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42255&local_id=10075081
한미FTA 이후 한미투자협력: 양국기업 직접투자의 새로운 형태와 정책시사점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미FTA 이후 한미투자협력: 양국기업 직접투자의 새로운 형태와 정책시사점 | 2013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성봉(서울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3S1A2A1A01034104
선정년도 2013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5년 02월 1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미자유무역협정이 2012년 3월 15일에 발효되면서 FTA가 양국에 모두 큰 경제적 혜택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무역분야의 경우 관세인하 등으로 어느 정도 그 효과가 예측된 반면, 양국간 투자증대가 어느 정도 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그 추정이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한미FTA이후 양국간 투자의 변화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향후 한미FTA를 활용한 양국간 투자협력의 증대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한미FTA이후 미국의 대 한국 직접투자는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한국의 대 미국으로의 직접투자는 오히려 FTA체결 이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 미국의 한국에 대한 직접투자의 증가는 한미FTA에 의해 한국의 투자 개방 및 보호에 따른 FDI 증가효과가 FTA에 따라 수출이 FDI를 대체하는 효과보다 크게 나타났기 때문이며, 역으로 한국의 미국에 대한 직접투자의 감소는 한미FTA에 의해 미국의 투자 개방 및 보호에 따른 FDI 증가효과가 FTA에 따라 수출이 FDI를 대체하는 효과보다 작게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전반적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근 한국 해외직접투자의 특성과 성과분석도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서비스분야 및 신흥국으로의 투자증가가 두드러져 이러한 양상이 한미FTA 이후 한국의 미국에 대한 투자감소의 한 원인으로도 지적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영문
  • After the KORUS FTA(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had taken effect on March 15, 2012, both countries expect that it should bring mutual benefits to each other. While the benefits of FTA in the trade area, especially the effects of reduction of trade barriers, can be relatively clearly identified, it is quite difficult to estimate the investment creation effects of the FTA. The research reveals the FDI trends between Korea and the U.S. before and after the KORUS FTA. The FDIs from the U.S. to Korea after the KORUS FTA have increased, while the FDIs from Korea to the U.S. have decreased. The main reason behind the contrary FDI trends between Korea and the U.S. could be found in the following explanations. In case of FDI increase from the U.S. to Korea after the KORUS FTA the main reason was that the substitution effects between export and FDI after the FTA was not greater than the FDI increase effects due to the liberalization and protection of FDI by FTA service and investment chapters. However, FDI decrease from Korea to the U.S. could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substitution effects between export and FDI after the FTA was greater than the FDI increase effects due to the FDI liberalization and protection of FDI. After confirming the decreasing trends of the Korean FDI to the U.S. after the FTA, additional research efforts was done on the issues of the outward FDI of Korea in recent years. This research could show some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recent Korean outward FDI: the increase of FDI in service sectors and also in emerging countr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After the KORUS FTA(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had taken effect on March 15, 2012, both countries expect that it should bring mutual benefits to each other. While the benefits of FTA in the trade area, especially the effects of reduction of trade barriers, can be relatively clearly identified, it is quite difficult to estimate the investment creation effects of the FTA. The direct investment by firms from one contracting country into another contracting country, or the investment flows into the Free Trade Area from the other third countries might bring mutually positive benefits, such as creating jobs, increasing productions, and facilitating the transfer of technologies and so on. Therefore, it is very necessary to find out the ways that Korea and the U.S. can jointly cooperate to promote FDI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attract FDI into the KORUS Free Trade Area. This research analysed the changing patterns of direct investment by firms of the two countries after the KORUS FTA, and to find out changing patterns of FDI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U.S. and Korean governments to increase FDI flow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from the rest of the world.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This study has a great relevance with my past seventeen years of research and policy-making experiences in the field of FDI studies. I have already written some academic pap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FTA and FDI, such as "Issues and Assessment of the KORUS FTA Investment Chapter" and "Korea-US or Korea-EU Free Trade Agreement and Korea's Foreign Direct Investment Inducement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ublished in possible papers on FDI impacts of the KORUS FTA. And the additional research on Korean outward FDI could bear one paper on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of Korean outward FDIs.
  • 색인어
  • 해외직접투자, 한미자유무역협정, 한국, 미국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