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복식사전 DB 구축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 토대연구 연구결과물 추적 및 DB구축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34-C00001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6 개월 (2011년 12월 30일 ~ 2012년 06월 29일)
연구책임자 조우현
연구수행기관 성균관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강순제(가톨릭대학교)
전현실(가톨릭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한국복식에 관한 수요의 팽창
    한국복식은 1960년대부터 독립된 전공분야로 연구되기 시작하여 지난 50여 년 동안 전국대학의 의류직물학과, 의상학과, 의류학과, 의생활학과, 가정학과 등에서 많은 박사와 석사, 학사의 인력을 배출하여 많은 학문적 업적을 이루어왔으며, 모든 의상관련 학과에서 한국복식사 및 한복구성 강좌가 열리고 있고 최근에는 많은 대학에서 관련 교양문화 강좌도 개설되고 있다.

    2) 학제 간 연계를 위하여 한국복식 분야 사전 DB 구축의 필요
    건축, 공예, 민속, 음악, 회화 등 기타 전통문화를 연구하는 분야, 또한 한복 관련 산업체들(한복디자이너, 한국직물 생산업체, 드라마 및 영화, 뮤지컬 등의 무대의상제작자 등)은 물론이고 서양복 관련 산업체들도 한국복식 관련 연구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가 필요 하다.
    3) 한국복식문화의 국제화에 기여
    한국복식 용어에 대응되는 영어표기 표준화 연구 결과물의 디지털화를 통하여 자료 번역 및 학술 교류에 도움을 주며, 나아가 한국 복식문화를 국제사회에 알리는데 기여 하고자 한다.

