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기술기반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창업교육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Methodology Based on the Technology 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A8-2018S1A5A8030704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5월 01일 ~ 2019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성창수
연구수행기관 동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근 ‘4차 산업이라는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문제해결능력을 보유한 인재양성을 위해 대학교육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창업교육 특히 기술기반의 창업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교육부의 ‘대학창업5개년계획’에 의거, 대학의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 도입과 창업교육의 확산 및 창업교육에 있어 ‘누가(Who)’, ‘무엇(What)’을 가르쳐야 하는 가’에 대한 기본 방향을 부문적으로 제시하였지만, 관련연구에서는 창업교육의 효과 검증, 차별화된 교육방법의 필요성 등 문제제기 수준에 머물고 있다.
    대학교육의 현장에서 어떠한 학습법이 창업교육에 있어 효과적인지, 창업교육을 ‘어떻게(How)’ 가르치는 운영방안 등의 교육방법론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과 관련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학부과정의 창업교육의 목표인 기업가정신의 함양을 위해서는 끊임없는 문제발견과 대안제시 활동을 통해 체득되어야 한다는 관련 전문가들의 공통된 인식에도 대다수 대학의 현실에서는 관련 전공 교수진의 부재로 인한 창업교육 콘텐츠의 지속적인 개발의 어려움 및 기존 대학의 전공교육에서 지식과 정보전달을 위한 강의실 교육을 탈피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관련 이론연구에서도 창업교육 현장에 실제 적용하여 제시한 사례 및 질적 방법론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창업교육의 질적 고도화 방안으로 기술기반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창업교육방법론을 개발하여 실제 대학창업교육에 적용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첫째, 본 연구의 학문적 관점에서 기존 선행연구에서 창업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한계로 제시된 기존 교육방법과 차별화된 실용 학문분야인 창업교육에 있어 교수자 관점의 체계적인 교수법 및 교육대상인 학생들의 학습자 관점의 교육방법론에 의미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다수 선행연구에서 적용된 양적 연구방법이 아닌 질적 연구방법으로 전주기 창업단계와 학생들의 전공 및 수준을 고려한 교수법 적용사례 연구 및 기존 연구에서 교육이수 학생들의 창업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를 탈피하여 교수자들의 기존 방식의 교육방법과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정성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실무적 관점에서 현재 창업교육을 운영하는 전국 100여개 대학의 창업교육센터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되는 TF조직의 한계, 전문교수진의 부재, 이로 인한 지속가능한 연구기능의 부재 및 대다수 창업교육교수진의 비전공자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 콘텐츠 개발역량의 한계 등의 문제점에 대한 의미 있는 대안의 하나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방법론의 제안은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국내외 관련학회의 연구결과 발표 및 개발된 교수법을 소개하고 지속가능한 논의의 장을 만드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술기반 창업교육에 초점을 두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선도대학육성사업을 운영하는 대학의 창업교육의 방향성 제언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학부 창업교육의 핵심목표는 학생들의 기업가정신 함양 및 인식 전환에 있다. 대학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창업교육 방안의 제언은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창업교육의 질적 고도화 방안으로 기술기반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창업교육의 체계적인 방법론을 연구·개발을 통해 실제 대학 창업교육에 적용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에 이론적, 개념적으로 접근했던 횡단적인 창업교육 방법론을 제언하는 연구와 달리 실제 대학 창업교육 강좌에 적용함으로서 새로운 창업교육 방법에 대한 효과성을 직접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전공··수준별 최적의 창업교육 방법론 제시와 실제 교육운영에 대한 피드백과 고찰을 통해 창업교육환경을 고려한 교수법과 교육과정 설계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4차 산업의 시대’에 부합하는 창업교육의 고도화 및 창의인재양성을 위한 실무적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다양한 전공분야 교육의 질적 수준 및 학생들의 만족도가 검증된 역진행 학습(FL), 문제기반학습(PBL), 혼합형 학습(blended learning) 등 다양한 학습방법의 관련 개념 및 타 교육 분야의 적용 및 활용사례를 조사 분석한다. 둘째, 교육대상인 학생들에게 어떠한 학습방법이 창의성, 문제해결역량, 창업의도, 진로선택 등의 교육만족도 관련 요인에 있어 효과성 여부를 보이는지를 검증한다. 