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서아프리카 모계사회에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Oedipus complex in matrilineal societies of West Afric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41142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개월 (2014년 09월 01일 ~ 2014년 09월 30일)
연구책임자 김태희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40;글로벌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중단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일찍이 유럽에서 발전되어온 정신분석의 연구결과가 인종과 문화가 다른 지역, 특히 서아프리카지역 내에서도 여전히 동일한 보편성을 지니는가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우리는 먼저 1) 부계중심의 일부일처제에 기반을 둔 유럽문화를 배경으로 이론화되었던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모계 중심적 전통이 있는 서아프리카지역에서도 동일한 효력을 지니는지 살펴볼 것이다. 프로이트는 유럽 이외의 다른 인종의 환자들을 직접 진료한 경험이 전혀 없었음에도 자신의 정신분석에서 주요개념으로 자리 잡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모든 문화와 인종에 공통적이라고 주장해왔다. 이에 우리는 오늘날까지 ‘상식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개념이 과연 정당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이트가 이 개념이 어떤 역사적 배경 속에서 이론화되었으며 그 과정 중에 그가 발전시킨 논거가 정절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그의 이론이 당시 팽배해있던 식민주의사상과 어떤 관계에 있었으며, 특히 서아프리카 식민지지배를 정당화하는 데 어떠한 용도로 활용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리는 2) 만일 이 콤플렉스가 서아프리카에서도 존재한다면 문화적 차이에 따른 표현상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보편성에 대해서는 이미 몇몇 민족학자들과 정신분석학자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문제제기가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반론을 거치며 초기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개념은 점차 이론적으로 성숙한 단계에 접어들게 된다. 특히 우리는 문화적 상대주의를 주장했던 말리노우스키Malinowski와 서아프리카 현지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연구했던 오르티그Ortigues 부부와 같이 유럽의 기준에 따라 적용되었던 정신분석이론의 틀을 벗어나 현지에서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해 민족지학적 관점을 도입함으로써 문화를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3) 모계중심의 서아프리카 문화 내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어떠한 변형을 겪게 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보편성을 옹호했던 민족지학자와 정신분석학자들은 일찍이 모계사회라는 문화적 차이로 인해 서아프리카는 유럽에서와는 다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양상을 보인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는 이 콤플렉스가 서양인들의 식민지배과정에서 아프리카 문화에 이식된 것은 아닌지, 아니면 근본적인 심리기재라기보다는 사회적 상황에 따라 변화된 전통을 반영하는 것은 아닌지의 문제를 재고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1) 한국 전통문화에 나타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유형 연구
    프로이트의 이론은 국내외에서 오늘날까지도 꾸준한 관심의 대상으로 남아있다. 무의식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학문적 연구영역으로 끌어올린 프로이트의 업적은 인간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완전히 새로운 각도에서 재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에 대한 연구는 그가 주장한 내용의 연속선상에서 수용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왔다는 점에서 오늘날 그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관한 이론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문화권에서도 동등한 설득력을 갖는지를 검토함으로써 국내 심리학과 민족지학 분야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2) 국내 토속신앙에 나타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분석
    프로이트는 자신의 『토템과 터부』에서 아프리카는 물론 아시아 문화에 나타난 토속신앙을 간략히 논하면서 그 속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기원이 도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문화 고유한 토속신앙에 나타난 토템과 터부 양식을 살펴보고 과연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기원을 그 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인지를 논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오이디푸스 신화와 관련된 국내 민담과 풍속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3) 우리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국내 아동 심리 연구
    이제까지 프로이트에 의해 규정된 아동심리의 발달단계는 유럽 문화 내에서 성장한 아동들을 중심으로 기준이 정해져왔으며 국내에서도 그 내용이 상당부분 그대로 수용되어왔다. 이에 우리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같은 기본 개념들이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어떻게 변형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봄으로써 국내 아동들의 심리적 차이에 따라 고유한 발단 단계와 과정을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연구요약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은 여러 나라에서 문화나 인종적 차이와 무관하게 적용되어오면서도 그 보편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이에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유럽을 배경으로 형성된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의 핵심을 이루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이 모계사회를 중심으로 한 서아프리카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하는가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유럽과 서아프리카 간의 문화적 관점을 고려하여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그 수용과 변형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유럽 관점에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①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에 대한 콤플렉스 : 일찍이 프로이트는 오이디푸스신화가 인간의 문화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자기 자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콤플렉스가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인간 보편의 차원에서 정당화시켜야 했던 그는 진화이전의 유럽인들, 다시 말해 원시상태의 인류에게서 그 기원을 밝혀내고자 『토템과 터부』를 저술하였고, 이를 통해 인간 심리에 대한 민족학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기원을 초기 인류에서부터 끌어내고 있다.
