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572&local_id=10011736
국가-노동 관계에서 본 한국의 사회협약 정치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국가-노동 관계에서 본 한국의 사회협약 정치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용철(전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13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에서 사회협약이 등장한 것은 1998년 초이다. 노사정위원회의 출법은 '노동배제의 정치'에서 '노동포섭의 정치'로의 전환을 의미하였고, '갈등의 정치'에서 '타협의 정치'로의 변화를 상징하였다. 초기 사회협약정치는 비록 그 제도화 수준은 매우 낮은 것이었으나, 협약정치를 둘러싼 사회적 지지는 높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혁신적' 사회협약정치는 곧 '교착된' 사회협약정치로 변모하였다. 즉 제도화 수준은 지속적으로 높아갔으나, 사회적 지지 수준은 급격히 저하되었다.

    서구의 사회조합주의적 시각에서 볼 때, 한국에서 사회협약정치의 출현은 지극히 예외적인 현상이다. 노사정위원회 탄생은 '축적의 위기'가 낳은 사회적 충격, 김대중정권의 친노동자적 성격, 그리고 당시 계급연합정치의 역학이 맞물려 산출된 정치적 결과물로 파악된다. 또한 초기 짧은 기간을 제외하면, 한국의 사회협약정치는 거의 교착상태에 빠져 있음에도 불구하고,그리고 경제적 위기 상황에서 벗어낮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그 배경에는 국가, 노동, 자본의 전략적 이해관계가 자리하고 있다.
  • 영문
  • It is in the early 1998 when the politics of policy concertation and social partnership appeared in South Korea. On January 14, 1998, the Korean Tripartite Commission(KTC) - comprised of labor, employers and a government consultative body - was formally launched. The birth of the KTC meant that the state's labor policy changed from authoritarian to neo-corporatist.

    The politics fo policy concertation during the First Tripartite Commission was working well. It was characterized by 'innovative' high societal support for national policy coordination and low levels of institutioanl integration. The 'innovative' KCT, however, soon became 'immobile' when the Second Tripartite Commission llaunched in June 1998, mainly because of decreasing societal support for national policy coordin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에서 사회협약이 등장한 것은 1998년 초이다. 노사정위원회의 출법은 '노동배제의 정치'에서 '노동포섭의 정치'로의 전환을 의미하였고, '갈등의 정치'에서 '타협의 정치'로의 변화를 상징하였다. 초기 사회협약정치는 비록 그 제도화 수준은 매우 낮은 것이었으나, 협약정치를 둘러싼 사회적 지지는 높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혁신적' 사회협약정치는 곧 '교착된' 사회협약정치로 변모하였다. 즉 제도화 수준은 지속적으로 높아갔으나, 사회적 지지 수준은 급격히 저하되었다.

    서구의 사회조합주의적 시각에서 볼 때, 한국에서 사회협약정치의 출현은 지극히 예외적인 현상이다. 노사정위원회 탄생은 '축적의 위기'가 낳은 사회적 충격, 김대중정권의 친노동자적 성격, 그리고 당시 계급연합정치의 역학이 맞물려 산출된 정치적 결과물로 파악된다. 또한 초기 짧은 기간을 제외하면, 한국의 사회협약정치는 거의 교착상태에 빠져 있음에도 불구하고,그리고 경제적 위기 상황에서 벗어낮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그 배경에는 국가, 노동, 자본의 전략적 이해관계가 자리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한국의 사회협약정치의 불안정을 서구유럽의 경험에 기초한 사회적 조합주의라는 이론적 시각에서 분석한다. 이러한 시각은 노사정위원회의 탄생과 지속을 적절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 연구들은 한국의 사회협약정치가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 서구유럽의 사회협약정치가 갖는 사회, 문화, 정치 제도적 측면을 모방 혹은 충족시킬 때 가능하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한국의 노동정치가 서구유럽의 그것과는 상이한 역사적 경로를 걸어 왔음을 상기할 때, 한국적 맥락에서의 분석시각과 처방이 필요하다, 이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사회협약정치, 노사정위원회, 국가, 노동, 자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