셋째, 교육서비스 제공자인 교수자를 대상으로 정성적 연구방법인 개별 심층면접 및 FGI기법을 통해 기존 교수법과 비교분석 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효과가 있는 학습방법을 선정, 실제 기술창업 교육환경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피드백과 만족도, 창업관련 성과 등을 분석한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대학창업교육 및 기술기반 창업교육에 있어 기존 전통적인 방법으로 지식과 정보전달의 이론식 교육과 차별화된 창업교육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창업교육을 어떻게(How) 가르쳐야 하는 가’의 문제에 대한 의미 있는 대안과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추진계획은 다음과 같다. 1단계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국내외 창업교육에 적용된 다양한 방법론에 대해 조사, 각 내용을 창업강좌에 적용하여 효과성을 측정한다. 2단계로 각 학습방법을 융합한 혼합형 학습방법을 확대 적용하여, 강좌운영 교수진의 피드백을 통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전주기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단계별, 수준별, 전공별 차이와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각각에 적합한 창업교육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기술창업교육을 통한 기술기반 융합형 창의인재 양성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학의 창업교육 방법론에 대한 차별화된 교육방법의 필요성 등 문제제기 수준의 제언에서 머물고 있다. 실제 대학창업교육의 현장에서 어떠한 학습법이 창업교육에 있어 효과적인지, 창업교육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등의 체계적인 교육방법론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관련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창업교육의 질적 고도화 방안으로 대학에서 창업교육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제기를 통해 창업교육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기술기반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다양한 창업교육의 방법론을 조사하고, 실제 대학창업교육에 적용 및 활용하여 각각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내용, 범위 및 방법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교육 방법론에 대한 기존 논문을 정량, 정성적으로 분석한다. 정량적 분석은 창업교육 방법론을 키워드로 하는 국내외 저명한 전문학술지를 대상으로 한다. 정성적 분석은 다양한 전공분야 교육의 질적 수준 및 학생들의 만족도가 검증된 역진행 학습, 문제중심학습 등의 다양한 학습방법의 관련 개념 및 타 교육 분야의 적용 및 활용사례를 조사분석한다. 둘째, 이론검증에 기반을 둔 교육방법을 실제 기술창업 교과목에 적용하여 각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한다. 셋째, 이론검증과 사례분석을 토대로 제안된 연구모형을 실증 분석하여 교육대상자인 학생들에게 어떠한 학습방법이 창의성, 문제해결역량, 창업의도, 진로선택 등의 교육만족도와 기업가정신에 효과적인지를 검증한다. 넷째, 교육서비스 제공자인 교수자를 대상으로 정성적 연구방법인 개별 심층면접을 통해 기존 교수법과 학습효과성을 비교분석하고, 학생들과 만족도 차이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혼합된 학습방법(FL + PBL)을 실제 기술창업 교육환경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피드백과 만족도, 창업관련 성과 등을 도출하고 기술창업에 적합한 혼합형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대학창업교육 및 기술기반 창업교육에 있어 기존 전통적인 방법으로 지식과 정보전달의 이론식 교육과 차별화된 창업교육의 방법론을 개발하고, ‘창업교육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의 문제에 대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 영문
  • Cultivating technology-based creative talent through technology start-up educa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opic. Despite its importance, it is still staying at the problem-making level, including the need for differentiated education methods for start-up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fact, serious thinking and related research on systematic teaching methods such as which learning methods are effective in start-up education and how to proceed with start-up education are insufficient at the field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thodology of start-up education by raising questions about how to teach start-up education in universities as a way of upgrad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In particular, the methodology of various start-up education, focusing on technology-based start-up education, is to be investigated and applied to actual college start-up education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Specifically, the procedures for the content, scope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paper on start-up education methodology i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Quantitative analysis is aimed at renowned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with the keyword of start-up education methodology. Qualitative analysis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relevant concepts of various learning methods, such as reverse-progress learning, problem-oriented learning, and application and use cases in other education fields. Second, a case study of each methodology is conducted by applying the education method based on theoretical verification to the actual technical start-up curriculum. Third, based on theoretical verification and case analysis, the proposed study model is analyzed to verify which learning methods are effective for students who are