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개발 및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Development of cooperative learning model based on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its impact on social presence, learning motivation, and loyalty of university studen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A8-2018S1A5A8026816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2 년 (2018년 05월 01일 ~ 2020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은주
연구수행기관 을지대학교& #40;성남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Moodle은 Modular Object Oriented Dynamic Learning Environment의 약어임. Moodle은 일반적인 학습에서 발생하는 강의, 게시판, 공지사항 등과 같은 활동들을 온라인으로 구축할 수 있게 도와주고 있음. LMS에서 많은 오픈소스 솔루션들이 제공되고 있는데, Moodle은 그러한 오픈소스 중 하나로 설치가 쉽고 다양한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도구로 평가받고 있음. 최근들어 우리나라는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를 활용한 여러 가지 온라인 교육방법들이 교육현장에 확산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온라인학습의 경우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관련된 시스템 설계 및 효과연구가 대부분이며,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개발 및 이에 대한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의 수업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임. 특히, 교실 학습이 아닌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의 연구라 하더라도 교수자가 온라인상에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자료를 기반으로 한 학습에 치우치고 있음. 이에 교수자가 자료를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 간 상호작용성을 높일 수 있는 협동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동기를 높이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가 필요함.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은 다른 시스템에 비해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학습자의 편의성과 유연성을 극대화한 모듈화 구조임. 대표적으로 미국의 UCLA는 Moodle을 이용하여 대학 전체의 이러닝 포털로 활용하고 있음.

    #Moodle학습관리시스템을 대학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커뮤니티 소속감증진에 도움을 주어, 자신이 받는 교육에 대한 애착 및 충성심을 기대할 수 있음. 특히, 협동학습 기능의 유연성에 의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수정하고 협동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최근 이러닝 학습 트랜드에서 매우 중요함.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은 구성주의 방식을 따르는 LMS이므로 학습자들의 참여를 최대한 이끌어낼 수 있으며, 특히, 게시판, 토의, 평가 기능의 컨텐츠 등을 제공하고 있어서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따라서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여 온라인 협동학습 효과성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 기대효과
  •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개발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협동학습에 필요한 Moodle의 기능을 찾고 그 기능을 이용하여 학습자 간 협동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화된 모형을 교육현장에 제공할 수 있음.
    특히, 수업적용에 따른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온라인 학습의 효과성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임.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개발과 그 효과연구는 온라인 교육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에서 교수자의 효과적인 수업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교현장에서 협동학습의 중요성과 온라인 학습에 있어서 Moodle의 긍정적 측면으로 사용 확산을 기대하고자 함.

    ☞ 학문적 기여
    첫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개발로 구성주의적 관점의 온라인학습시스템에 대한 체계적 수업모형 제공
    둘째, 학술지, 학회 발표 등을 통해 연구 결과 공유를 통해 온라인학습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 제공

    ☞ 대학교육 현장에 대한 기여
    첫째, 설치가 쉽고, 단순한 인터페이스로 교육현장에의 적용 가능성 증가
    둘째, 온라인 협동학습모형 개발을 통해 대학생들의 구성주의적 사고 증진
    셋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개발을 통해 학습동기, 사회적 실재감, 충성도 증진과 높은 학업 성취도 기대
    넷째, 학습자의 관점에서 학습자들의 편리성과 접근성을 높여주고 학습자들의 다양한 요구 및 학습양식을 충족시켜주며,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증진
    다섯째, 경제적인 측면에서 오픈소스의 대학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은 경비절감과 학습운영의 효율성을 급격하게 향상
    여섯째, 단순히 대학교육 현장에서 온라인 요소를 활용하는 것 이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각 환경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서 블랜디드 러닝 활성화에 기여
    일곱째, 교수자의 관점에서 수업내용을 다양한 매체와 방법을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학습환경을 설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수업만족도 기대

