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769&local_id=10011887
中國 古典詩學 意象論의 韓國的 受容 硏究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中國 古典詩學 意象論의 韓國的 受容 硏究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임준철(北京大學)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63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7월 1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중국 고전시가 의상론의 한국적 수용의 예로 조선중기의 대표적 시인인 차천로(1556~1615) 시에서 唐代 이백(701~762) 시의 특정 의상이 어떻게 수용 변주되었는가를 검토하였다.‘鼇’는 典故性 의상으로서 屈原의 「天問」이래 韓中의 수많은 한시에서 사용되었다. 하지만, ‘鼇’ 의상이 단순한 전고의 활용을 벗어나 새로운 의미가 분화되어 나오고 그것이 일정하게 개인적 상징으로써 전용된 것은 이백에 이르러서다. 차천로 시의 핵심적 의상인 鼇’는 그 溯源이 이백 시에 있다. 이백과 차천로는 본래 遊仙的 故事를 지니고 있는 의상을 현실세계에 대한 의식과 관련된 것으로 바꾸어 사용하고 있다.
    이백의 경우 ‘鼇’ 의상은 당대사회에서 국가를 위태롭게 하고 백성을 해치는 權奸, 小人, 叛徒들을 상징한다. 『侯鯖錄』에서 이백이 썼다고 하는 ‘海上釣鼇客’이란 표현처럼 그것은 인간세계에서의 ‘釣鼇’ 의식으로 연결된다. 이백의 시에서 이런 ‘釣鼇’ 의식은 거침없이 표출되어 한편으론 이백이 가지고 있던 당시 사회의 혼탁과 허위에 대한 혐오감을, 또 다른 한편으로는 유협적인 호쾌한 기상을 느끼게 한다. 반면, 차천로 시의 ‘鼇’는 시인과의 관계란 측면에서 이백과 다를 뿐만 아니라, 특히 자라에 기탁한 시인의 의중 자체가 크게 달랐다. 차천로에게 ‘鼇’은 일종의 이상적이고 긍정적인 형상으로서, 특수한 역사적․사회적 상황 속에 놓인 자신의 처지와 겹쳐지기도 한다. 그런 까닭에 차천로 시에서의 ‘鼇’ 의상은 이백 시의 단순한 모방에 그치지 않고 개성적인 변주가 될 수 있었다.

    주제어: 조선중기, 車天輅, 李白, 鼇, 意象, 受容, 變奏
  • 영문
  • This article purposes to examine how the images of poems of Li Bai, the poet of Tang Dynasty, has been received and transformed in the poems of Cha Chonro, the outstanding poet of the Mid-Chosun Dynasty(朝鮮中期). ‘Terrapin(鼇)’, as a typical image, has been used in many Korean or Chinese poems since Qu Yuan(屈原)'s Tianwen(天問). But Li Bai was the first that image of Terrapin got free from typical usage and produced brand new meaning, while being used as a fixed personal symbol. Terrapin as a main image of Cha, originates from poems of Li Bai. This image was originalled related to fairy tale, but Li and Cha converts it into metaphor to real world.
    Terrapin image in poems of Li indicates persons to be eliminated like villainous retainers, mean persons, rebels. So, catching terrapin(釣鼇/斬鼇), which is often seen in poems of Li, means to catch those threaten the nation and harm people, eventually accomplish state of peace all over the world. And Li compares himself to a giant of the Kingdom of Longbai(龍伯之國) sweeping away a mob of Terrapin.
    Cha's Terrapin images are related to his critical recognition of real world too, so is linked to Li's Terrapin image. But Terrapin image in the poems of Cha, not only limited to metaphor of villains, but sometimes used as contrary meaning. Terrapin, in the poems of Cha, is not an object, but is connected to the subjectivity of the poet, especially his ability that is underestimated in the real world. So, catching terrapin(掣鼇/斬鼇) are both pride of his ability and anger for his misfortune at the same time. ‘fisher(釣)' in the poems of Cha, is not confronted with Terrapin, and Terrapin ultimately is free of negative meaning. Terrapin sometimes are varied into Terrpin's back(鼇背), which is related to a space of Sanshenshan(三神山) which Terrapin is carrying on the back, implies unfair reality from the other side. Thus, Terrapin image in the poems of Cha, is not restricted in reception of Li's poems, but has advanced to individual variation.

