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58922&local_id=10080916
쟁점 중심 사회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하버드 공공 쟁점 시리즈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쟁점 중심 사회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하버드 공공 쟁점 시리즈 분석 | 2014 년 | 배영민(경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41152
선정년도 201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6년 01월 2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몇몇 사회과 교육학자들의 선구적인 시도들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아직까지 중등학교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쟁점 중심 사회과 교과서를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하버드 공공 쟁점 시리즈는 쟁점 중심 사회과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한 훌륭한 모형을 제공한다. 이 논문은 하버드 공공 쟁점 시리즈의 단원 체제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질적 내용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총30권의 공공 쟁점 시리즈 중에서 두 권(단원)을 선정하여 철저히 분석하였다. 분석한 두 단원은 쟁점 중심 사회과 교과서에서 대단원의 체제가 어떻게 갖추어져야 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두 단원은 해당 단원이 다루고 있는 당시의 공공 쟁점으로부터 단원 전체를 조직하는 뼈대 역할을 하는 주요 쟁점들(질문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소수의 한정된 사례들을 깊이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사례 자료를 담고 있다. 그리고 사례 자료를 제시한 다음에는 거의 언제나 자료를 바탕으로 토론이 진행되도록 논란이 있는 질문들을 제기하고 있다. 단원의 마지막에는 단원이 다루고 있는 쟁점들을 보다 철저하게 검토하기 위한 연습문제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하버드 공공 쟁점 시리즈의 두 단원은 몇 가지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다. 즉 사전에 역사와 사회과학의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들을 알고 있어야 하고, 대체로 높은 수준의 독해 능력을 요구하며, 그리고 지도, 도표, 통계, 그리고 그림 형태의 자료가 상당히 부족하다는 것이다. 차제에 우리가 공공 쟁점 시리즈를 본보기로 삼아 쟁점 중심 사회과 교과서를 개발한다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 영문
  • In spite of a few social studies educators’pioneering efforts, currently we do not hav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textbooks available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yet. The Harvard Public Issues Series could provide a good model that we follow in developing the issues-centered second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is research analyzed the unit structure of the Harvard Public Issues Series. Using a method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author analyzed the structure of two unit books thoroughly selected among a total of 30 Public Issues Series. The study found that each unit book consists of the four main parts. First, there are central questions or issues organizing the whole materials of the units in the Introduction. Second, there are various case materials for in-depth case study in each section. Third, there are controversial questions at the end of each section titled‘persisting questions of history’. Finally, there are culminating exercises titled‘review, reflection, and research’at the end of each unit. While the two unit books have great potential as the units of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textbooks, they have their own drawbacks in terms of the level and the type of case materials. We should consider them if we want to develop exemplary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textbook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몇몇 사회과 교육학자들의 선구적인 시도들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아직까지 중등학교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쟁점 중심 사회과 교과서를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하버드 공공 쟁점 시리즈는 쟁점 중심 사회과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한 훌륭한 모형을 제공한다. 이 논문은 하버드 공공 쟁점 시리즈의 단원 체제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질적 내용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총30권의 공공 쟁점 시리즈 중에서 두 권(단원)을 선정하여 철저히 분석하였다. 분석한 두 단원은 쟁점 중심 사회과 교과서에서 대단원의 체제가 어떻게 갖추어져야 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두 단원은 해당 단원이 다루고 있는 당시의 공공 쟁점으로부터 단원 전체를 조직하는 뼈대 역할을 하는 주요 쟁점들(질문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소수의 한정된 사례들을 깊이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사례 자료를 담고 있다. 그리고 사례 자료를 제시한 다음에는 거의 언제나 자료를 바탕으로 토론이 진행되도록 논란이 있는 질문들을 제기하고 있다. 단원의 마지막에는 단원이 다루고 있는 쟁점들을 보다 철저하게 검토하기 위한 연습문제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하버드 공공 쟁점 시리즈의 두 단원은 몇 가지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다. 즉 사전에 역사와 사회과학의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들을 알고 있어야 하고, 대체로 높은 수준의 독해 능력을 요구하며, 그리고 지도, 도표, 통계, 그리고 그림 형태의 자료가 상당히 부족하다는 것이다. 차제에 우리가 공공 쟁점 시리즈를 본보기로 삼아 쟁점 중심 사회과 교과서를 개발한다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하버드 공공 쟁점 시리즈의 두 단원은 쟁점 중심 사회과 교과서에서 대단원의 체제가 어떻게 갖추어져야 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두 단원은 먼저, 해당 단원이 다루고 있는 당시의 공공 쟁점으로부터 질문의 형태로 단원 전체를 조직하고 뼈대 역할을 하는 몇 개의 주요 쟁점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많은 양의 학문 지식을 피상적으로 학습하기 보다는 소수의 한정된 사례들을 깊이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사례 자료를 담고 있다. 그리고 사례 자료를 제시한 다음에는 거의 언제나 자료를 바탕으로 쟁점에 대한 토론이 진행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논란이 있는 질문들을 제기하고 있다. 단원의 마지막에는 단원을 정리하기 위한 활동으로 해당 단원이 다루고 있는 쟁점들을 보다 철저히 검토하기 위한 연습문제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처럼 두 단원은 현재 우리의 중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대단원처럼 대학의 학문 지식을 백과사전 형태로 나열하고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 분석한 두 단원은 제대로 활용된다면 학생들이 공공 쟁점에 관해 이지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다원적 민주주의 사회에서 공공 쟁점을 둘러싼 대부분의 논쟁은 사실/설명, 개념정의, 그리고 윤리 또는 가치와 관련된 여러 논란이 있는 질문들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다. 분석한 두 단원은 학생들이 공공 쟁점의 토론에서 세 가지 유형의 쟁점들 각각에 적절한 질문들을 제기하고 이러한 질문들에 대답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를 조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뿐만 아니라, 이들 단원은 학생들이 공공 논쟁에서 가장 핵심적인 윤리 또는 가치에 관한 질문들을 민주주의의 기본 가치들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인도한다.
    국내에서도 현재 다수의 사회과 교육학자들이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또한 상당히 많은 수의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과 수업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특히 쟁점 중심 사회과 교과서를 실제로 어떻게 개발해야 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부진하다.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이 우리의 중등학교 현장에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훌륭한 쟁점 중심 사회과 교과서가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어야 한다. 하버드 공공 쟁점 시리즈는 위에서 언급한 몇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한다면 우리가 본받을 만한 쟁점 중심 사회과 교과서의 모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하버드 공공 쟁점 시리즈, 쟁점 중심 사회과, 사회과 교과서 개발, 질적 내용 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