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978&local_id=10088490
초·중등교육에서의 PBL을 위한 문제개발 및 튜터활동 전략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초·중등교육에서의 PBL을 위한 문제개발 및 튜터활동 전략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장경원(경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5925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2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교에서의 PBL 문제설계 및 튜터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PBL에 관심을 갖고 있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교사 2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0명의 교사들의 경험으로부터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PBL 문제를 개발할 때 주로 교육과정, 실제맥락, 학습자특성, 학습결과 등을 검토하였다. 즉,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수업을 통해 도달해야 하는 성취기준과 교과 내용을 살펴보았고, 초등학교나 융합 수업을 하는 경우에는 교과간의 관련성도 고려하였다. 실제 맥락 측면에서는 학생들이 문제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학교와 생활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인지, 학교의 주요 행사와 연계할 수 있는지 등을 고려하였다. 학습자 특성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수준과 이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주제인지 고려하였다. 학습결과 측면에서는 PBL을 통해 학생들이 지식습득 및 역량개발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문제를 개발할 때 수업과 관련된 기본자료(학생의 특성, 교과서, 성취기준, 학교 학사일정), PBL 연구자료들 (PBL 관련 도서, 논문, 연수자료들, 연수에 참여하여 개발한 문제들), 주제 관련 자료들(일상생활 에피소드, 주제 관련 홈페이지와 뉴스 기사, 영화 등의 동영상 자료, 주제 관련 책과 논문들), 동료교사 사례와 피드백(다른 교사의 사례, 동료교사의 피드백과 코칭) 등을 활용하였고, 이 중 동료교사의 사례와 피드백을 매우 중요한 자료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의 문제개발과정은 1) PBL 수업 단원이나 주제 선정, 2) 실제적 맥락을 위한 자료수집, 3) 문제시나리오 작성, 4) 문제 시나리오 검토, 수정 및 보완, 5) 완성 문제 시나리오 활용 후 수정 보완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단계인 단원과 주제를 선택할 때는 교육과정, 학교행사, 학생들의 관심사 등 매우 다양한 자료를 수집, 분석한 후 결정하였다. 문제개발을 위한 자료수집 및 분석 단계에서는 여러 출판사의 교과서 분석, 학생과 교사의 다양한 자료 검색 및 수집 활동을 하였다. 문제 개발 시에는 문제 사례들과 PBL 문제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문제 시나리오를 검토, 수정, 보완할 때는 다른 교사들과 협의하였고, 교사 스스로 문제해결과정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넷째, PBL 과정에서 교사가 해야하는 역할은 7가지로 정리되었다. 즉, 1) PBL 안내, 2) 팀편성 및 운영, 3) 분위기 형성, 4) 학습방법조력, 5) 문제해결과정조력, 6) 전략적 평가, 7) 결과물 정리이다. 7가지 역할 중 결과물 정리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역할이 PBL 수업의 처음부터 끝까지 동시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PBL 과정 안내는 PBL 수업 초기에 이루어지지만, 학생들이 문제해결하는 과정 중 해당 과정을 충분히 그리고 의미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안내와 설명이 이루어졌다. 초중등학교에서의 PBL은 고등교육과 비교할 때 많은 부분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을 충실히 다룰 수 있는지 고려하였고, 교사들의 피드백 내용도 구체적이었고, 과정에 대한 안내도 상세하였다. 또한 학생들과의 관계나 수업분위기 형성 측면에서도 교사의 역할이 컸다. 이러한 내용은 초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PBL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보다 체계적, 구체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등교육 맥락에서의 PBL 전략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초중등학교에서의 PBL이 성공적으로 실행, 확대, 보편화되기 위해서는 초중등학교 맥락을 충분히 고려하여 문제개발과 튜터 역할과 관련하여 교사들을 위한 다양한 연수, 안내서, 사례 등이 제시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을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aborate specific strategies for PBL problem design and tutor activitie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20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terested in PB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major studies derived from the experiences of 20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examined the curriculum, real issues related with learning contents, learn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outcomes when developing the PBL problems. In other words, in terms of curriculum, they checked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curriculum contents that should be reached