    ☞ 사회적 기여
    첫째, 인터넷과 컴퓨터의 활용으로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는 학습환경 조성
    둘째, 인터넷과 IT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를 활용한 온라인 교육 확산에 기여
    셋째, 일반인도 설치 및 활용이 쉽고 오픈소스로서 경제적, 교육적 측면에서 만족할 만한 수준의 서비스 제공으로 온라인 학습에 대한 긍정적 교육효과성 기대

    ☞ 후속 연구와의 연계
    첫째, 본 연구는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다양한 학습기능 중 협동학습모형 외에 자기주도학습모형 개발 연구
    둘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다양한 교수학습전략에 관한 연구
    셋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넷째, 교과특성에 따른 다양한 수업설계에 관련된 연구
    다섯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적용에 따른 학습자 관련 다양한 변인 연구
  • 연구요약
  • # 연구의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로 Moodle 사이트로 구축하여 구현해 보는 것에 있음. 또한 수업구현에 따른 Moodle학습관리시스템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 1차년도에는 Moodle학습관리시스템에서 협동학습의 구성이 되는 기능요소들을 적용한 협동학습모형을 개발하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임. 2차년도에는 1차년도 결과를 토대로 실제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콘텐츠를 제작하여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교육 현장에 구성주의적 관점의 온라인학습시스템에 대한 체계적 수업모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해 대학생들의 구성주의적 사고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음. 나아가 설치 및 활용이 쉽고 오픈소스로서 경제적, 교육적 측면에서 온라인 학습에 대한 긍정적 교육효과성을 기대할 수 있음.

    # 1차년도 연구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개발 및 시스템 구축 연구

    ☞ 연구내용
    1. 협동학습모형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및 협동학습모형 중에서 절차가 언급된 모형 분석을 통해 협동학습의 주요요소와 순서를 결정
    2. Moodle학습관리시스템에서 협동학습의 주요요소 기능 분석
    3.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설계
    4, 모형설계에 따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구축
    5. 평가단계로 전문가 대상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설계에 대한 평가

    ☞ 연구방법
    1. 문헌분석을 통한 협동학습모형의 체계마련
    2. Moodle학습관리시스템의 협동학습 환경 분석
    3.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설계
    4, 모형설계에 따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구축
    5.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설계에 대한 전문가 평가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

    # 2차년도 연구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개발된 콘텐츠에 대한 대학생 평가와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 실행에 따른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연구내용
    1.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대한 문헌연구
    2. 실제로 구축된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구현
    3.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콘텐츠에 대한 대학생 평가
    4.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 실행에 따른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대한 효과성 검증
    5. 평가 결과 기반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수정
    6. 최종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개발

    ☞ 연구방법
    1. 문헌절차를 통한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2. Moodle사이트 구현을 위한 시스템 환경 구축과 파워포인트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 후 자이닉스사의 프레스토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동영상으로 만들고 Moodle사이트에 업로드
    3.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 콘텐츠 대학생 평가결과 분석을 위해 SPSS 21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평가영역별 기술통계치 산출
    4.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 실행을 통해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대한 효과성 진단을 위해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실시
    5. 평가 결과 기반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수정
    6. 최종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개발 제안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연구의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로 Moodle 사이트로 구축하여 구현해 보는 것에 있음. 또한 수업구현에 따른 Moodle학습관리시스템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업 참여 전과 후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함. 1차년도에는 Moodle학습관리시스템에서 협동학습의 구성이 되는 기능요소들을 적용한 협동학습모형을 개발하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임. 2차년도에는 1차년도 결과를 토대로 실제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수업을 운영하여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의 수업 전과 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함.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교육 현장에 구성주의적 관점의 온라인학습시스템에 대한 체계적 수업모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해 대학생들의 구성주의적 사고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음. 나아가 설치 및 활용이 쉽고 오픈소스로서 경제적, 교육적 측면에서 온라인 학습에 대한 긍정적 교육효과성을 기대할 수 있음.