    4) 복식사 및 복식문화 제반 연구를 위한 DB 구축
    의상, 복식 분야별 최고의 학자를 선별하여 만들어진 한국복식사전의 DB 구축을 통하여 복식사 및 복식문화 제반 연구에 도움을 준다.
    현재 복식사 관련의 DB 구축 및 웹사이트 현황은 무료로 운영되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의생활 분야(http://enkorea.aks.ac.kr)’은 약 500가지 정도의 기본적인 한국복식 아이템을 다루고 있으며, 유로와 무료를 병행하는 ‘문화콘텐츠닷컴 유통센터의 한국의 고유복식(http://costumekorea.culturecontent.com/)’ 유로로 운영되는 ‘누리미디어 KRpia의 한국 문화 콘텐츠 콜렉션 고유복식(http://www.krpia.co.kr)’는 구성복식과 개별복식의 자료 해설 및 재 복원한 디지털콘텐츠 양식이며, 유로로 운영되는 삼성디자인넷의 HISTORY>FOLKLORE FASHION>한국전통복식(http://www.samsungdesign.net) 한국 복식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만을 다루고 있다. 이들 DB들은 한국복식사에 관한 전문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모두 담고 있지 못한 한계가 있으며, 사이트의 개설이후 새롭게 밝혀진 연구결과들이 첨가되지 못하여 변화된 지식들을 확인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복식 각 분야의 세부전공 전문가들이 함께 집필진으로 참여한 ‘한국복식사전’의 디지털화를 통해 이용가치성과 보존 가치성을 높이고, 정보의 영구 자원화를 통해 연구자들의 연구 활용과 일반인들의 지식정보 공유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한국복식 용어의 총체적인 DB 구축으로 학제 간 연계를 위한 한국복식 콘텐츠로 이용될 것이다.
    『한국복식사전』은 한국복식이 순수학문으로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여러 학자들이 다각도에서 우리 복식을 조명하여 밝혀 온 여러 결과물들을 망라하여 한국복식 관련 용어를 정리한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DB 구축 및 웹 사전화 함으로써 건축, 공예, 민속, 음악, 회화 등 기타 전통문화를 연구하는 분야, 또한 한복 관련 산업체들(한복디자이너, 한국직물 생산업체, 드라마 및 영화, 뮤지컬 등의 무대의상제작자 등) 및 서양복 관련 업체들에게 한국복식 관련 연구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2) 한국복식 관련 용어의 영문화 표준 작업 포함한 DB 구축을 통해 한국복식문화의 국제화에 기여할 것이다.
    현재까지 여러 학자 및 언론인들에 의해 불규칙하게 사용되었던 한국 복식 용어의 영어 표기법은 한국복식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데에 걸림돌이 되었다. 따라서 본 DB 구축 및 웹 사전을 통해 우리 복식을 국제 사회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3) 지속적인 DB 갱신으로 최신 연구 흐름 파악
    『한국복식사전』의 DB 및 웹사이트가 구축되면 사전수록 내용의 최신성 유지가 한결 편리해 진다. 최신성의 유지는 사전의 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사전의 최신성 유지를 위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갱신하여 최신 복식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본다.
  • 연구요약
  • 『한국복식사전』연구 결과를 효율적으로 저장, 유지, 활용하기 위해 한국복식사전 DB시스템 구축 하고자 한다. 특히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 직관적 내비게이션 및 웹 검색기를 통하여 다양한 용어에 대한 신속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설계
    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
    다. 사용자 환경 구축_웹 페이지 구축
  • 한글키워드
  • 복식 시대,한국복식사전,DB구축,한복,복식 용도,복식 신분,복식사,한국복식,웹사전,웹서비스
  • 영문키워드
  • Terminology Dictionary of Korean Costume,Construction of DB,Time of Costume,Costume Status,Costume Occation,Korea Cpsume History,HanBok,Web Service,Korean Costume,Web Dictionar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사업은 발췌 용어에 대해 ‘관복, 군복, 여자예복, 상장례복, 정재복, 일상복, 아동복, 속옷, 머리모양, 관모 및 쓰개, 장신구, 신발, 직물, 문양, 염색, 색상, 자수, 매듭, 봉제’ 19개의 항목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DB 구축을 실시했다. DB 자료는 실체유형관계도 설정 하에, ‘테이블 및 속성 정의, 시스템코드, 메뉴기능정의, 검색항목정의’로 분류하여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구축된 웹 페이지는 온라인상에서 다수의 대중이 한국복식문화사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자료 검색은 메뉴 방식과 직접 검색의 두 가지 방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메뉴 방식은 ‘디렉토리 검색, ㄱㄴㄷ 검색’으로, 직접 검색은 ‘통합검색, 상세검색’으로 분류된다. 검색 후 결과는 각 용어별로 시대, 성별, 연령, 신분, 관련 도판을 상세히 정리하여 웹 사전 이용자들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에 디자인된 아이콘은 각 항목을 대표하는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되었고, 단어 검색의 새로운 방식으로 제안되었다.
    구축된 웹 사전을 통해 다양한 한국복식 관련 자료를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다양한 태그 작업을 통해 관련 자료 간의 연동성 기능 강화하여 복식 용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영문
  • For this work, we categorized the selected clothing terms into official uniform, military uniform, women's court dress, funeral garments, dancing costume, everyday dress, children's garments, underclothes, hair style, headgear and headdress, accessory, shoes, fabrics, patterns, dyeing, color, embroidery, knots and sewing. Based on these contents, DB Systems for a Terminology Dictionary of Korean Costume was constructed. The system of DB construction was set up as the table and property, system code, menu function, searching function under category diagram.
    The web page which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se progresses can help acquire easily the information related in Korean costumes. There are two ways for data searching and the result was embodied as period, gender, status, related picture per every term.
    We can search the informations related in Korean costumes easily and effectively by using the developed web dictionary. Especially, the various tag systems for the functional intension of interworking among data is very convenient to search a lot of term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사업은 복식용어의 DB 구축 및 ‘한국복식사전’의 디지털화를 통해 사전의 활용 가치성과 보존 가치성을 높이고, 정보의 영구 자원화를 통해 연구자들의 연구 자료 이용과 일반인들의 지식정보 공유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사업의 DB 구축 내용은 발췌된 총 1738건의 복식 관련 용어를 ‘관복, 군복, 여자예복, 상장례복, 정재복, 일상복, 아동복, 속옷, 머리모양, 관모 및 쓰개, 장신구, 신발, 직물, 문양, 염색, 색상, 자수, 매듭, 봉제’ 19개의 항목으로 분류하고, 각 항목에 대한 스키마 작업을 실시하였다. 스키마 작업 후 이루어진 DB 구축은 실체유형관계도 설정 하에, ‘테이블 및 속성 정의, 시스템코드, 메뉴기능정의, 검색항목정의’로 분류하여 시스템 구축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축된 웹 페이지는 온라인상에서 다수의 대중이 한국복식문화사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자료 검색은 메뉴 방식과 직접 검색의 두 가지 방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메뉴 방식은 ‘디렉토리 검색, ㄱㄴㄷ 검색’으로, 직접 검색은 ‘통합검색, 상세검색’으로 분류된다. 검색 후 결과는 각 용어별로 시대, 성별, 연령, 신분, 관련 도판을 상세히 정리하여 웹 사전 이용자들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에 디자인된 아이콘은 각 항목을 대표하는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되었고, 단어 검색의 새로운 방식으로 제안되었다.
    구축된 웹 사전을 통해 다양한 한국복식 관련 자료를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다양한 태그 작업을 통해 관련 자료 간의 연동성 기능 강화하여 복식 용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1) DB 구축용 사전 용어 분석 및 분류
    발췌된 총 1738건의 복식 관련 용어를 ‘관복, 군복, 여자예복, 상장례복, 정재복, 일상복, 아동복, 속옷, 머리모양, 관모 및 쓰개, 장신구, 신발, 직물, 문양, 염색, 색상, 자수, 매듭, 봉제’ 19개의 항목으로 분류하고, 각 항목에 대한 스키마 작업을 통해 DB 기초 자료로 이용되었다.
    스키마 작업은 각 용어에 대해 ‘국문명, 한문명, 영문명, 영문정의, 국문정의, 시대, 연령, 신분, 화면용 키워드, 검색용 키워드, 디스크립션, 참고문헌(고문헌, 저서, 논문, 인터넷자료)’으로 세부 정리하였다. 이와 더불어 용어 이해를 돕기 위해 발췌된 도판과 관련하여 각 도판에 대한 ‘이미지 개수, 도판명, 도판복식, 도판출처’를 추가 정리함으로써 검색 시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스키마 작업 후 이루어진 DB 구축은 실체유형관계도 설정 하에, ‘테이블 및 속성 정의, 시스템코드, 메뉴기능정의, 검색항목정의’로 분류하여 시스템 구축을 실시하였다.

