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277&local_id=10082909
산업도시의 육아문제의 의학적 담론과 현실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산업도시의 육아문제의 의학적 담론과 현실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찬영(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4950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6년 10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서구 학계의 의학사연구의 주요 논제와 흐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영유아 육아문제에 대한 의학사적(의학적, 역사적) 접근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주로 19세기의 중부지역의 주요 산업인 편물산업을 중심으로 산업과 공간 속에서 나타나는 특유한 육아의 패턴을 다루고자 하며, 그 주요한 사례로서 노팅엄과 레스터, 더비를 포함하는 중부 편물산업 도시 여성의 육아 관례에서 나타나는 영유아 대상 마약재제 사용의 특징과 그 의미에 대하여 다룬다.
  • 영문
  • Industrial cities and the Infant care problem in Britain
    :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Midlands

    The research project is a study of the Infant care problem and various views on its causes and the consequences in industrial cities of the Midlands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labourers and infant care problems in urban space in nineteenth century England.
    It begins by examining a series of selected Parliamentary Papers. Of particular importance amongst the papers are Reports of Select Committees and Reports of Royal Commissions on such problems as public health, infant mortality, environment of workplace, urban planning, and other records including Medical Officer's Reports on factory labourers, Coroner's Reports as well as Census.
    In view of high infant mortality, the Coroner's Reports are specially a valuable guide to the fatal diseases resulting enormous casualty in industrial areas. The records of witnesses compiled in appendixes of command papers are usually a veritable mine of information on the contemporary views on the relation between working women and infant health problem leading to the high infant mortality. During the whole research project, a wide range of sources are subject to the analytic interpretation to look into the various views of medical professionals as well as public opinion: the main sources are national and regional newspapers, municipal records, medical magazines and other assorted papers of medical professions.
    This research attempts to illustrate how the female employment problem was conceptualized in terms of infant-care problem and degrading infant health in industrial cities by looking at the various discourses from the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records and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record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infant care problem in the textile industry in the Midlands. While focuses mainly on the East-midlands, analyses and comparisons were also made among other midland cities as well as major industrial cities in the North. A research paper resulted from the project is to be published between 2017~2018.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서구 학계의 의학사연구의 주요 논제와 흐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영유아 육아문제에 대한 의학사적(의학적, 역사적) 접근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주로 19세기의 중부지역의 주요 산업인 편물산업을 중심으로 산업과 공간 속에서 나타나는 특유한 육아의 패턴을 다루고자 하며, 그 주요한 사례로서 노팅엄과 레스터, 더비를 포함하는 중부 편물산업 도시 여성의 육아 관례에서 나타나는 영유아 대상 마약재제 사용의 특징과 그 의미에 대하여 다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아동 및 소수자, 생명에 대한 인식과 담론은 인간 가치에 대한 사회의식을 나타내는 잣대가 된다. 그러한 측면에서, 특정 사회의 육아 문제 또한 해당 사회가 가지고 있는 사회구성원에 대한 근본적 인식, 나아가서는 인간에 대한 가치관을 잘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우리 사회에서 큰 논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는 사회문제 중 하나인 ‘육아’에 대해 역사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문학이 주도하는 사회학, 의학적 논의의 융합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학술 연구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어린이집 보육 교사의 문제, 출산율 하락과 베이비 박스 등에서 나타나듯이 영유아를 포함한 육아문제는 최근 우리 사회에서 가장 논란이 된 사회 이슈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시의성 높은 사회 문제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적극적으로 발표․교육함으로써, 그에 대한 사회 전체의 관심을 환기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인문학 본연의 책무를 다하고 학문적, 사회적으로도 기여하도록 할 것이다.
    ◦기술적으로는 본 연구에서 검토한 사료와 자료데이터의 활용성과를 강의와 연구 논문 발표를 비롯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알림으로써, 관련 분야의 연구자와 학생들은 물론 여타 다양한 부류의 수요자들로 하여금 관련 사료와 논의에 대한 관심 및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



    ◦융합연구로서, 사회사 내 의학사 분과에서 연구되어온 마약류 사용에 관한 연구에 19세기 산업화 연구의 최근 동향 중 하나인 공간 분석을 적용하면서, 그 연구 진행에 있어서 특히 사료선택과 분석과정에 융합 연구의 기획을 적극 반영하고자한다. 무엇보다 의학전문가들이 사회사적 의학사 연구에 대해 제기한 문제인 ‘전문 의료인과 관련한 자료와 전문자료의 배제 혹은 부족’ 문제에 유의할 것이다. 특히 이 문제는 전문 의학저널에서의 전문기사와 독자의 투고란 등의 자료, 정부조사문서에 제시되어있는 전문 의료인들의 증언과 보고서, 시정 자료에서 보건의(Medical Officer of Health)의 발언, 지역 언론지에 실린 영유아 마약 사용 문제와 사건 사고에 대한 보도, 사건 관련 검시관 보고서와 증언 등 다양한 자료를 연구의 주요 부분으로 편입시킴으로써 보완하도록 할 것이다. 동시에 기존에 본 연구자가 채용했던 다양한 지역사 사료들, 예컨대 시정자료나, 빈민법 관련 자료, 지역 언론지 등 당대 지역민의 경험과 여론을 다룰 수 있는 사료들을 폭넓게 교차적으로 다룸으로써, 지역기반이라는 맥락에 대한 설명을 강화하면서, 영유아 육아문제에 대한 의학적 담론 분석에서 다양한 앵글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색인어
  • 가내공업제, 검시관, 의사(내과), 고용, 고프리코디알, 달비액, 독약, 러다늄, 보모, 산업도시, 아편-아편제, 안정제, 여성, 영아살해, 영유아, 유아사망률, 육아, 작업장, 제조 업 지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