through lessons, and also considered the interdisciplinarity in convergence class. In terms of real issues, they considered whether the students could have a sense of ownership of the problem, whether it could happen in the school and real life environment, and whether it could be linked with the school events. In terms of learner characteristics, they studied the level of students and whether they could be of interest. In terms of learning outcomes, they confirmed whether students could acquire knowledge and develop competencies through PBL. Second, they used lesson materials(textbook, school events, etc.), research outputs of PBL, topic related materials, peer teacher's PBL cases and feedback when they developed the problem. They especially recognized peer teachers' problem cases and feedback as very important sources. Third, teachers' problem development process consists of 1) PBL class unit or topic selection, 2) collection of data for real contexts, 3) writing problem scenario, 4) reviewing and correcting problem scenario, and 5) using and revising problem scenario. When choosing the unit and topic, they collected and analyzed a variety of data such as curriculum, school events, and students' interests. At the time of problem development, they considered the problem samp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BL problem. When reviewing, modifying, or supplementing the problem scenario, they discussed with other teachers and directly simulated the problem-solving process. Fourth, the roles that teachers should play in the PBL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BL orientation, 2) Team formation and operation, 3) Atmosphere formation, 4) Learning method facilitation, 5) Problem solving process facilitation, 6) Strategic evaluation, and 7) Debriefing learning outcomes. Most of the seven roles took plac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PBL class. This suggests that teachers need to be more systematic and concrete in order for PBL to be successful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hat they should not use the PBL strategy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Thus, in order for implementing and expanding PBL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context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o present various training programs, guides, and examples for teachers about problem development and role of tu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specific guidelines for teach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에서의 PBL 문제설계 및 튜터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들을 교사들의 경험을 토대로 제시한 것이다. PBL 수업 운영 경험이 있는 20명의 교사들의 경험으로부터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PBL 문제를 개발할 때 교육과정, 실제성, 학습자특성, 학습결과 등을 주로 살펴보았다. 즉,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수업을 통해 도달해야 하는 성취기준과 교과 내용을 살펴보았고, 초등학교나 융합 수업을 하는 경우에는 교과간의 관련성도 고려하였다. 실제성 측면에서는 학생들이 문제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학교와 생활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인지, 학교의 주요 행사와 연계할 수 있는지 등을 고려하였다. 학습자 특성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수준과 이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주제인지 고려하였다. 학습결과 측면에서는 PBL을 통해 학생들이 지식습득 및 역량개발을 할 수 있는지 고려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문제를 개발할 때 수업과 관련된 기본자료(학생의 특성, 교과서, 성취기준, 학교 학사일정), PBL 연구자료들(PBL 관련 도서, 논문, 연수자료들, 연수에 참여하여 개발한 문제들), 주제 관련 자료들(일상생활 에피소드, 주제 관련 홈페이지와 뉴스 기사, 영화 등의 동영상 자료, 주제 관련 책과 논문들), 동료교사 사례와 피드백(다른 교사의 사례, 동료교사의 피드백과 코칭) 등을 주요 자료로 활용하였고, 이 중 동료교사의 사례와 피드백을 매우 중요한 자료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의 문제개발과정은 1) PBL 수업 단원이나 주제 선정, 2) 실제적 맥락을 위한 자료수집, 3) 문제시나리오 작성, 4) 문제시나리오 검토, 수정 및 보완, 5) 완성 문제시나리오 활용 후 수정 보완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단계인 단원과 주제를 선택할 때는 교육과정, 학교행사, 학생들의 관심사 등 매우 다양한 자료를 수집, 분석한 후 결정하였다. 