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독일어 사회과학 학술용어사전 DB 구축사업
Database Building Project of German-Korean Dictionary of Social Scienc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 토대연구 연구결과물 추적 및 DB구축
연구과제번호 2012S1A5B4A03019426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6 개월 (2012년 03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정창화
연구수행기관 단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허영식(청주교육대학교)
김재일(단국대학교)
김영섭(단국대학교)
박제호(단국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일제 강점기부터 현재까지 한국 사회과학내에서 학술용어 중의 하나로서 독일어가 중요하게 활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용어가 통일되지 않았다. 특히, 학자들마다 그 사회과학용어로서 독일어를 달리 사용 및 해석하고 있어, 개념상의 혼란마저 가중시키고 있다.

    예를 들면, 독일어 사회과학용어 Subsidiarität의 번역시 정치학 등에서는 '보조성’, 경제학 및 법학 등에서는 보완성의 원칙 그리고 행정학 등에서는 '보완성’ 및 ‘보충성’으로 번역되고 있다. 이 용어는 '보충성’으로 번역되는 것이 타당하다(구갑우, 이지윤, 2002년도 한국정치학회 연말학술대회 - 한국정치의 발전방향 4 : 주요국가의 정보화 전략 비교연구 : 주요국가의 정보화 전략 비교연구 : 유럽연합(EU)의 정보화정책 변화 추이와 추진체계의 변화 -정책 네트워크의 형성을 중심으로, p.50).

    이러한 문제인식을 기반으로 지난 2005-2007년 동안 「독한사회과학용어사전」이 한국연구재단의 연구과제 결과물로서 연구·출판되었다. 동사전은 기준의 단순번역수준에 머물고 있는 일반사전과는 달리 사회과학 및 법학분야에서 학술적으로 실제 사용되는 전문용어 및 관용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통일화 및 전문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한 문제인식기반으로 독일어 사회과학용어의 전문화 및 통일화를 위한 연구결과가 도출되었으며, 그 결과물의 DB구축을 통하여 독일 사회과학 관련 연구자 및 일반인에게 공개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주로 기존의 서적형태로 출간하여 전자 문서화 되어 있지 않아 접근성과 편리성, 열람 비용발생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그 활용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결과는 ①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도, ②구축된 DB의 토대기초DB로의 전환 기대, ③연구결과의 교육에의 환류 등 그 결과 활용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1)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측면에서 학문적 분야에 기여될 수 있다.
    첫째, 독일어 학술전문용어에 대한 학술적 표준화 및 통일화이다. 이를 통한 지식과 학술정보의 효율적 교류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법률 및 기타 공공기관 용어의 명칭통일 및 표준화로 현재 우리에게 착근된 독일관련 학술용어를 체계화 할 수 있다. 이는 결국 후속 관련연구로의 파생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것이다.
    둘째, 각 학문분야 연구활성화에 기여이다. 특히, 독한 사회과학용어사전에 관하여 구축되는 DB는 전자도서관 구축을 지원하여 각 학문분야 연구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대학, 연구소, 정부 산하기관, 정보센터에서 구축중인 디지털 도서관에 쉽게 응용이 가능하다. 특히,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독일어 관련 사회과학 학술지 논문, 석/박사 학위 논문, 연구보고서 등을 텍스트 기반의 XML 표준 문서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고 타 기관의 상호대차 및 원문 교환에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독일어 관련 사회과학의 융합학문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결과 구축DB의 토대기초DB로의 가치전환
    본 연구결과로 구축되는 DB가 토대기초DB로서의 가치로 기대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다.
    첫째,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제공 콘텐츠의 검색이다. 사업의 기본 목적을 만족할 수 있도록 기존의 체계화된 원천자료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사용자가 시스템에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콘텐츠와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부가가치적 자료의 취득을 통해 본래 목적하는 콘텐츠의 가치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역방향 검색을 통한 콘텐츠 검색의 다양화이다. 웹서비스에 결과를 이용하는 경우 검색된 결과에 포함된 단위 용어의 빈번도와 관련 정보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관련된 요소 콘텐츠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경우, 서비스화가 용이하게 필요 자료를 미리 구축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요소로 포함시킨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정보 오류를 보정할 수 있도록 근접성 기반 리스트의 활용이다. 근접성에 기반하여 필요 자료와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웹서비스 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며, 통합 테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경우는 기초 자료와 프로세스 개념도를 제공하여 결과 데이터베이스의 콘텐츠 엔터티의 가치를 고도화한다.

    3) 연구결과의 교육에의 환류 효과
    본 연구결과는 학교수업을 포함하는 교육에의 환류효과를 창출할 것이다. 즉, 독일어 사회과학용어 사전은 법학 및 정치학, 행정학 그리고 사회학 등 사회과학 관련 학과뿐만 아니라, 독일학 및 독일지역학 관련 학자 및 학생들이 학교수업 그리고 연구 활동으로 연계·환류되어 활용될 것이다.
    '
  • 연구요약
  • 본 사업의 목적달성을 위한 연구방법은 3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의 목표와 세부 계획은 다음과 같다.

    가) 1 단계: DB 구축을 위한 세부주제 분석 및 모델링 기법 확정
    - 원천자료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콘텐츠 대상의 세부사항을 분석한다.
    - DB 설계의 세부사항에 따른 절차를 따라 개념적 모델링, 논리적 모델링, 물리적 모델링의 수행하여 기초 DB 모델링을 수행한다.
    - 표준지침 규준을 만족할 수 있도록 XML변환을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도구의 선택 및 자동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경우 필요한 알고리즘 및 개발환경에 대한 토의를 진행한다. 토의된 결과에 따라, DBMS를 포함한 필요 개발환경을 테스트하고 개발업무를 할당하여 XML변환에 필요한 도구와 알고리즘 구현을 통해 변환과정 프로세스를 검증한다.
    - 기초 DB 모델을 기본으로 하여 온토로지 기반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온토로지 지원을 위한 DB 스키마를 추가 구성한다.
    - 사용자 오류 보정 기능과 후보 용어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는 클러스터 기반 인덱싱에 분석과 프로토타입 구축을 실시한다.
    - 기초 모델링과 기능 요구사항을 분석하기 위한 평가를 실시한다.

    나) 2 단계: DB 구축 및 연계 DB 구축
    - 1 단계에서 마련된 DB 모델링에 따라 원천데이터를 DB 콘텐츠로 변환하여 기초 DB를 구축한다.
    - 온토로지 스키마를 이용해 한국어 용어를 대상으로 온토로지 DB를 구성한다.
    - 사용자 오류 보정 기능과 후보 용어 리스트 기능을 구체화하고 구현한다.
    - 구축된 DB에 대한 구조적 분석과 요구 분석을 통해 DB 콘텐츠에 대한 기초 검증을 실시한다.

    다) 3 단계: 구축된 DB 시스템에 대한 결과 검증 및 평가
    - 원천자료가 손실된 자료가 없이 구축된 DB에 포함되었는가를 자동화 테스트를 이용해 실시한다.
    - 온토로지 DB 의 완전성을 자동화 프로세스로 검증한다.
    - 개별 연구자의 DB 완전성 검증과 기능 요구 충족도를 통해 사용자 검증을 실시하고 DB 구축 평가를 실시한다.
    - 결과보고서를 위한 샘플링과 제출 패키지 및 기술서를 작성한다.
  • 한글키워드
  • 독-한 사회과학학술용어사전,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 교차검색, 인덱싱
  • 영문키워드
  • German-Korean Dictionary for Social Sciences, Ontology Database, Inverse Search, Indexing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