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4305&local_id=10084863
엘레우시스 비의의 기원: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와 이집트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엘레우시스 비의의 기원: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와 이집트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오흥식(서강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7042393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2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논문의 목표는 아테네의 ‘엘레우시스 비의’의 기원이 청동기 시대 이집트에 있었음을 문헌적, 고고학적, 어원적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제시하는 데에 있다. 기원전 14세기 전반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에 의해 그 비의가 이집트로부터 받아들여져 그리스의 엘레우시스에 확립되었을 개연성을 제시하려 한다. 엘레우시스 비의(Ἐλευσίνια Μυστήρια)는 고대 그리스에서 데메테르 여신의 숭배를 위해 매년 열린 제례다. 이 비의는 고전기 그리스의 비의 종교들 중에서도 가장 유명하였고 후에는 로마에까지 퍼진 중요한 축제다.
    엘레우시스 비의는 작은 비의와 큰 비의가 있는데, 입교식인 작은 비의를 거친 자들만이 큰 비의에 참석할 수 있었는데, 그들은 엘레우시스에 있는 텔레스테리온(Τελεστήριον)이라는 큰 홀에 들어가서 가장 중요한 의식을 행하였다. 참가자들은 그곳에서의 의식을 비밀로 지켜야 했고 폭로할 경우에는 사형에 처해졌다. 그런데 단편적인 내용들이 전해졌고 학자들은 이를 근거로 비의의 내용을 추정하고 있다. 그 내용은 크게는 사후의 행복한 삶과 관련된 것이다.
    엘레우시스 비의가 기원한 시기를 학자들은 청동기 시대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는 데에 거의 동의하고 있지만, 기원한 장소에 관해서는 그리스 본토설(Walter Burkert, Martin P. Nilsson), 트라키아설(George E. Mylonas), 크레타설(Charles Picard), 이집트설(Paul Foucart)이 있다. 그런데 일찍이 󰡔엘레우시스 비의(Les Mystères d’Éleusis)󰡕(1914)라는 책으로 엘레우시스 비의에 관한 연구의 문을 열어 놓았던 폴 푸카르는 그 비의의 기원지가 이집트라고 기록한 그리스의 고대전설은 논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논자는 그 동안의 고고학적 증거, 언어학적 증거로 보아, 고대 그리스인들의 기록에 신빙성이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오도로스가 상세히 이를 다루고 있는데, 그 중 한 구절에서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가 엘레우시스에 데메테르의 입교식을 시작하고 비의(τὰ μυστήρια)를 확립하였는데, 이는 그가 이집트로부터 들여온 의식이다”고 기술하고 있다. 디오도로스의 이러한 기록을 직·간접적으로 뒷받침해주는 다른 그리스 저자들의 기록들이 있다. 󰡔파로스 비문󰡕도 기원전 14세기 전반에 에렉테우스 치세에 그 비의가 시작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아폴로도로스(3.14.7)도, 엘레우시스에 그 비의가 확립된 시기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에렉테우스의 아버지 판디온의 치세 때, 데메테르 여신이 엘레우시스에 왔음을 기록하고 있다. 헤로도토스(2.171.1-3)는 엘레우시스 이외의 지역에 이시스 제례가 도입되었음을 기록하고 있는데, 다나오스의 딸들이 이집트로부터 그리스로 도래―󰡔파로스 연대기󰡕에 따르면 그 때는 1511/10년이다―하여 데메테르 축제를 확립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고고학적으로는, 엘레우시스 분묘에서 기원전 9, 8세기에 속하는 이시스의 스카랍과 상징물이 발굴되었는데, 이는 고대 그리스인들(헤로도토스 2.156.5, 디오도로스 1.96.5)의 말대로 데메테르가 바로 이시스라는 기록의 신빙성을 뒷받침해준다. 그리고 청동기 시대 미케네 분묘에서 금박을 입힌 저울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미케네 그리스에서 이집트의 영혼의 무게 재기와 그 대상인 죽은 장의 재판에 관한 지식이 있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고 한다,