문제개발을 위한 자료수집 및 분석 단계에서는 여러 출판사의 교과서 분석, 학생과 교사의 다양한 자료 검색 및 수집 활동을 하였다. 문제시나리오 작성시에는 샘플문제와 PBL 문제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문제시나리오를 검토, 수정, 보완할 때는 다른 교사들과 협의하였고, 교사 스스로 문제해결과정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넷째, PBL 과정에서 교사가 해야하는 역할은 크게 7가지로 구분된다. 즉, 1) PBL 안내, 2) 팀편성 및 운영, 3) 분위기 형성, 4) 학습방법조력, 5) 문제해결과정조력, 6) 전략적 평가, 7) 결과물 정리이다. 7가지 역할 중 결과물 정리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역할이 PBL 수업의 처음부터 끝까지 동시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PBL 과정 안내는 PBL 수업 초기에 이루어지지만, 학생들이 문제해결하는 과정 중 해당 과정을 충분히 그리고 의미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안내와 설명이 이루어졌다. 초중등학교에서의 PBL은 고등교육과 비교할 때 많은 부분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을 충실히 다룰 수 있는지 고려하였고, 교사들의 피드백 내용도 구체적이었고, 과정에 대한 안내도 상세하였다. 또한 학생들과의 관계나 수업분위기 형성 측면에서도 교사의 역할이 컸다. 이러한 내용은 초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PBL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보다 체계적, 구체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등교육 맥락에서의 PBL 전략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초중등학교에서의 PBL이 성공적으로 실행, 확대, 보편화되기 위해서는 초중등학교 맥락을 충분히 고려하여 문제개발과 튜터역할과 관련하여 교사들을 위한 다양한 연수, 안내서, 사례 등이 제시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가 교사들을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의 결과물인 초・중등교육을 위한 PBL 문제설계 및 튜터 활동 전략은 학문적・실용적 측면에서 국내 초・중등학교에서의 PBL 정착 및 확산을 위해 활용할 것이다. 구체적인 활용 계획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문적 측면에서는 첫째, PBL 문제설계 및 튜터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공할 것이다. PBL을 실천하기 원하는 많은 초중등학교 교사들에게 우리나라의 교육환경에 부합한 PBL 운영 전략과 사례를 제시할 것이다. 둘째, 다른 문제해결방법들(problem solving methods)과의 비교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다. 국내・외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액션러닝(Action Learning), 팀기반학습(Team Based Learning), 프로젝트학습(Project Based Learning) 등과 함께 PBL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각 방법들이 갖는 특성과 실천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특히 초·중등학교에서 각각의 방법을 실행한 결과를 비교하는데 유용한 자료원이 될 것이다. 셋째, PBL을 위한 구체적인 교사역량을 제시할 것이다. PBL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교수자의 역량 및 역량 개발 전략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교사전문성 개발 관련 후속 연구를 촉진할 것이다. 즉, PBL을 운영하는 교사들과 전통적 수업을 수행하는 교사들 간의 전문성 개발 노력의 차이, 교사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인 Lesson Study 등과의 연계 운영 방법 등이 연구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초·중등학교의 PBL 운영 사례를 제시할 것이다. 초・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교과의 PBL 운영 사례는 학교 현장 및 연구자들이 PBL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데 실제적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다음으로 실용적 측면에서는 첫째, 교사 대상 연수 등에서 초·중등학교의 PBL 수업 설계 및 운영을 위한 실제적 가이드라인 제시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은 교사들이 PBL을 실천하는데 구체적인 도움을 제공하여 교수자들의 실천 의지와 자신감도 높일 것이다. 둘째, 차별화된 PBL로 우리 상황에 맞는 PBL 브랜드를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현재 대구의 5개 중학교 등이 PBL 연구학교로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제시된 PBL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자료에 기반하여 PBL 연구학교 등이 우리 교육현실에 맞는 새로운 브랜드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셋째, PBL 보급을 위한 현직 및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문제설계 및 튜터활동 전략은 모델은 초・중등학교의 현직 및 예비교사들이 PBL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이다. 넷째, PBL을 보급할 역량있는 현장 교사 전문가 양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PBL을 위한 역량 있는 교사들을 양성하게 되면 이들은 학교 현장에서 PBL 전도사 역할을 하게 되어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 전파에 공헌할 것이다.
  • 색인어
  • 문제중심학습. 문제설계, 튜터활동, 실천적 지식, 초등교육, 중등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