뮤니티를 통해서 상품관련 정보 검색이나 구매행위의 성과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 제공 방안이 논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소셜미디어가 소비자의 관계참여태도 형성에 적합하다는 검증을 통하여 향후 패션산업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둘째, 실제 패션관련 모바일 소셜미디어 커뮤니티를 활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커뮤니티의 특성요인에 대한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평가 요인의 타당성과 적합성을 고찰하고 활용 범위는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패션관련 소셜미디어의 특성은 패션제품 및 정보 쇼핑의 활용범위에 초점으로 맞추고 있어 본질적인 패션 소비자 관계성과에 대한 소셜미디어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셋째, 모바일 소셜미디어에 활용으로 과거의 온라인 서비스와 달리 새로운 관계 형성이나 정보 공유 등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사회적 자본 형성 요인으로 제시된 정보공유, 자아추구, 사회적 참여, 유희성의 세부적인 활용은 기업체의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기능적 변화와 결합되어 새로운 네트워크의 가치를 창출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넷째, 마케팅의 효율성을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기업은 브랜드 소셜미디어의 활용한 공유를 통해 소비자들의 관심이나 욕구, 문제점, 취향 등을 파악하고 관계를 형성하여 소비자와의 장기적인관계를 지향하고 있다. 나아가 패션 소비자들은 기업이 일방적으로 내보내는 광고보다는 다른 소비자의 말에 더 신뢰도를 느끼고 있고, 어떤 경우에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입김이 더 세질 수 있기 때문에 소셜미디어는 절대 놓쳐서는 안 될 비즈니스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련 기업에게 패션관련 소셜네트워크 시장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직․간접적인 역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색인어
  • 소셜미디어, 사회 네트워크 이론, 관계 배태성, 커뮤니티 특성, 사회적 실재감, 행위적 몰입, 인지적 믿음, 참여태도, 사회적 자본(정보공유, 자아추구, 사회참여, 유희성), 호혜성, 근접성, 사회적 관계성(소속감, 공유가치), 장기관계지향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