    ②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식민주의적 사고 :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프랑스식민지 이론에 처음으로 적용했던 옥타브 마노니는 마다가스카르의 ‘1947년의 사건’을 셰익스피어의『템페스트The Tempest』에 빗대어 설명하면서 가부장적인 권위를 내세우는 지배자와 어머니와 같은 조국, 아버지로부터 조국을 되찾으려는 피지배자(자식)라는 오이디푸스적 삼각관계를 재현해내고 있다.
    2) 서아프리카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① 말리노우스키의 ‘문화 상대주의relativisme culturel’ : 폴란드 출신의 인류학자 말리노우스키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모든 인류에게 보편적이라던 프로이트의 주장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모계 중심 사회에서는 그 이론이 적합하지 않다고 반박하였다. 문화적 상대주의를 내세웠던 그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모계사회와 같은 비서구 사회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하거나 설령 그러한 심리구조가 가능하더라도 다른 식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었으며, 후에 파농이 서구의 식민주의적 정신분석이론에 문제제기하면서 흑인들 고유의 정신분석이론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근거를 마련해주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② 서아프리카의 ‘집단적 남근Phallus collectif’ : 정신분석자 마리-세실 오르티그Marie-Cécile Ortigues와 철학자 에드몽 오르티그Edmond Ortigues는 이론적 관점에서 기지의 사실로 간주되어오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과연 서아프리카에서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한가를 자문하였다. 이들은 서아프리카 어린이들의 심리치료에 심리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민속학을 참고하여 그들의 문화적 맥락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이전 연구들에서 종종 발생했던 해석상의 오류를 보완하고자 했다. 그들은 이 과정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다카르의 어린아이들에게서도 동일하게 발견되고 있으며, 아버지의 위상이 조상들의 권위와 결부되어 ‘집단적 남근phallus collectif’을 대표하는 아프리카 전통사회 내에서는 아들이 감히 그와 경쟁할 엄두를 내지 못하며 그 공격성을 형제들에게 향한다는 특성을 발견하였다.
    3) 서아프리카 문화 내에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변형
    ① 모계적 관점에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오르티그 부부가 서아프리카 현지에서의 진료 분석에서 밝혀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유효성은 사실, 아프리카에 전해져 내려오는 민담에서도 그 변형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다만, 모계사회라는 특성으로 인해 부계사회에서와는 다른 해석의 여지를 남기도 있다. 다시 말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인간의 보편적인 심리 상태가 아닌 사회적 변화에 따른 전통으로도 해석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오이디푸스콤플렉스에 대한 또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② 모계 사회 내에서 거세 콤플렉스의 발현: 프로프의 분석방법에 영향을 받았던 프랑스의 드니즈 폴름Denise Paulme은 아프리카 민담에서 대부분 여성의 권한이 강화된 상황에서 아버지의 존재가 약화된 반면 형과 형수가 아버지와 어머니의 위상을 대신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폴름은 모든 아프리카에 걸쳐 여성의 탐욕으로 인해 남성들이 무의식적으로 두려움을 느낀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부계혈통원칙이 승리를 거두기 이전에 모계중심의 민담이 있었으며, 이후에야 그것이 변형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프로이트는 유럽 이외의 다른 인종의 환자들을 직접 진료한 경험이 전혀 없었음에도 자신의 정신분석에서 주요개념으로 자리 잡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모든 문화와 인종에 공통적이라고 주장해왔다. 아들이 어머니에 대해 지니는 애착과 그 사이에 존재하는 아버지의 권위의 문제는 모든 인류가 오이지푸스의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다는 프로이트의 이론에 강한 설득력을 부여해주고 있다. 이에 우리는 오늘날까지 ‘상식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개념이 과연 정당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이트가 이 개념이 어떤 역사적 배경 속에서 이론화되었으며 그 과정 중에 그가 발전시킨 논거가 정절했는지를 논의해보았다. 그리고 그의 이론이 당시 팽배해있던 식민주의사상과 어떤 관계에 있었으며, 특히 서아프리카 식민지지배를 정당화하는 데 어떠한 용도로 활용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사실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보편성에 대해서는 이미 몇몇 민족학자들과 정신분석학자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문제제기가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반론을 거치며 초기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개념은 점차 이론적으로 성숙한 단계에 접어들게 된다. 특히 우리는 문화적 상대주의를 주장했던 말리노우스키Malinowski와 서아프리카 현지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연구했던 오르티그Ortigues 부부와 같이 유럽의 기준에 따라 적용되었던 정신분석이론의 틀을 벗어나 현지에서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해 민족지학적 관점을 도입함으로써 문화를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보편성을 옹호했던 민족지학자와 정신분석학자들은 일찍이 모계사회라는 문화적 차이로 인해 서아프리카는 유럽에서와는 다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양상을 보인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는 이 콤플렉스가 서양인들의 식민지배과정에서 아프리카 문화에 이식된 것은 아닌지, 아니면 근본적인 심리기재라기보다는 사회적 상황에 따라 변화된 전통을 반영하는 것은 아닌지의 문제를 재고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Although he has no practical experience in European patients Freud emphasizes universality of the Oedipus complex seen as a key concept in his psychoanalysis. The conflict between the affect felt by the son to the mother and the father's authority convinces us that this complex is not an exceptional case but universal. That is why we want to challenge this concept psychanlaytique that followed some changes over the life of Freud. We could try to find some relationship between this concept and a conloniale ideology.
