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만주어 및 만주어 문학자료조사・해제 및 역주
“만주어 및 만주문학 자료 총서” 간행 - 자료 조사, 해제, 역주를 겸하여 -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토대기초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B4036566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유범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형대(고려대학교)
강인욱(경희대학교)
김양진(경희대학교)
신상현(고려대학교)
최동권(상지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 만문자료 가운데 만주어 및 만주문학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정리하여 목록화 하고, 그 가운데 주요한 자료를 선정하여 전사⋅대역 및 해제를 하며, 상세한 주석과 교감 작업을 거쳐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여 “만주어 및 만주문학 자료 총서” 간행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전 세계에 산재해 있는 만문자료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만주어 및 만주문학과 관련한 자료의 종합 목록을 작성할 것이다. 그리고 조사된 자료 가운데에서 순수 만주문자로 쓰여진 자료를 중심으로 문학적 혹은 어학적으로 중요한 문헌을 선정하여 만주문자를 로마자로 전사⋅대역 및 해제하고, 상세한 주석과 교감 작업을 거쳐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여 총 10권의 “만주어 및 만주문학 자료 총서”로 간행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간행할 “만주어 및 만주문학 자료 총서”의 예상 목록은 다음과 같다. ① 시가문학 2권 - 『淸文詩』(Manju gisun i araha irgebun) - 『淸聖祖避暑山莊圖詠』(Han i araha alin i tokso de halhūn be jailaha ši bithe) ② 산문문학 2권 - 『異域錄』(Lakcaha jecen de takūraha babe ejehe bithe) - 『滿文日記』(Manju hergen i araha inenggi ejebun) ③ 서사문학 2권 - 『平山冷燕』(Ping šan leng yan i bithe) - 『西廂記』(Si siyang gi bithe) ④ 구비문학 2권 - 『니샨사만전』(Nišan saman i bithe) - 『滿族古神話』(Manju aiman julgei enduri juben) ⑤ 어학 자료 2권 - 『만주어 문법 자료 집성』(『淸文啓蒙』 등 포함) - 만주어 어휘집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최근 증가하고 있는 만주문자로 기록된 자료를 통한 연구 동향에 연구 자원을 제공하여 자료 기반을 공고히 하고, 동아시아 언어와 문학에 대한 총체적 이해의 폭을 넓히며, 나아가서는 국내 만주학 정립을 위한 자료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학문적 기대 효과] 1. 동아시아의 언어⋅문학 교류 양상 연구에 이바지 할 수 있다. 만주어 및 만주문학이라는 새로운 연구 주제의 발견을 통하여 만주족을 중심으로 한 청대 동아시아와 만주 지역에 대한 관심의 제고하고, 동아시아의 다양한 언어⋅문학과 문화의 상호 관련성 및 영향 관계 연구의 출발점이 된다. 2. 한국어와 알타이 제어와의 교섭 관계 연구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만주어로 기록된 언어 자료의 집성을 통하여 “한국어와 알타이제어 사이의 교섭 양상”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주어를 출발점으로 동아시아의 다양한 언어들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유도할 수 있다 3. 소외된 분야의 언어⋅문학 자료 집성을 통한 해당 연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만주어 및 만주문학”은 소외된 학문 분야로서 극히 소수의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오고 있는데, 그 근본적인 원인은 연구 자원의 부족으로 인한 연구 침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한 체계적 자료 집성은 소외 학문 분야인 만주어 및 만주문학 연구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 4. 신규 연구 주제 발굴의 원천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동안 만주문학은 중국문학의 일부로 취급되어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만주문학”이라는 새로운 연구 주제에 대한 원천 자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언어와 문학작품을 통하여 한민족과 북방민족 사이의 문화 교류의 양상이나, 동아시아의 문학, 어학, 민속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주제 발굴에 기여할 수 있다. [사회적 기대 효과] 1. 만주학 연구의 선도적 연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국내 유일의 만주학센터를 중심으로 만주학 연구를 선도하며, 만문자료의 수집과 정리, 해제와 대역 작업을 통해 만주학 연구의 깊이를 확보할 수 있다. 2. 동아시아 문화의 이해에 증진할 수 있다. ‘中華’의 세계에서 ‘諸夷’의 세계로 문화적 관심을 유도할 수 있고, 청대 만주족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깊이 있는 이해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3. 문화콘텐츠 제작의 원천 자원을 제공한다. 지속적인 만주학 연구를 통해 만주어 및 만주족 문화에 대한 원천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영화나 드라마 제작 등에 필요한 내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 결과를 가공하여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인력양성 방안] 1. 만주어 및 만주문학 연구의 전문가를 양성한다. 본 과제를 통해 진행하게 될 다양한 만문자료의 수집과 정리, 전사와 대역 작업은 만주어 및 만주문학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매우 의미 있는 과정이 될 것이다. 어떤 분야든 자료를 직접적으로 접하며 이를 입력하고 주석을 다는 과정을 통해 그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가게 된다. 과제 수행에 참여하는 여러 신진 연구자들 역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세계적인 만주학 연구자들로 새로이 태어나리라 확신한다. 2. 만주어 교육의 지속적인 저변 확대를 가져올 수 있다. 