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6796&local_id=10083029
아랍 문화코드에 나타나는 부족주의 vs. 이슬람주의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아랍 문화코드에 나타나는 부족주의 vs. 이슬람주의 | 201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서정민(한국외국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1016551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6년 10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중동의 복잡한 정치사회 발전과정에서 이슬람주의와 부족주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치 및 사회 변동에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을 분석하여 중장기적인 아랍의 정치동향을 판단하는 분석의 틀 마련하였다. 아랍권에서 2015년 라마단 기간 중 큰 인기를 끌며 방영되었던 드라마를 대상으로아랍의 대표적 이슬람주의 문화코드이자 이슬람 종교의 근본정신인 정의와 권선징악, 인샬라(Inshallah)의 정명론, 그리고 움마(Ummah)의 공동체주의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드라마 속에 나타난 아랍의 부족주의 문화코드인 명예와 자존심, 수다의 관계중심주의,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권위주의, 물리력 중심주의, 그리고 상업 중심주의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3개의 이슬람주의 문화코드와 5개의 부족주의적 문화코드가 인기 드라마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투사되었는지를 파악하였다. 1차년도 연구 결과는 한국이슬람학회 논총 제26-3호에 “아랍 문화코드 내 이슬람주의”라는 논문으로 2016년 10월 31일 게재될 예정이다. 그리고 2차년도 연구 결과도 한국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가 발행하는 중동연구 제35-2호에 “아랍 문화코드 내 부족주의”라는 논문으로 2016년 10월 30일 게재될 예정이다.
  • 영문
  • Islamism and tribalism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mplicated political and social development. This study established the framework of analysis that examines the cultural and religious influences from thes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which determine the long-term trend of Arab politics. The main data of this study was dramas which were aired in the Arab World during Ramadan 2015 period and dragged huge popularity. In examining the collected dramas, the research conducted a thorough analysis on three representative Islamic culture codes of justice and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fatalism of Inshaallah, and community spirit of Ummah as well as five representative tribal culture codes of honor and self-esteem, relationships through chattering, male-dominated patriarchal authoritarianism, central role of physical power, commercialism. The study focused on how these three Islamic and five tribal culture codes were projected and reflected in the collected drama. The result of the first year research will be published in a paper titled "islamism in Arab culture code" in the Journal of Association of Islamic Studies in October 2016. And the result of the second year research will be published in a paper titled "Tribalism in Arab culture code" in the Journal of Middle Eastern Studies in October 2016.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중동의 복잡한 정치사회 발전과정에서 이슬람주의와 부족주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치 및 사회 변동에서 문화 및 종교적 영향을 분석하여 중장기적인 아랍의 정치동향을 판단하는 분석의 틀 마련하였다. 아랍권에서 2015년 라마단 기간 중 큰 인기를 끌며 방영되었던 드라마를 대상으로아랍의 대표적 이슬람주의 문화코드이자 이슬람 종교의 근본정신인 정의와 권선징악, 인샬라(Inshallah)의 정명론, 그리고 움마(Ummah)의 공동체주의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드라마 속에 나타난 아랍의 부족주의 문화코드인 명예와 자존심, 수다의 관계중심주의,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권위주의, 물리력 중심주의, 그리고 상업 중심주의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3개의 이슬람주의 문화코드와 5개의 부족주의적 문화코드가 인기 드라마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투사되었는지를 파악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1차년도 연구 결과는 한국이슬람학회 논총 제26-3호에 “아랍 문화코드 내 이슬람주의”라는 논문으로 2016년 10월 31일 게재될 예정임.
    2. 2차년도 연구 결과도 한국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가 발행하는 중동연구 제35-2호에 “아랍 문화코드 내 부족주의”라는 논문으로 2016년 10월 30일 게재될 예정임.
    본 연구는 부족주의와 이슬람주의가 대중의 문화코드에 반영되는 정도를 파악하여 아랍의 정치 및 사회 변동에 있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새로운 접근법을 시도하여 아랍 정치 및 문화 연구의 새로운 틀을 정립함으로써 학문적으로 국내외의 비교정치 연구를 더욱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아랍의 가장 중요한 가치관인 부족주의와 이슬람주의의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함으로써 아랍에서의 정치, 행정엘리트 및 일반대중의 인식을 파악하여 문화적 갈등요인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국내외에서 새로운 갈등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다문화사회 정착 관련 정책 구상에 활용될 것이다. 부족주의와 이슬람주의라는 전통적 가치와 윤리 그리고 현재 중동의 정치변동에서 나타나는 두 문화적 코드의 이론과 실제 사이의 차이를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아랍과 이슬람을 보다 쉽고 명확하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 국내 무슬림과의 공존노력을 위한 대응방안을 도출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최근 국제사회의 일반적인 흐름과 동반해 국내에서도 이슬람에 대한 맹목적 반감이 확산되고 있고 무슬림의 국내 정착에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 준비에 이용될 것이다.
    본 연구는 또 기업 및 정부기관의 중동 진출에 있어서 파견 인력 양성과 대중이 편견을 가지지 않고 이슬람과 중동을 이해하고 접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아랍과 이슬람을 과거의 틀에서만 이해하지 않고 진화하는(evolving) 유기체로 이해함으로써 그 종교적, 이상적 그리고 이론적인 측면이 시대의 상황에 따라 등장하는 새로운 현실과 환경에 적응해 나아가는 하나의 과정 속에 있다고 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아랍 및 이슬람 사회와 정치 전통은 물론 현대의 실제적 운용방식을 상대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보다 균형 잡힌 대(對) 아랍 및 이슬람 접근법을 제시할 것이다. 이슬람주의와 부족주의를 종교와 전통으로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진화하는 인간의 영역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물은 현재 최대 국제적 갈등 요소 중 하나인 이슬람과 서방의 대립에 대해 보다 균형적인 시각이 이해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무슬림문제에 대해 정부와 사회가 대응할 수 있는 이해의 틀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연구 결과물을 정부의 관련부처 및 대중동 진출 기업에 전파하여 그 동안의 친서방 혹은 경제 중심적 대중동 정책 및 진출방식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일조할 것이다.
  • 색인어
  • 문화코드, 이슬람주의, 부족주의, 드라마, 움마, 정명론, 정의, 가부장적 권위주의, 상업중심주의, 명예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