    Key words: the Mid-Chosun Dynasty, Cha Cheon-Ro, Li Bai, Terrapin, Image, Reception, Vari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중국 고전시가 의상론의 한국적 수용의 예로 조선중기의 대표적 시인인 차천로(1556~1615) 시에서 唐代 이백(701~762) 시의 특정 의상이 어떻게 수용 변주되었는가를 검토하였다. ‘鼇’는 典故性 의상으로서 屈原의 「天問」이래 韓中의 수많은 한시에서 사용되었다. 하지만, ‘鼇’ 의상이 단순한 전고의 활용을 벗어나 새로운 의미가 분화되어 나오고 그것이 일정하게 개인적 상징으로써 전용된 것은 이백에 이르러서다. 차천로 시의 핵심적 의상인 鼇’는 그 溯源이 이백 시에 있다. 이백과 차천로는 본래 遊仙的 故事를 지니고 있는 의상을 현실세계에 대한 의식과 관련된 것으로 바꾸어 사용하고 있다.
    이백의 경우 ‘鼇’ 의상은 당대사회에서 국가를 위태롭게 하고 백성을 해치는 權奸, 小人, 叛徒들을 상징한다. 『侯鯖錄』에서 이백이 썼다고 하는 ‘海上釣鼇客’이란 표현처럼 그것은 인간세계에서의 ‘釣鼇’ 의식으로 연결된다. 이백의 시에서 이런 ‘釣鼇’ 의식은 거침없이 표출되어 한편으론 이백이 가지고 있던 당시 사회의 혼탁과 허위에 대한 혐오감을, 또 다른 한편으로는 유협적인 호쾌한 기상을 느끼게 한다. 반면, 차천로 시의 ‘鼇’는 시인과의 관계란 측면에서 이백과 다를 뿐만 아니라, 특히 자라에 기탁한 시인의 의중 자체가 크게 달랐다. 차천로에게 ‘鼇’은 일종의 이상적이고 긍정적인 형상으로서, 특수한 역사적 사회적 상황 속에 놓인 자신의 처지와 겹쳐지기도 한다. 그런 까닭에 차천로 시에서의 ‘鼇’ 의상은 이백 시의 단순한 모방에 그치지 않고 개성적인 변주가 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중국 고전시가 의상의 한국적 수용 문제의 검토는 일면 우리 한문학의 중국 고전문학에 대한 종속성을 확인시키는 것으로 비쳐 질 수도 있다. 하지만, 문학의 교류에는 언제나 전파자와 수용자가 있기 마련이고, 이 전파와 수용의 관계란 단지 문학교류에서의 방향을 지시할 뿐 결코 문학가치의 높낮음을 설명하지는 않는다. 문학의 수용에는 늘 변이가 있고 변이를 거쳐서 자문학적 가치가 생기게 되는데, 이것은 단지 전파된 본원의 가치를 재생산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문제는 한국의 고전시가가 중국의 고전시가의 의상을 얼마나 사용하였느가가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였는가가 아니라, 중국 고전시가의 용법과 어떻게 어긋나며, 나아가서는 자기화한 것이 무엇인가일 것이다. 본 연구가 의도한 바가 바로 여기에 있다. 우리는 이런 방식의 연구의 축적을 통해서 중국의 영향 가운데서 무엇이 우리의 특징이 되었느냐의 문제를 심도 있게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성과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동아시아 고전시가 고유의 이미지 활용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한중 한시 비교연구의 하나의 방법론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세 번째, 의상의 분석방식을 한시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
    네 번째, 전통 미학 및 예술비평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조선중기, 車天輅, 李白, 鼇, 意象, 受容, 變奏/ the Mid-Chosun Dynasty, Cha Cheon-Ro, Li Bai, Terrapin, Image, Reception, Variati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