    # 1차년도 연구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개발 및 시스템 구축 연구

    ☞ 연구내용
    1. 협동학습모형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및 협동학습모형 중에서 절차가 언급된 모형 분석을 통해 협동학습의 주요요소와 순서를 결정
    2. Moodle학습관리시스템에서 협동학습의 주요요소 기능 분석
    3.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설계
    4, 모형설계에 따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시스템 구축
    5. 평가단계로 전문가 대상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설계에 대한 평가
    ☞ 연구방법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협동학습 모형의 선행연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 및 연대순으로 주요 요소를 분석하여 빈도가 높은 요소를 추출한다.
    둘째, 협동학습모형 중에서 절차가 언급된 모형의 협동학습 단계와 Moodle학습관리시스템에서 협동학습 기능요소 분석을 통해 협동학습의 주요 요소와 순서를 결정한다.
    셋째, Moodle을 이용하여 협동학습모형을 설계하고 전문가 평가를 실시한다.
    넷째, 설계된 협동학습모형 기반 Moodle학습관리시스템을 구현한다.
    다섯째, Moodle 학습관리시스템에서 협동학습 기능요소 분석을 통해 개발된 협동학습모형을 Moodle 사이트로 실재 구현한다.
    여섯째, 개발된 Moodle 학습관리시스템에 대한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고 기술통계치를 산출한다.

    # 2차년도 연구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개발된 콘텐츠에 대한 대학생 평가와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 실행에 따른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연구내용
    1.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대한 문헌연구
    2. 실제로 구축된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구현
    3.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수업에 따른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대한 효과성 검증

    ☞ 연구방법
    첫째, 문헌분석을 통해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한다.
    둘째, Moodle사이트 구현을 위한 시스템 환경 구축과 파워포인트를 이용하여 강의 콘텐츠를 제작한 후 자이닉스사의 프레스토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동영상으로 만들어 Moodle사이트에 업로드한다.
    셋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수업 운영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대한 효과성 진단을 실시한다.
    넷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수업 실시에 따른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대한 효과성 진단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설문지 각 문항에 따라 점수로 환산하고 SPSS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다.
  • 영문
  • # Purpose of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based on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to actually build and implement it as a Moodle site.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classes, we also want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ocial reality, motivation, and loyalty before and after class participation. In the first year, we will develop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establish a system that applies functional elements that constitute cooperative learning in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the second yea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year, the actual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based classes were operated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a sense of social reality and motivation for learning.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loyalty before and after class. These findings can provide a systematic teaching model for the online learning system from a constructive perspective to university education site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rganized thin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rough online cooperative learning. Furthermore, it is easy to install and use, and as an open source, we can expect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on online learning in terms of economics and education.

    # First Year Stud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System Based on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 Research contents
    1. Determining the main elements and order of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on cooperative learning models and analysis of models in which procedures are mentioned among cooperative learning models.
    2. Functional Analysis of Key Element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3. Design of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based on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4. Building a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Model Design
    5. Evalua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design based on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experts as an evaluation stage
    ☞ Research method
    First, it is to analyze the prior study of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rough literature review. Analyze the main elements in chronological order with the researchers to extract the elements with high frequency.
    Second, the main elements and order of cooperative learning are deter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cooperative learning functional elements in the model's cooperative learning phase and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e procedure is mentioned among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ird, use Moodle to design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conduct expert evaluation.
    Fourth, implement a mutual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designed cooperative learning model.
    Fifth,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of cooperative learning functional elements in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is actually implemented as the Moodle site.
    Sixth, expert evaluation of the developed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is conducted and technical statistics are calculated.