    ‘비의(mystery)’로 번역되는 μυστήριον의 어원을 엘레우시스 비의의 그리스 기원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인도유럽어 어근 ‘mu’로 보고 있는데, “입술을 닫다” 또는 “말이 없는”이라는 뜻을 지니며 그리스어로는 ‘조용히 하다’라는 뜻의 μύω가 있다. 그런데 K. T. Rydström은 Ḥry sštȜ라는 직위의 성격을 구명하는 글에서 “štȜ 그리고 sštȜ는 고왕국 이후 종교영역에 제한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신왕국에서 “직함 Ḥry sštȜ은 신전 관리들 사이에서 자주 발견되고 이로 미루어 보아 사제 관리로서 여겨질 수 있겠고, 아비도스의 오시리스 비의에서 (sštȜ n nb Ȝbdw), 신을 치장하는 자는 Ḥry sštȜ의 직능을 지닌 고위 사제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집트 종교 전문가 S. Mayassis에 따르면, μυστήριον은 이집트어 어근 √stȜ에서 온 것이었다. 이 어근에 명사화 접두어 또는 처소격 접두어 m-을 붙이면 m stȜ(“비밀히”)이 되는데, Ȝ의 음가가 중왕국 때에는 ‘ㄹ’이었으나 신왕국 중기까지는 ‘ㄹ’과 ‘ㅏ’로 병존하다가 중기 이후부터 ‘ㅏ’의 음가만을 지니게 되었다는 버날의 주장을 받아들이면, μυστήριον의 어원은 이집트어다.
    고대 그리스 저자들의 기록에 따르면, 엘레우시스 비의가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 때인 기원전 14세기에 확립되었다. 이 시기에 그리스와 이집트 사이에 교류를 보여주는 고고학 증거가 있다. 이집트인들이 기원전 1530년 경 힉소스를 쫓아내고 투트모세 3세(1479-1425 BC)의 치세에 이르러 해외로 진출하여 남으로는 누비아, 서로는 리비아, 북으로는 팔레스타인, 시리아에 이른다. 조지 워싱턴 대학교의 이집트 고고학 교수인 에릭 클라인은 2014년에 출간된 자신의 책에서 그 파라오의 당시에 제작된 비문을 근거로 이집트의 종주권이 크레타(Kftỉw, 카프투)와 그리스 본토(Ḥɜw nbwt, *하우 네부트)에도 미쳤던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아멘호텝 3세(1390-1352 BC)의 장례전 비문 기록은 두 지역의 교류의 관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아멘호테프 3세의 외교사절이 방문한 도시들의 이름이 그 파라오의 장례전 기단에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1900년경부터 최근까지 아멘호텝 3세의 왕명이 기록된 파이앙스 명판(名板)이 에게해 권에서 그리스 본토의 미케네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발굴되었다. 그리고 미케네 그리스의 도기 LHIIIA(1470-1370 BC)와 LHIIIB(1370-1210 BC)가 나일강 연안의 도시들인 엘 아마르나, 테베 등지에서 발굴되었다.
    기원전 9, 8세기에 속하는 이시스의 여신의 스카랍과 상징물이 엘레우시스에서 발굴된 것, μυστήριον의 어원일 개연성이 가장 높은, 종교 특히 비의와 관련된 이집트어 m stȜ(m str, “비밀히”), 파라오 아멘호텝 3세의 대사들이 방문한 도시명들 중에 그리스 본토를 포함하는 에게해권의 도시들이 포함되어 있고 그 도시들의 일부(미케네도 포함)에서 그 파라오의 파이앙스 명판이 발굴된 것, 미케네 그리스의 도기들이 나일강 연안의 도시들에서 발굴된 것. 이 모든 것을 고려하면, 기원전 14세기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 치세에 확립된 엘레우시스 비의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기록대로 이집트에서 들여온 종교의식일 개연성이 대단히 높다.
  • 영문
  • Abstract
    The origin of the Eleusinian Mysteries:
    Erechtheus the Athenian king and Egypt

    Oh, Hungshik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ursue the origin of Eleusinian Mysteries (Ἐλευσίνια Μυστήρια) in combination of documentary, archaeological, linguistic proofs. It will be suggested that the Mysteries were established in Eleusis in the reign of Erechtheus the Athenian king in the first half of the fourteenth century. The Mysteries, which pursued the happy life after death, is the ritual for Demeter.