subject to education, such as creativity, problem-solving skills,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and career choice. Fourth,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professors who are educational service providers, the existing teaching method and learning effectiveness are compared and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students is reviewed. Finally, the mixed learning method (FL + PBL) is applied to the actual technical start-up education environment to derive feedback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performance related to start-up, etc. and present a mixed framework suitable for technical start-up. Through this series of research courses, we can develop methodologies for theoretical educ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ransfer and differentiated start-up education in traditional ways, and present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question of how to teach start-up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대두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을 비롯한 급격하게 변화하는 ‘기술융합의 시대’에서 대학창업교육, 특히 기술창업교육을 통한 기술기반 융합형 창의인재 양성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학의 창업교육 방법론에 대한 차별화된 교육방법의 필요성 등 문제제기 수준의 제언에서 머물고 있다. 실제 대학창업교육의 현장에서 어떠한 학습법이 창업교육에 있어 효과적인지, 창업교육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등의 체계적인 교육방법론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관련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창업교육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제기를 통해 창업교육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기술기반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다양한 창업교육의 방법론을 조사하고, 실제 대학창업교육에 적용 및 활용하여 각각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내용, 범위 및 방법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교육 방법론에 대한 기존 논문을 정량, 정성적으로 분석한다. 정량적 분석은 창업교육 방법론을 키워드로 하는 국내외 저명한 전문학술지를 대상으로 한다. 정성적 분석은 다양한 전공분야 교육의 질적 수준 및 학생들의 만족도가 검증된 역진행 학습, 문제중심학습 등의 다양한 학습방법의 관련 개념 및 타 교육 분야의 적용 및 활용사례를 조사분석한다. 둘째, 이론검증에 기반을 둔 교육방법을 실제 기술창업 교과목에 적용하여 각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한다. 셋째, 이론검증과 사례분석을 토대로 제안된 연구모형을 실증 분석하여 교육대상자인 학생들에게 어떠한 학습방법이 창의성, 문제해결역량, 창업의도, 진로선택 등의 교육만족도와 기업가정신에 효과적인지를 검증한다. 넷째, 교육서비스 제공자인 교수자를 대상으로 정성적 연구방법인 개별 심층면접을 통해 기존 교수법과 학습효과성을 비교분석하고, 학생들과 만족도 차이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혼합된 학습방법(FL + PBL)을 실제 기술창업 교육환경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피드백과 만족도, 창업관련 성과 등을 도출하고 기술창업에 적합한 혼합형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대학창업교육 및 기술기반 창업교육에 있어 기존 전통적인 방법으로 지식과 정보전달의 이론식 교육과 차별화된 창업교육의 방법론을 개발하고, ‘창업교육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의 문제에 대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의 학문적, 실무적 관점의 기대효과와 창업교육 연계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이론적 관점에서 기존 선행연구에서 창업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한계로 제시된 기존 교육방법과 차별화된 실용 학문분야인 대학 창업교육에 있어 교수자 관점의 체계적인 교수방법 및 교육대상인 학생들의 학습자 관점의 교육방법론에 의미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대다수 선행연구에서 적용된 양적 연구방법이 아닌 질적 연구방법으로 전주기 창업단계와 학생들의 전공 및 수준을 고려한 교수법 적용사례 연구 및 기존 연구에서 창업교육 이수 학생들의 창업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를 탈피하여 교수자의 기존 방식의 교육방법과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정성적 연구방법론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실무적 관점에서 최근 새로운 시대적 환경에서 창의인재 육성을 위해 핵심교육인 창업교육을 운영하는 전국 100여개 대학의 창업교육센터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되는 TF 조직특성의 한계와 전문역량을 보유한 교수진의 부재로 창업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연구 및 대다수 창업교육교수진의 비전공자에 따른 차별화된 전문교육 콘텐츠 개발의 한계 등의 문제점에 대해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창업 교육방법론의 제언은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국내외 관련학회의 연구결과 발표 및 (사)한국창업교육협의회,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한국연구재단이 공동주최하는 관련 세미나에서 본 연구결과의 공유 및 개발된 교수방법을 소개하고 지속가능한 논의의 장을 만드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 색인어
  • 창업교육, 창의적 교육방법론, 문제기반 학습, 역진행 학습, 혼합형 학습, 창의성 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