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514&local_id=10011520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 모형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 모형 개발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조부경(한국교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50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4월 0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학습공동체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학습공동체 관련 문헌 및 국내외 과학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고찰하여 모형개발의 이론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둘째, ‘과학교수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 요구 조사’ 질문지를 작성하여 4개 기관에서 주관하는 연수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 회수한 뒤, 응답한 329명의 학습공동체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모형개발의 실제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셋째, 이론적 준거와 실제적 준거를 토대로 최종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최종 개발된 모형은 4단계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신뢰로운 관계의 형성이다. 이는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학습공동체 형성 전부터 시작하여 이후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두 번째 단계는 학습공동체에 대한 이해이다. 이는 학습공동체란 외부에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이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사람이 자발적으로 구성하여 주인 의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세 번째 단계는 과학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구성이다. 과학교수능력향상에 관심이 있고 학습공동체의 기본철학에 동의하며 모임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며,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일반구성원 뿐 아니라 학습공동체를 운영할 운영자와 이들을 이끌어 줄 촉진가를 함께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구성원과 운영자, 촉진자는 서로 공통되는 역할도 하지만 각자의 고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각자 자신의 역할을 분명히 인식하고 이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네 번째 단계는 과학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운영이다. 학습공동체의 운영은 기본 가정 및 목적, 내용 및 방법, 운영체제로 구성하였으며, 이는 구성원의 요구와 상황 등을 고려하여 융통성있게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 모형은 구성원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위에서 아래로가 아닌 아래서 위로, 그리고 일회적이 아닌 지속적인 방식으로 형성되고 운영되는 것이 기본 전제가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습공동체를 원활히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운영자와 촉진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영문
  • This study presents a learning community model for enhancing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teaching competency. To develop this model, a learning community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a review on learning community and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requirements of learning community for enhancing science teaching competency of 329 kindergarten teachers were investigated. Then, a learning community model was established that could serve as a basis fo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norm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esents a appropriate learning community model for enhancing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teaching competency. This model consist of a basic viewpoint and purpose, content and methods, organization and role of participator, and operating system of learning commun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학습 공동체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학습 공동체 관련 문헌 및 국내외 과학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고찰하여 모형개발의 이론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모형개발의 실제적 준거를 위해서는 ‘과학교수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 요구 조사’ 질문지를 작성하여 4개 기관에서 주관하는 연수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 회수한 뒤, 응답한 329명의 학습 공동체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실제적 준거를 토대로 유치원교사의 과학교수능력향상을 위해 적합한 학습공동체 모형을 모형의 기본관점 및 목적, 내용 및 방법, 구성원의 조직 및 역할, 운영체제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교사의 과학 교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 교육의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둘째. 교사교육에 있어서 학습공동체 형성의 가치 및 효과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다.
    셋째. 교사교육자에 의해 일방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일회적인 과학교사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구성주의 과학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넷째 ‘위에서 아래로’가 아닌 현장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한 과학 교사교육의 새로운 관점을 실천할 수 있는 세부 지침을 마련해 준다.
    다섯째, 지속적으로 자신의 교수 실제를 분석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해보는 과정을 통하여 교사의 현장연구에 대한 실천 의지 및 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섯째, 교수와 교사, 대학원생 등 유아과학교육에 관심 있는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모여 지속적으로 협의하는 과정을 통하여 실천적 지식을 쌓고 이론과 실제의 연계를 도모할 수 있다.
    일곱째, 학습 공동체 구성원이 모두 함께 하는 평가 방식 및 결과 분석 자료는 교사 평가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는 획일적인 교사 평가가 아닌 각 교사가 주체가 되는, 자신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평가라는 새로운 시각에서 활용될 수 있다.
    여덟째, 학습 공동체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요구 조사 분석 결과는 양성교육과 현직교육기관의 유아과학교육 강좌 구성을 위한 실제적 준거로 활용될 수 있다.
    아홉째, 현직교사 뿐 아니라 예비교사도 함께 참여하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 공동체를 실현할 수 있는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 색인어
  • 학습공동체, 과학교수능력, 유치원 교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