    It has been generally agreed th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Mysteries in Eleusis dated back to the Mycenaean age. But there are several opinions about the country of origin of the Mysteries: Greece, Thracia, Crete, and Egypt. However, Paul Foucart insisted in his book, Les Mystères d’Éleusis (1914) that the ancient Greek writers cannot be denied who said that the country of origin of the Mysteries was Egypt. A century flies after the publication of his book. I try to suggest in the light of new archeological, linguistic proofs that the reports of the ancient Greek writers about the country of origin of the Eleusinian Mysteries are reliable.
    According Diodorus (1.29.2), “he [Erechtheus] instituted the initiatory rites of Demeter in Eleusis and established the mysteries(τὰ μυστήρια), transferring their ritual from Egypt.” There are the reports of the ancient Greek writers that support Diodorus directly or indirectly. Parian Marble says “[From when Eumolpus _____] instituted the mysteries in Eleusis and made known the works of the [father of M]ousaios, [11______, when Erechthe]us son of Pandion [was king of Athens].” We can deduce the time of the institution of the Mysteries as the first half of the fourteenth century BC in the context of the Parian Marble.
    Both Diodorus (1.29.4) and Herodotus (2.156.5) say that Demeter was the Egyptian goddess of Isis. Herodotus (2.171.3) says that “The daughters of Danaus were those who brought this rite (the rite of Demeter which the Greeks call Thesmophoria) out of Egypt and taught it to the Pelasgian women”. According to the Parian Marble, Danaus and his daughters arrived in Greece from Egypt in the year 1511/10 BC.
    Archaeologically, Egyptian scarabs and a symbol of Isis were found in a tomb at Eleusis of the ninth or eighth century BC, it supports the report of the ancient Greek writers that Demeter is Isi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etymology of μυστήριον (mystery) is the Indo-European root ‘mu’, which means “to close the lips” or stay “mute”, and there is a Greek verb μύω, which means “intr. close, be shut, of the eyes, trans. close, shut.” However, According to the specialist on Egyptian religion S. Mayassis, the word comes from the Egyptian root √stȜ (cognate to the Semitic root √str “cover, veil, hide”). If the locative preposition m- is added to the root, m stȜ (m str) “in secret” is attested. (According to Martin Bernal, the Ȝ "double aleph" was originally pronounced as a liquid r or I, and the process through which Ȝ lost these consonantal values was not complete until the middle of the New Kingdom.)
    Egyptians expelled the Hyksos around 1530 BC and Thutmose III expanded their influential region beyond Egypt. According to the inscriptions of his achievements, Crete (Kftỉwu) and the Aegean (Ḥɜw nbwt) paid tributes to Egypt. The pharaoh, about the time when the Eleusinian Mysteries was established, was Amenhotep III (1390-1352 BC). According to the inscriptions of the base of his statues from his funerary temple, the pharaoh sent his ambassadors to the Aegean cities, and the faience plaques with the cartouche of Amenhotep III have been discovered in Cnossos, Phaistos, and Mycenae which were referred in the inscriptions.
    Putting documentary,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proofs together, it is highly probable that Erechtheus instituted Eleusinian mysteries, transferring their ritual from Egyp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논문의 목표는 고대 그리스의 ‘엘레우시스 비의’의 기원이 이집트에 있었음을 문헌적, 고고학적, 어원적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제시하는 데에 있다. 기원전 14세기 전반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에 의해 그 비의가 이집트로부터 받아들여져 그리스의 엘레우시스에 확립되었을 개연성을 제시하려 한다. 사후의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엘레우시스 비의(Ἐλευσίνια Μυστήρια)는 고대 그리스에서 데메테르 여신의 숭배를 위한 제례다.
