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7605&local_id=10084531
미래지향적 교육/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미래지향적 교육/연구 | 201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동노(연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3A2037991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중단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2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식민지시기 ‘사회과학’ 연구의 체계화와 유산>
    제1차년도. 식민지시기 근대적 제도의 수립과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발아
    제2차년도. 식민지시기 근대 사조(의 전개)와 한국 ‘사회과학’ 연구

    1차년도: 식민지시기 근대적 제도의 수립과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발아
    1) “총독부의 문화정치로의 지배정책 전환과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활성화”,『사회사상과 문화』19-1, 2016.
    2) “‘한국인’ 정치 참여 부재와 조선총독부의 관학(官學)을 통한 사회과학의 전개: 관학 대 반(反)관학, 이항대립관계의 구조화”,『한국정치외교사논총』37-1, 2015.
    3) “식민지시기 여성 고등교육과 가정학의 제도화: 미션스쿨이화여전의가사과형성과미국유학생들을중심으로”, ꡔ지역과 역사ꡕ36, 2015.
    4) 식민지시기 사회과학 관련 문헌DB, 인물DB 구축 작업 진행

    2. 2차년도:

    1) “식민지시기 정치와 정치학: ‘한국인’ 정치 참여 부재의 정치학”,『사회와역사』110, 2016.
    2) “일제하 사회경제사학과 백남운”,『사회와역사』110, 2016.
    3) “식민지 지배와 저항의 사회적 공간과 조선 지식인들의 사회학 인식”,『사회와역사』110, 2016.
    4) “식민지 관제역사학과 근대 학문으로서의 한국 역사학의 태동: 진단학회를 중심으로”,『사회와역사』110, 2016.
    5) 일제하 사회경제사학과 ‘봉건제 만들기’, 김동노 편,『식민지시기 ‘사회과학’연구의 체계화와 유산 (1910-1945)』, 선인, 2016.
    6) “식민지시기 근대 과학적 지식으로서 가정학의 형성”,『이화사학연구』, 2016.
    7) “식민지기 문학(론)의 사회적 상상”, 김동노 편,『식민지시기 ‘사회과학’ 연구의 체계화와 유산 (1910-1945)』, 선인, 2016.
    8) 김동노 편,『식민지시기 ‘사회과학’ 연구의 체계화와 유산 (1910-1045)』, 선인, 2016. 중형 2단계 제1, 2차 공동연구 성과를 단행본으로 간행.
    9) 김동노 편,『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지적 계보와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방안 자료집 II』, 선인, 2016. 식민지시기 신문과 학술지, 잡지 등 1차 자료 중 한국 사회과학 연구와 관련된 문헌DB와 인물DB 구축해 자료집으로 간행.
    10) “한국사회과학” SSK연구단 홈페이지 구축: http://yisgssk2014.
    11) Kim, Dong-No ed. "Acceptance of European Social Sciences in Early Modern Asia", Yonsei University Press, 2016. 본 연구단의 1, 2 단계 연구 성과 중 ‘한국사회과학’ 연구를 소개할 수 있는 글을 영문도서로 간행.
  • 영문
  • <Establishment of Social Sciences and Its Legac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1st Year: Eastablishment of Modern System and Sprout of 'Korean Social Sciences'

    1) The Cultural Policy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The Growth of Social Science Studies
    2) Development of Social Sciences through Government Schools and Absence of Korean Political Participation
    3) Korean Women's Higher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of the College during the Colonial Period
    4) Making Data Base about Korean Social Scienc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2. 2nd Year:

    1) Politics of the Colonial Period and Political Studies: Politics Exclud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Koreans
    2) Paek Nam-un`s Interpretation of History and Korean Modern Historiography
    3) Korean Intellectuals` Recognition on Sociology in the Space of Domination and Resistance in the Colonial Period
    4) The Colonial Government Controlled History and the Rebirth of Korean History as Modern Studies: Focused on Chin-Tan Society
    5) Korean Women's Higher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during the Colonial Period -Missionary Networks and the Academic Experience of Female Students at Ewha Woman's College
    6) Kim, Dong-No ed., "Establishment of Social Sciences and Its Legac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1910-1945)," Suninbook, 2016.
    9) Kim, Dong-No ed., "Data Base of the Intellectual Genealogy of Korean Social Sciences and A Plan to develop Korean Theory of Social Sciences: from Acceptance to Development II," Suninbook, 2016.
    10) Homepage: http://yisgssk2014.
    11) Kim, Dong-No ed. "Acceptance of European Social Sciences in Early Modern Asia", Yonsei University Press, 2016.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지적 계보와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방안"이라는 대주제로 2개년도에 걸쳐서 진행된 본 공동연구는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1)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특수성과 보편성에 기초한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구체적인 방안 제시
    2) 근․현대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지적 계보와 특성 구명
    3) 상기 목적을 위해 근․현대 한국 ‘사회과학’ 수용, 연구자 인물 및 문헌 DB 구축.
    1) 제1단계(2010ssk) 3년에 걸친 구한말 작업(연구총서와 자료총서 간행)에 이어서 식민지시기를 대상으로 한 2개년도 작업을 통해서 식민지시기 사회과학 연구총서와 식민지시기 한국 사회과학 연구자 및 연구문헌 DB 자료총서, 그리고 본 공동연구 작업을 총 망라하는 내용을 가진 영문 연구총서로 간행되었다.
    2) 1의 작업을 통해서 개괄적이나마 종래 문제의식은 있었으나 총체적으로 정리된 적이 없었던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지적 기원과 계보를 추적할 수 있는 기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3) 또한 한말부터 식민지시기에 걸친 한국 사회과학 연구자 및 관련 문헌을 정리해 간행한 자료총서의 기본 내용을 담은 DB를, 본 연구단의 홈페이지(http://yisgssk2014.org)를 제작하여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형단계 주제: 식민지시기 ‘사회과학’ 연구의 체계화와 유산
    연구 내용:
    제1차년도. 식민지시기 근대적 제도의 수립과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발아
    제2차년도. 식민지시기 근대 사조(의 전개)와 한국 ‘사회과학’ 연구
    [1차년도: 식민지시기 근대적 제도의 수립과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발아]
    (1) 문화정치로의 지배정책 전환과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활성화
    (2) ‘한국인’ 정치 참여 부재와 조선총독부의 관학을 통한 사회과학 전개
    (3) 식민지시기 사회과학 관련 문헌 DB 구축
    (4) 식민지시기 사회과학 관련 인물 DB 구축
    [2차년도: 식민지시기 근대 사조(의 전개)와 한국 ‘사회과학’ 연구]
    (1) 조선총독 정치체제와 ‘한국인’ 정치 참여의 부재의 정치학
    (2) 일본의 이식자본주의 조직화와 경제학
    (3) 지배와 저항의 사회적 공간과 사회학
    (4) 식민지 관제 역사학과 근대 학문으로서의 한국 역사학의 태동
    (5) 식민지시기 Marxism 수용과 맑스주의 사회과학의 활성화
    (6) 식민지배 하 주민의식의 성장과 사회의 발견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한국 사회과학 이론 정립에 필요한 ‘자아준거’적 실증적 연구 DB 구축, 제공.
    2)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학문적 자생력 강화 및 공공성 증진
    3) 한국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방안 및 모델 제시에 필수적인 DB와 실증연구 제공.
    4) 근대적 사회 전환기 ‘한국적 근대화’를 모색한 학문적․실천적 궤적을 실증, 논리화.
    5) 한국 초기 ‘근대’ 학문과 ‘사회과학’ 수용의 지적 계보와 내용 구명.
    6) 한국 근대 학문과 사회과학 연구의 학적 체계와 제도 구명.
    7) 한국 초기 ‘사회과학’ 수용의 학문적․정치사회적 기능과 의미 구명.
    8) 서양 ‘사회과학’ 수용의 한국적 특징과 성격을 밝힘으로써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원형적 독특성에 기초한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현재적 문제의 고찰, 수정안 제시.
  • 색인어
  • 사회과학, 정치학, 역사학, 국가학, 사회학, 경제학, 관학, 사학, 맑스주의, 주민의식, 사회, 한국사회과학, 지적계보, 조선총독정치, 경성제국대학, 연희전문, 보성전문, 이화여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