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309&local_id=10083058
남성경찰관의 여성경찰관 신뢰 영향요인 탐색 "과연 그녀는 그의 동료인가?"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남성경찰관의 여성경찰관 신뢰 영향요인 탐색 "과연 그녀는 그의 동료인가?"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권혜림(서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8300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6년 10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업무수행 중 위험하고 돌발적인 상황에 자주 노출되는 경찰의 특성상 함께 근무하는 동료간의 신뢰가 필수적인 이유일 것이다. 경찰조직내 대인간의 신뢰가 중요하고 필요한 이 시점에 남녀경찰관은 서로를 동료로써 얼마나 믿고 의지하고 있는가? 과연 경찰구성원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남성경찰관이 일부인 여성경찰관을 동료로써 인식하고 있는가?라는 다소 회의적인 물음에서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남성경찰들이 인식하고 있는 여성경찰에 대한 동료신뢰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특히 연령, 결혼여부, 계급, 재직기간. 근무기관, 근무부서 등에 따라 일정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동료신뢰를 정서적 신뢰와 인지적 신뢰로 구분하고 그 영향요인을 탐색함에 있어서 개인관련 특성, 조직문화적 관련 특성, 여성경찰에 대한 특성(남성경찰의 인식)으로 구분하여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동료신뢰 영향요인 분석 결과 특이할 만한 점은 여성경찰과 근무경험 유무는 동료신뢰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경찰조직문화 중 양가적 성차별의 하위요소인 적대적 성차별은 인지적 신뢰에 부(-)적 영향력을 보인 반면에, 온정적 성차별은 정서적 신뢰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양가적 성차별을 이루는 구성요소가 여성경찰에 대한 동료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이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경찰조직 내에서 남녀경찰관의 신뢰형성에 양가적 성차별이 미치는 영향을 좀 더 깊이있게 고찰해 보아야 함을 시사한다. 여성에 대한 남성의 온정적 혹은 우호적인 배려도 잘못된 성 인식에 근거하는 것이며, 적대감과 온화함이 공존하는 양가주의는 남성과 여성의 관점에 균형감 있게 근거한 것이기 때문에 공직여성에 대한 남성의 태도를 연구하는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여성경찰의 능력과 배려심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동료신뢰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남성경찰관이 여성경찰을 동료로서 신뢰하는가의 문제는 여성경찰의 능력과 배려 등이 전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남성경찰이 여성경찰을 동료로 인식함에는 남성경찰관 개인과 조직문화적 차원, 그리고 여성경찰에 대한 남성경찰의 인식 등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남녀경찰관의 신뢰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여자경찰을 동료로 인식함에 있어서 저해요인이 되는 인식 및 조직분위기를 개선하고, 동료간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업무성과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현실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함께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 영문
  • As most of the police work is dangerous and unexpected, trust on their co-workers is inevitable. For this reason, interpersonal trust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more than ever. How much do male police officers and female police officers trust each other as a partner, then? How many do male officers recognize female officers, who are part of the police organization as well, as their counterparts?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article arose from these skeptic questions.
    Analysis on the degree of co-worker trust on female officers recognized by male officers proved that there are constant differences in age, marital status, period of service, size of police organization, and department. In addition, this article divided variable of co-worker trust into emotional trust and cognitive trust and explored the influencing variables on them: personal characteristic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gender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the male officers. It is notable that previous experience of working with female officers did not influence the co-worker trust. When examining variables of ambivalent gender discrimination, the higher level of perception on compassionate gender discrimination they showed, the higher level of emotional trust on female officers they had. Perception on hostile gender discrimina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co-worker trust. It also appeared that the level of co-worker trust increased as the level of perception on female officers' capability and thoughtfulness.