    엘레우시스 비의가 기원한 시기를 학자들은 청동기 시대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는 데에 거의 동의하고 있지만, 기원지에 관해서는 그리스 본토설, 트라키아설, 크레타설이 있다. 그런데 일찍이 󰡔엘레우시스 비의(Les Mystères d’Éleusis)󰡕(1914)라는 책으로 엘레우시스 비의에 관한 연구의 문을 열어 놓았던 폴 푸카르(Paul Foucart)는 그 비의의 기원지가 이집트라고 기록한 고대 그리스 저자들의 글은 논박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책이 출간된 지 한 세기가 흘렀다. 논자는 그 동안의 고고학적 증거, 언어학적 증거로 보아, 고대 그리스인들의 기록에 신빙성이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오도로스(1.29.2)는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가 엘레우시스에 데메테르의 입교식을 시작하고 비의(τὰ μυστήρια)를 확립하였는데, 이는 그가 이집트로부터 들여온 의식이다”고 기술하고 있다. 디오도로스의 이러한 기록을 직·간접적으로 뒷받침해주는 다른 그리스 저자들의 기록들이 있다. 󰡔파로스 비문󰡕도 기원전 14세기 전반에 에렉테우스 치세에 그 비의가 시작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헤로도토스(2.171.1)는 테스모포리아 축제라고 부르는 데메테르 축제도 다나오스의 딸들이 이집트에서 들여온 것이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때는 「파로스 연대기」에 따르면 기원전 1511/10년이다. 그리고 헤로도토스(2.156.5)와 디오도로스(1.29.4)는 모두 데메테르가 이집트의 이시스 여신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고고학적으로는, 엘레우시스 분묘에서 기원전 9, 8세기에 속하는 이시스의 스카랍과 상징물이 발굴되었는데, 이는 데메테르가 바로 이시스라는 그리스인들의 기록의 신빙성을 뒷받침해준다. ‘비의(mystery)’로 번역되는 μυστήριον의 어원을 학자들은 대체로 인도유럽어 어근 ‘mu’로 보고 있는데, “입술을 닫다” 또는 “말이 없는”이라는 뜻을 지니며 그리스어로는 동사 μύω가 있다. 그런데 이집트 종교 전문가 S. Mayassis에 따르면, μυστήριον은 이집트어 어근 √stȜ에서 온 것으로, 이 어근에 명사화 접두어 또는 처소격 접두어 m-을 붙이면 m stȜ(mstr, “비밀히”)이 된다는 것이다. Ȝ의 음가가 중왕국 때에는 ‘ㄹ’이었으나 신왕국 중기까지는 ‘ㄹ’과 ‘ㅏ’로 병존하다가 중기 이후부터 ‘ㅏ’의 음가만을 지니게 되었다는 버날의 주장을 받아들이면, μυστήριον의 어원은 이집트어다.
    이집트인들이 기원전 1530년 경 힉소스를 쫓아내고 투트모세 3세의 치세에 이르러 이집트 밖으로 영역을 넓혔고, 에릭 클라인 교수는 그 파라오의 당시에 제작된 비문을 근거로 이집트의 종주권이 크레타(Kftỉw, 카프투)와 그리스 본토(Ḥɜw nbwt, *하우 네부트)에도 미쳤던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엘레우시스 비의가 확립되었을 시기의 파라오 아멘호테프 3세(1390-1352 BC)의 장례전 비문 기록에는 이집트 사절이 방문한 곳들에는 크레타와 그리스 본토의 도시들이 포함되어 있고, 1900년경부터 최근까지 아멘호테프 3세의 왕명이 기록된 파이앙스 명판이 장례전 비문에서도 언급된 크노소스, 파이스토스, 미케네 등지에서 발굴되었다. 그리고 미케네 그리스의 도기 LHIIIA와 LHIIIB가 나일 강 연안의 고대 도시들에서 발굴되었다.