만주어는 이제 거의 사어가 되어 한때 중국을 호령했던 만주족조차 사용하지 않는 소외 언어 영역에 속해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인류의 소중한 자산 중 하나를 상실하는 아픔을 느끼게 한다. 만주어에 대한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연구는 만주어가 지구상에 존재할 수 있도록 하고 많은 사람들이 이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된다. 연구된 결과를 바탕으로 만주어센터를 통해 만주어를 교육하는 일은 만주어의 지속적인 저변 확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1. 한국어 교육의 효율적 접근 방법을 탐구할 수 있는 주제를 제공한다. 한⋅만 비교 연구 및 대조 연구 결과를 통해 교착어로서의 한국어와 유사한 구조를 보이는 만주어 연구를 기반으로 한국어만의 문법적 특수성에 대해 언어보편적인 원리를 가지고 설명해 줄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의 특수적인 문법 현상을 일반적인 서양 중심의 문법 교육이 아니라 한국어와 서양어가 가진 차이점을 위주로 한 교육이 우선시됨으로써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학습 방법 및 교수법이 고안될 수 있다. 2. 동북아시아 문화 교육의 중요한 자료이다. 만주어 및 만주문학 자료의 독해 결과를 한국 민속학 및 동아시아 민속학 교육에도 활용할 수 있고, 만주 민요를 비롯하여 만주 무가 등의 분야에서 만주 샤먼과 한국 민속학과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연구에서 이미 이루어진 바 있는 ‘송화강 제문’이나 ‘북해 제문’ 등을 비롯하여 만주 민요 등의 만문자료의 해독 등을 통해 만주 샤먼과 한국 무가와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짐으로써 한국 민속에 대한 한층 심화된 연구 결과를 교육에서도 적용시킬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과제 결과물은 “만주어 및 만주문학 관련 종합 서지목록”과 “만주어 및 만주문학 자료 총서” 10권, 그리고 참여 연구자의 연구 논문이 된다. 이러한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1. 만문자료의 수집⋅정리 (1) 만주어 및 만주문학 자료의 수집⋅정리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만주어 및 만주문학 관련 자료는 중국과 대만을 비롯하여 일본⋅미국⋅독일⋅러시아⋅프랑스⋅영국 등에 분산되어 소장되어 있으며, 서지목록으로 정리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연구의 편의를 위해서 일차적으로 기존에 작성된 만문자료 문헌 목록을 폭넓게 수집하고, 이 가운데에서 만주어 및 만주문학 관련 자료를 추출하여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2) 자료의 분석과 내용⋅특성에 따른 주제 유형 파악 및 분류 기존의 만문자료 목록은 분류 체계에서 약간의 문제점이 보이는데,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수집⋅정리된 만문자료의 분석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해당 자료의 내용과 특성에 따른 주제 유형을 파악할 것이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만주어 및 만주문학 관련 자료의 분류를 재조정할 계획이다. (3) 만주어 및 만주문학 종합 서지목록 DB 작성 재분류 작업을 거친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 서지목록을 작성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기존에 정리된 주요 만문자료 목록과의 대차대조 작업을 진행할 계획인데, 이것은 해당 만문자료의 소장처를 명기하여 소재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연구자들이 이본 대조 등의 작업을 진행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2. 주요 자료의 로마자 전사 및 대역 만문자료의 수집⋅정리 작업을 통하여 작성한 “만주어 및 만주문학 종합 서지목록”을 바탕으로 순수 만주문자로 기록된 자료를 우선적으로 본 과제 연구 기간 동안 로마자로 전사하여 한국어로 대역할 자료를 선정한다. 선정 자료는 크게 (1) 만주문학 자료에 ① 시가문학, ② 산문문학, ③ 서사문학, ④ 구비문학으로 나뉘고, (2) 만주어학 자료에는 ① 청대 간행된 문법 관련 자료 선집과 ② 7,000 어휘 규모의 만주어 기초어휘집을 편찬한다. 3. 표준 XML 기반의 통합 DB 구축 전사와 대역을 마친 자료를 해제를 포함하여 통합 DB로 구축하기 위해서 DB 구축의 표준 규범과 작업 지침을 작성하고, 표준 XML 기반의 통합 DB로 구축한다. 이를 위하여 ‘XML 스키마 형식’과 XML 마크업은 지침을 마련하고 이에 준하여 작업을 진행한다. 4. 만주어 기초 어휘 DB 구축 장기적으로 만주어 학습자를 위한 사전 편찬을 위하여 본 관제에서 전사와 대역을 완료한 자료와 기존에 편찬된 각종 만주어휘 대역집을 활용하여 약 7,000 어휘 규모의 ‘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 어휘 DB’를 구축한다. 5. 상세 주석 및 교감 주요 만주어 및 만주문학 자료를 선정하여 현대 한국어로 대역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에 어휘, 문맥상의 어려운 부분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주석을 달고, 이본이 많은 자료의 경우에는 이본간의 출입과 차이 등을 자세히 밝히고 교감을 진행한다. 6. “만주어 및 만주문학 자료 총서” 간행 로마자 전사와 대역이 완성된 만문자료는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함께 진행하여 전체 연구기간 내(연구기간 3년+자료출판 2년)에 약 300쪽 전후 분량으로 모두 10권의 “만주어 및 만주문학 자료 총서”로 간행한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로 간행할 “만주어 및 만주문학 자료 총서”의 예상 목록은 다음과 같다. ① 시가문학 2권 - 『淸文詩』(Manju gisun i araha irgebun) - 『淸聖祖避暑山莊圖詠』(Han i araha alin i tokso de halhūn be jailaha ši bithe) ② 산문문학 2권 - 『異域錄』(Lakcaha jecen de takūraha babe ejehe bithe) - 『滿文日記』(Manju hergen i araha inenggi ejebun) ③ 서사문학 2권 - 『平山冷燕』(Ping šan leng yan i bithe) - 『西廂記』(Si siyang gi bithe) ④ 구비문학 2권 - 『니샨사만전』(Nišan saman i bithe) - 『滿族古神話』(Manju aiman julgei enduri juben) ⑤ 어학 자료 2권 - 『만주어 문법 자료 집성』(『淸文啓蒙』 등 포함) - 만주어 어휘집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