    # Second Year Study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 Assessment on the Social Realism, Learning Motivation and Loyalty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Developed Content Based on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the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 Research contents
    1. Research in literature on social realism, motivation, and loyalty
    2. Implementing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based on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at was actually established
    3. Effectiveness of University Students on Social Realism, Learning Motives, and Loyalty based on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 Research method
    First, we analyze the prior study of social existance, learning motivation, and loyalty through literature analysis.
    Second, after building a system environment for implementing Moodle Site and producing lecture contents using PowerPoint, make a video using Presto software of Zainix and upload it to Moodle Site.
    Third, the effectiveness diagnosis is carried out on the sense of social reality, learning motivation and loyalt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classes based on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urth, the data collected for the diagno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reality, motivation, and loyalty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re converted into scores according to each question in the questionnaire and the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d response sample t-test is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를 활용한 여러 가지 온라인 교육방법들이 교육현장에 확산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온라인학습의 경우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관련된 시스템 설계 및 효과연구가 대부분이며,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개발 및 이에 대한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의 수업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교실 학습이 아닌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의 연구라 하더라도 교수자가 온라인상에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자료를 기반으로 한 학습에 치우치고 있다(김미라, 이용진, 2011). 이에 교수자가 자료를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 간 상호작용성을 높일 수 있는 협동학습 과정을 경험하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되, 온라인 학습환경을 기반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에 따라 Moodle은 만들어지는 단계부터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협동학습이 가능하게 설계된 소프트웨어라는 점에서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협동학습모형을 개발하는데 적합한 소프트웨어임을 알 수 있다(Farrell, 2003). 협동학습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학습자에게 학습동기를 유발시켜 능동적인 학습참여를 촉진시킨다(박선화, 2008). 특히,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은 다른 시스템에 비해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학습자의 편의성과 유연성을 극대화한 모듈화 구조이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UCLA는 Moodle을 이용하여 대학 전체의 이러닝 포털로 활용하고 있으며, 협동학습 기능의 유연성에 의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수정하고 협동학습을 가능하게 한다(박혜진, 2009). 이처럼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은 구성주의 방식을 따르는 LMS이므로 학습자들의 참여를 최대한 이끌어낼 수 있으며, 특히, 게시판, 토의, 평가 기능의 콘텐츠 등을 제공하고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학습환경에서는 강의내용 및 학습활동과 관련하여 교수자, 동료와 소통하고 자료를 공유하고, 다양한 학습활동 및 사회적 교류를 수행하고자 하는 학습동기가 중요하다.
    또한 온라인 학습환경은 시공간적 문제로 인한 학습 제약을 극복하여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으나, 학습자들 간에 의사소통이 어렵고 심리적 거리감을 느끼고 홀로 학습하고 있다는 고립감을 느끼게 되는 한계가 있다(Dickey, 2004; Rovai & Wighting, 2005).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사회의 통합된 일부로 느끼거나, 네트워크 상에 누군가와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때 개별적으로 학습하는 것보다 다른 학습자들과의 대화와 협력을 통한 활동에서 학습효과가 증진된다(Kearsley & Shneiderman, 1998). 이처럼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심리적 고립감을 극복할 수 있는 사회적 실재감은 상호작용에서 타인을 인식하고, 그 결과 발생하는 대인간 교류를 감지하는 정도(Short et al., 1976; Richardson & Swan, 2003)이다. 이러한 사회적 실재감은 Moodle의 학습활동 툴들을 통해서 구성원의 상호협력을 통해 학습활동 지원하고, 학습자간의 지식 나눔 과정을 자연스럽게 경험하면서 지식 구성이 가능하다(양성혜, 2012; 유인식, 오병주, 2012; 이종기, 2008).