    2) 웹 페이지 설계 및 개발
    스키마를 통해 정리된 DB 자료를 기초로, 웹 페이지를 구축하여 온라인상에서 다수의 대중이 한국복식문화사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습득하도록 하였다.
    · 기존 홈페이지 사전 조사, 복식 관련 사전 내용 조사 : 기존 자료에서 보완해야 할 점 등을 인식하고 웹 사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
    · 검색 방법 : 자료 검색은 메뉴 방식과 직접 검색의 두 가지 방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 메뉴 방식은 ‘디렉토리 검색, ㄱㄴㄷ 검색’으로, 직접 검색은 ‘통합검색, 상세검색’으로 분류됨.
    · 검색 후 결과 : 각 용어별로 시대, 성별, 연령, 신분, 관련 도판을 상세히 정리하여 웹 사전 이용자들의 활용도를 높임.
    · 홈페이지 디자인 개발 : 배색, 배너, 아이콘의 개발. 특히 아이콘은 각 항목을 대표하는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되었고, 단어 검색의 새로운 방식으로 제안됨.

    3) 웹 서비스 제공
    구축된 웹 사전을 통해 다양한 한국복식 관련 자료를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다양한 태그 작업을 통해 관련 자료 간의 연동성 기능 강화 : 용어, 시대, 신분, 참고문헌, 도판 복식 간에 상호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여 복식 용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함.
    · 다양한 검색 루트 개발 : 기본적인 검색 창과 더불어 ‘디렉토리 검색, ㄱㄴㄷ 검색, 참고문헌’ 검색을 통해 간과할 수 있는 용어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함.
    · 국문, 한문, 영문 표현 병기를 통한 용어 표기의 다양화
    · 도판 자료 정보 제공 : 발췌된 도판 명칭, 출처 및 도판에 묘사된 다양한 복식 용어를 정리하고, 출처(참고문헌)나 용어가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함.

    활용방안

    1) 한국복식 용어의 총체적인 DB 구축으로 학제 간 연계를 위한 한국복식 콘텐츠로 이용될 것이다.
    DB 구축된『한국복식사전』은 여러 학자들이 다각도에서 우리 복식을 조명하여 밝혀 온 여러 결과물들을 망라하여 한국복식 관련 용어를 정리한 것이다. 웹 사전화 된 사전은 건축, 공예, 민속, 음악, 회화 등의 전통문화 연구자, 한복 관련 산업체들(한복디자이너, 한국직물 생산업체, 드라마 및 영화, 뮤지컬 등의 무대의상제작자 등) 및 한국복식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일반 대중들이 관련 연구 내용에 대해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2) 한국복식 관련 용어의 영문화 표준 작업을 포함한 DB 구축을 통해 한국복식문화의 국제화에 기여할 것이다.
    현재까지 여러 학자 및 언론인들에 의해 불규칙하게 사용되었던 한국 복식 용어의 영어 표기법은 한국복식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데에 걸림돌이 되었다. 따라서 본 웹 한국복식사전을 통해 우리 복식을 국제 사회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3) 지속적인 DB 갱신으로 최신 연구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한국복식사전』의 DB 및 웹사이트가 구축되면 사전에 수록된 내용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환경이 보다 유리해 진다. 새롭게 발표된 연구 성과를 꾸준히 사전에 등록할 수 있는 것은 본 웹 사전의 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사전의 최신성 유지를 위해 사전 내용을 지속적으로 갱신함으로써 최신 복식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 색인어
  • 한국복식사전, 한국복식, 사전, DB구축, 웹사이트, 관복, 군복, 여자예복, 상장례복, 정재복, 일상복, 아동복, 속옷, 머리모양, 관모 및 쓰개, 장신구, 신발, 직물, 문양, 염색, 색상, 자수, 매듭, 봉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