    이러한 고고학적, 언어학적 증거들을 종합하면, 기원전 14세기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 치세에 확립된 엘레우시스 비의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기록대로 이집트에서 들여온 종교의식일 개연성이 대단히 높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기원전 1세기 역사가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이집트 사이스 출신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가 이집트로부터 이시스 제례를 도입하여 데메테르 여신을 중심으로 하는 엘레우시스 비의가 확립되었다(고대 그리스 저자들은 이시스가 곧 데메테르라고 기록하고 있다). 기원전 3세기 기록인 󰡔파로스 비문󰡕도 기원전 1400년 조금 지나 에렉테우스 치세에 그 비의가 시작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아폴로도로스도, 엘레우시스에 그 비의가 확립된 시기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에렉테우스의 아버지 판디온의 치세 때, 데메테르 여신이 엘레우시스에 왔음을 기록하고 있다. 헤로도토스는 엘레우시스 이외의 지역에 이시스 제례가 도입되었음을 기록하고 있는데, 다나오스의 딸들이 이집트로부터 그리스로 도래―󰡔파로스 연대기󰡕에 따르면 그 때는 1511/10년이다―하여 데메테르 축제를 확립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리스인들에게 그리스의 테메테르 여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이집트의 이시스 여신의 스카랍과 상징물(기원전 9, 8세기에 속한다)이 엘레우시스 분묘에서 발굴되었고, ‘비의(mystery)’로 번역되는 μυστήριον의 어원을 “입술을 닫다” 또는 “말이 없는”이라는 뜻을 지닌 인도유럽어 어근 ‘mu’로 보고 있지만(그리스어의 μύω), 이집트어 접두어 m + 어근 √stȜ에서 온 것으로, m str(“비밀히”)로부터 왔다는 이집트 고대 종교의 전문가 S. Mayassis의 주장이 개연성이 더 크다.
    디오도로스와 헤로도토스는 기원전 1400년 무렵 그리고 그 이전 그리스와 이집트의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욱이 디오도로스는 청동기 시대 아테네는 이집트 사이스의 식민지라고 기술하고 있는데(1.28.4), 이는 그리스인들의 기록을 보면 어느 정도 가능성이 있다. 보통 이오니아인들의 큰집이 아테네라고 여겨지고 있지만, 고대 그리스 저자들의 기록에 따르면 청동기 시대에 아테네인과 이오니아인(청동기 시대에 그리스 본토에 있었던, 이온을 시조로 모시는 사람들)은 혈연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그리스인들의 문헌 기록에 따라서 아테네가 이집트(사이스)와 각별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면,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가 엘레우시스 비의를 이집트로부터 도입하였다는 그리스인들의 기록에는 개연성이 있다. 게다가 이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기원전 14세기 파라오 아멘호텦 3세 때 에게해권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이집트 측 고고학 증거들이 있고, 이집트 나일 강변의 고대 도시들에서 발굴된 LHIIIA와 .LHIIIB 도기라는 미케네 그리스 측 고고학 증거들이 있다.
    이러한 고고학적, 언어학적 증거들을 종합하면, 기원전 14세기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 치세에 확립된 엘레우시스 비의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기록대로 이집트에서 들여온 종교의식일 개연성이 대단히 높다.

    2. 활용방안
    엘레우시스 비의의 기원이 청동기 시대 이집트의 이시스 숭배에 있다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기록이 믿을 만한 것이라면, 이는 한국의 연구자들로 하여금 소위 그리스 신화로 알려져 있는, 그리스 청동기 시대와 관련된 고대 그리스인의 기록을 사료로서 진지하게 대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러한 기록들이 진지하게 다루어지지 않은 이유는 유럽중심주의적 시각 때문일 것이다. 그러한 기록에 따르면, 청동기 시대 미케네 문명의 형성에 이집트, 페니키아 등지의 영향이 막대하였다. 서양인들에게 서양문명의 모태라고 여겨지는 고대 그리스 문명이 이집트와 페니키아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되었다는 것을 대부분의 유럽 학자는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인정하기가 껄끄러웠을 것이다.
    연구자는 <오리엔트 문명사>라는 과목명으로 오랫동안 학부생들에게 강의를 해왔고, 특히 청동기 시대에, 한편으로 그리스, 다른 한편으로 이집트‧페니키아‧히타이트 사이의 관계사에 초점을 맞추어 가르쳐오고 있다.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쓰게 된 이 논문 「엘레우시스 비의의 기원: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와 이집트」는 청동기 시대의 그리스 문명이 이집트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임을 학부생들에게 하나의 사례로서 가르칠 수 있을 것이다. 학부생들에게 그리스 역사 연구, 특히 청동기 시대의 그리스 역사 연구에 서양 학자들의 유럽중심주의라는 것이 깔려 있음을 보여줄 수 있고, 역사적 사실에 관하여 그리고 역사적 진상에 관하여 학부생들에게 구체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엘레우시스 비의, 에렉테우스, 이집트, 아멘호텝 3세, 폴 푸카르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