    이러한 Moodle 학습관리시스템을 대학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에게 커뮤니티 소속감을 주어, 자신이 받는 교육에 대한 애착을 가지게 한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 이러한 소속감은 커뮤니티에 대한 자발적인 몰입 정도를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 오며, 수업에 대한 충성도를 높일 수 있다(이종기, 2016). 즉, 온라인 협동학습 커뮤니티에 소속된 구성원들은 커뮤니티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해 재방문으로 귀결되는 충성도가 나타난다(임수정, 2006).
    본 연구의 목적은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로 Moodle 사이트로 구축하여 구현해 보는 것에 있다. 또한 수업구현에 따른 Moodle학습관리시스템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1차년도에는 Moodle학습관리시스템에서 협동학습의 구성이 되는 기능요소들을 적용한 협동학습모형을 개발하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 결과를 토대로 실제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콘텐츠를 개발하여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대학교육 현장에 구성주의적 관점의 온라인학습시스템에 대한 체계적 수업모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해 대학생들의 구성주의적 사고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수업 실시에 따른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 효과성 분석결과
    1. 사회적 실재감 사전사후 효과성 분석 결과 사전 전체 사회적 실재감 평균(표준편차)은 2.52(.883)이고 사후 전체 사회적 실재감 평균(표준편차)은 4.08(.877)로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수업 실시에 따른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은 긍정적인 효과성을 나타냈다. 평균값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001에서 t값이 -9.9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2. 충성도 사전사후 효과성 분석 결과 사전 전체 충성도 평균(표준편차)은 2.37(.817)이고 사후 전체 충성도 평균(표준편차)은 4.12(.861)로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수업 실시에 따른 대학생의 충성도는 긍정적인 효과성을 나타냈다. 평균값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001에서 t값이 -1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3. 학습동기 사전사후 효과성 분석 결과 사전 전체 학습동기 평균(표준편차)은 2.55(.913)이고 사후 전체 학습동기 평균(표준편차)은 4.13(.838)로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수업 실시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동기는 긍정적인 효과성을 나타냈다. 평균값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001에서 t값이 -10.2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활용 방안]
    1) 학문적 기여
    첫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개발로 구성주의적 관점의 온라인학습시스템에 대한 체계적 수업모형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학술지, 학회 발표 등을 통해 연구 결과 공유를 통해 온라인학습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2) 대학교육 현장에 대한 기여
    첫째, 설치가 쉽고, 단순한 인터페이스로 교육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온라인 협동학습모형 개발을 통해 대학생들의 구성주의적 사고를 증진시킬 수 있다.
    셋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개발을 통해 학습동기, 사회적 실재감, 충성도 증진과 높은 학업 성취도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학습자의 관점에서 학습자들의 편리성과 접근성을 높여주고 학습자들의 다양한 요구 및 학습양식을 충족시켜주며,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섯째, 경제적인 측면에서 오픈소스의 대학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은 경비절감과 학습운영의 효율성을 급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여섯째, 단순히 대학교육 현장에서 온라인 요소를 활용하는 것 이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각 환경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서 블랜디드 러닝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일곱째, 교수자의 관점에서 수업내용을 다양한 매체와 방법을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학습환경을 설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수업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다.
    3) 사회적 기여
    첫째, 인터넷과 컴퓨터의 활용으로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학습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인터넷과 IT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를 활용한 온라인 교육 확산에 기여할 것이다.
    셋째, 일반인도 설치 및 활용이 쉽고 오픈소스로서 경제적, 교육적 측면에서 만족할 만한 수준의 서비스 제공으로 온라인 학습에 대한 긍정적 교육효과성을 기대할 수 있다.
    4) 후속 연구와의 연계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다양한 학습기능 중 협동학습모형 외에 자기주도학습모형에 대한 개발 연구로 연계가 가능하다.
    둘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에 관한 연구로 연계가 가능하다.
    셋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로 연계가 가능하다.
    넷째, 교과특성에 따른 다양한 수업설계에 관련된 연구로 연계가 가능하다.
    다섯째, Moodle학습관리시스템 기반 협동학습모형 적용에 따른 학습자 관련 다양한 변인 연구로 연계가 가능하다.
  • 색인어
  • Moodle, 온라인 학습 시스템, 협동학습,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충성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