    In conclusion, a variety of factors,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ale officer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olice organization, and perception on female officers by their male counterparts, influence the perception of male officers in recognizing female officers as their counterparts. Thus,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impediment such as personal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atmosphere to understanding female officers as their co-workers and counterparts and to seek the practical management plans for the police personnel based on trust among their co-work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업무수행 중 위험하고 돌발적인 상황에 자주 노출되는 경찰의 특성상 함께 근무하는 동료간의 신뢰가 필수적인 이유일 것이다. 경찰조직내 대인간의 신뢰가 중요하고 필요한 이 시점에 남녀경찰관은 서로를 동료로써 얼마나 믿고 의지하고 있는가? 과연 경찰구성원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남성경찰관이 일부인 여성경찰관을 동료로써 인식하고 있는가?라는 다소 회의적인 물음에서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남성경찰들이 인식하고 있는 여성경찰에 대한 동료신뢰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특히 연령, 결혼여부, 계급, 재직기간. 근무기관, 근무부서 등에 따라 일정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동료신뢰를 정서적 신뢰와 인지적 신뢰로 구분하고 그 영향요인을 탐색함에 있어서 개인관련 특성, 조직문화적 관련 특성, 여성경찰에 대한 특성(남성경찰의 인식)으로 구분하여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특이할 만한 점은 여성경찰과 근무경험 유무는 동료신뢰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양가적 성차별 중 적대적 성차별은 인지적 신뢰에 부(-)적 영향력을 보인 반면에, 온정적 성차별은 정서적 신뢰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양가적 성차별을 이루는 구성요소가 여성경찰에 대한 동료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이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경찰조직 내에서 남녀경찰관의 신뢰형성에 양가적 성차별이 미치는 영향을 좀 더 깊이있게 고찰해 보아야 함을 시사한다. 여성에 대한 남성의 온정적 혹은 우호적인 배려도 잘못된 성 인식에 근거하는 것이며, 적대감과 온화함이 공존하는 양가주의는 남성과 여성의 관점에 균형감 있게 근거한 것이기 때문에 공직여성에 대한 남성의 태도를 연구하는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여성경찰의 능력과 배려심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동료신뢰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남성경찰관이 여성경찰을 동료로서 신뢰하는가의 문제는 결국 여성경찰의 능력과 배려 등이 전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남성경찰이 여성경찰을 동료로 인식함에는 남성경찰관 개인과 조직문화적 차원, 그리고 여성경찰에 대한 남성경찰의 인식 등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남녀경찰관의 신뢰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여자경찰을 동료로 인식함에 있어서 저해요인이 되는 인식 및 조직분위기를 개선하고, 동료간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업무성과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현실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함께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주요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ㆍ근무환경적 특성에 따른 동료신뢰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경찰관에 대한 정서적 신뢰에 있어서는 재직기간이 오래되고 나이 많은 경찰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반면에, 인지적 신뢰는 재직기간이 비교적 짧은 하위 계급의 미혼 남성경찰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근무기관별로는 지구대의 인지적 신뢰가 가장 높았다. 이는 정서적 신뢰와 인지적 신뢰의 형성배경과 과정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져야 함과 특성별 신뢰형성 접근법이 달라야 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동료신뢰 영향요인 중 정서적 신뢰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권위에 대한 동조, 온정적 성차별, 여성경찰의 능력과 배려였으며, 인지적 신뢰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권위에 대한 동조, 적대적 성차별, 조직 양성평등 정도, 여성경찰의 능력과 배려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양가적 성차별 중 적대적 성차별은 인지적 신뢰에 부(-)적 영향력을 보인 반면에, 온정적 성차별은 정서적 신뢰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양가적 성차별을 이루는 구성요소가 여성경찰에 대한 동료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이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경찰조직 내에서 남녀경찰관의 신뢰형성에 양가적 성차별이 미치는 영향을 좀 더 깊이있게 고찰해 보아야 함을 시사한다.
    이렇듯 남성경찰관이 여성경찰을 정서적 또는 인지적으로 신뢰하여 동료로 인식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찰조직은 인사관리적인 차원에서 남성경찰관들이 여성경찰을 동료로 인식할 수 있도록 남녀경찰의 신뢰향상을 위한 실질적 대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색인어
  • 남녀경찰관, 동료신뢰, 양가적 성차별, 경찰조직의 양성평등, 인적자원관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