    In fact, the Oedipus complexe of Freud has already met with some objections from the ethnologists and psychoanalytics. In this historical context, this concept developed up to now. For example, Malinowski insisted on cultural relativism and Oritigues accepts the concept if it reflect the present culture in the region concerned. Thus the Oedipus complex get appropriating new perspectives. Especially the case of West Africa shows a typical exception with matrilineal societies where the mother is a primary status in the family. We wondered then if the concept of the Oedipus complex is not imposed in the African culture during the colonial domin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프로이트는 유럽 이외의 다른 인종의 환자들을 직접 진료한 경험이 전혀 없었음에도 자신의 정신분석에서 주요개념으로 자리 잡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모든 문화와 인종에 공통적이라고 주장해왔다. 이에 우리는 오늘날까지 ‘상식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개념이 과연 정당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이트가 이 개념이 어떤 역사적 배경 속에서 이론화되었으며 그 과정 중에 그가 발전시킨 논거가 정절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그의 이론이 당시 팽배해있던 식민주의사상과 어떤 관계에 있었으며, 특히 서아프리카 식민지지배를 정당화하는 데 어떠한 용도로 활용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보편성에 대해서는 이미 몇몇 민족학자들과 정신분석학자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문제제기가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반론을 거치며 초기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개념은 점차 이론적으로 성숙한 단계에 접어들게 된다. 특히 우리는 문화적 상대주의를 주장했던 말리노우스키Malinowski와 서아프리카 현지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연구했던 오르티그Ortigues 부부와 같이 유럽의 기준에 따라 적용되었던 정신분석이론의 틀을 벗어나 현지에서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해 민족지학적 관점을 도입함으로써 문화를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보편성을 옹호했던 민족지학자와 정신분석학자들은 일찍이 모계사회라는 문화적 차이로 인해 서아프리카는 유럽에서와는 다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양상을 보인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는 이 콤플렉스가 서양인들의 식민지배과정에서 아프리카 문화에 이식된 것은 아닌지, 아니면 근본적인 심리기재라기보다는 사회적 상황에 따라 변화된 전통을 반영하는 것은 아닌지의 문제를 재고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한국 전통문화에 나타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유형 연구
    프로이트의 이론은 국내외에서 오늘날까지도 꾸준한 관심의 대상으로 남아있다. 무의식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학문적 연구영역으로 끌어올린 프로이트의 업적은 인간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완전히 새로운 각도에서 재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에 대한 연구는 그가 주장한 내용의 연속선상에서 수용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왔다는 점에서 오늘날 그의 이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관한 이론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문화권에서도 동등한 설득력을 갖는지를 검토함으로써 국내 심리학과 민족지학 분야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2) 국내 토속신앙에 나타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분석
    프로이트는 자신의 『토템과 터부』에서 아프리카는 물론 아시아 문화에 나타난 토속신앙을 간략히 논하면서 그 속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기원이 도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문화 고유한 토속신앙에 나타난 토템과 터부 양식을 살펴보고 과연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기원을 그 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인지를 논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오이디푸스 신화와 관련된 국내 민담과 풍속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3) 우리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국내 아동 심리 연구
    이제까지 프로이트에 의해 규정된 아동심리의 발달단계는 유럽 문화 내에서 성장한 아동들을 중심으로 기준이 정해져왔으며 국내에서도 그 내용이 상당부분 그대로 수용되어왔다. 이에 우리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같은 기본 개념들이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어떻게 변형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봄으로써 국내 아동들의 심리적 차이에 따라 고유한 발단 단계와 과정을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색인어
  • 서아프리카, 모계사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프로이트, 오르티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